$\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서지 현황 분석을 통한 새로운 전략적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Strategic Direction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5 no.3, 2021년, pp.79 - 101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미화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이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  이은주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우리나라 국가서지는 1963년에 제정된 도서관법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매년 발행하여 공개하고 있다. 국가서지의 지속적 발전과 서비스의 혁신을 도모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움직임과 달리, 우리나라 국가서지는 그동안 거의 방치되다시피했던 서비스의 노후화 및 데이터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사실상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서지는 한 국가에서 발행된 출판물에 대한 총체적 기록으로써 자국의 지식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상징이라는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서지의 발전적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1) 국가서지에 관한 국제적 권고를 검토하고, (2) 현 시점에서 국가서지 서비스를 지속해야 하는 당위성을 검토한 다음, (3) 국가서지의 품질과 서비스 제고를 위한 세부 운영전략을 제안하였다. 세부 운영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1) 국가서지의 수록범위, (2) 데이터의 구축 방식, (3) 국가서지 서비스로 구분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사례조사와 실무진 면담, 각종 문헌연구를 통해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Library Act enacted in 1963, the national bibliography of Korea has been publishing annually since 1965. Unlike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at have been promot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national bibliography and service innovation,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is rarely used...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9)

  1.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5).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2.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6).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3. Lee, M. H. & Lee, J. W. (2021). Current trends for national bibl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national bibliograph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2(1), 35-57. 

  4. Lee, E. J. & Rho, J. H. (2021). An analysis of the users' needs on the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1), 179-202. 

  5. Lee, H. W, Park, Z. Y., & Lee, S. S. (2017). A study on the extended roles of national bibliographic agencies in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28(1), 133-154. 

  6. Beaudiquez, M. (1992). National bibliography as witness of national memory. IFLA Journal, 18(2), 119-123. 

  7. Bell, B. L. (1998). An Annotated Guide to Current National Bibliographies (2nd completely rev. ed.). 재인용: IFLA Working Group on Guidelines for National Bibliographies (2019). Best Practice for National Bibliographic Agencies in a Digital Age. Available: https://www.ifla.org/node/7858 

  8. British Library. Retrieved from https://www.bl.uk 

  9. Clausen, H. (1997). The business of national bibliography: an example of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Business Information Review, 14(1), 27-35. 

  10. Conover, Helen Field (1955). Current National Bibliographies. Washington: U.S. Goverment Printing Office. 

  11. Deliot, C. (2014). Publishing the British National Bibliography as linked open data. Catalogue & Index, 174, 13-18. 

  12. East, J. W. (1999). Requiem for the national bibliography? the implications of internet access to national library catalogue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30(1), 1-10. 

  13. Hausner, E. M. & Sommerland, Y. (2018). Assessment of metadata quality of the Swedish National Bibliography through mapping user awarenes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6(1), 96-109. 

  14. IFLA Working Group on Guidelines for National Bibliographies (2009). National Bibliographies in the Digital Age: Guidance and New Directions. Munchen: K.G. Saur. 

  15. IFLA Working Group on Guidelines for National Bibliographies (2019). Best Practice for National Bibliographic Agencies in a Digital Age. Available: https://www.ifla.org/node/7858 

  16. IFLA (1998). International Congress on National Bibliographies (ICNBS) Recommendations. Available: https://www.ifla.org/publications/international-congress-on-national-bibliographies-icnbs-recommendations?og53 

  17. Krynicka, M. (2012). Open access to national bibliography: Polish approach. Collection Building, 31(3), 120-125. 

  18. Kungl Biblioteket (2021). Nationalbibliografin i siffror. Available: https://www.kb.se/om-oss/det-har-gor-vi/nationalbibliografin.html 

  19. Linder, L. H. (1959). The Rise of Current Complete National Bibliography. 재인용: Greer, R. C. (1967). National Bibliography. Library Trends, 15(3), 350-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