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on Leaf Phenology of Quercus acutissim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3, 2014년, pp.213 - 218  

서동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오창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한심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이재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생물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부개방형온실을 이용하여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 처리하였다. 대기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의 설정은 현재 농도, 현재 농도의 1.4배, 현재 농도의 1.8배 등 3 처리구로 하였고, 온실효과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상부개방형온실 외부에 비교구를 설치하였다.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2013년에 동아 파열, 개엽, 단풍, 낙엽에 대하여 각 생물계절현상이 나타나는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고, 2014년에는 봄철 계절현상인 동아 파열과 개엽에 대하여 각가의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다. 동아 내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을 위하여 2014년 3월에 각 처리구별로 동아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봄철의 생물계절현상이 연도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2013년도에는 동아 파열과 개엽 시기가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봄철 기온이 높았던 2014년도에는 동아 파열 및 개엽 시기 모두 처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풍과 낙엽 등 가을철의 생물계절현상은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 내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분, 총 비구조 탄수화물, 총 수용성 당류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은 상수리나무의 개엽을 빠르게 하고 낙엽을 늦추어 전체적인 생육기간을 연장시키게 될 것이다. 봄철의 이른 개엽은 동해피해의 가능성을 높이나, 개엽 시기는 온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으며, 전년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의하여 동아 내의 전분, 수용성 당 등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봄철의 동해피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elevated $CO_2$ on leaf phenology of Quercus acutissima were examined using open-top chambers, which had ambient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s (ambient ${\times}1.4$, ambient ${\times}1.8$). To analyze the effect of chamber, non-treatment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생물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부개방형온실을 이용하여 대기 이산화탄소농도를 높여 처리하였다.
  • 우리나라 온대중부의 대표적 활엽수종인 상수리나무를 대상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생물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나아가 미래 기후변화 상황에서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생리생태적 특성 변화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상부개방형온실을 이용하여 대기 이산화탄소농도를 높여 처리할 때, 농도의 설정은 어떻게 하였는가? 상부개방형온실을 이용하여 대기 이산화탄소농도를 높여 처리하였다. 대기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의 설정은 현재 농도, 현재 농도의 1.4배, 현재 농도의 1.8배 등 3 처리구로 하였고, 온실효과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상부개방형온실 외부에 비교구를 설치하였다.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2013년에 동아 파열, 개엽, 단풍, 낙엽에 대하여 각 생물계절현상이 나타나는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고, 2014년에는 봄철 계절현상인 동아 파열과 개엽에 대하여 각가의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다.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무엇과 밀접한 관계가 있나? 수목의 생물계절학적인 현상은 수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데,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광주기, 기온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Lechowicz,1995). 지난 50년 동안 수목의 개엽과 개화가 10년에2~3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고(Menzel, 2000;Walther et al.
수목의 생물계절학적인 현상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수목의 생물계절학적인 현상은 수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데,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광주기, 기온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Lechowicz,1995). 지난 50년 동안 수목의 개엽과 개화가 10년에2~3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고(Menzel, 2000;Walth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deck, F. W., A. Bondeau, K. Bottcher, D. Doktor, W. Lucht, J. Schaber, and S. Sitch, 2004: Responses of spring phenology to climate change. New Physologist 162, 295-309. 

  2. Beuker, E., 1994: Adaptation to climatic changes of the timing of bud burst in populations of Pinus sylvestris L. and Picea abies (L.) Karrst. Tree Physiology 14, 961-970. 

  3. Brown, L. R., 1991: Carbon dioxide enrichment accelerates the decline in nutrient status and relative growth rate of Populus tremuloides Michx. seedlings. Tree Physiology 8, 161-173. 

  4. Cannell, M. G. R., 1990: Modelling the phenology of trees. Silva Carelica 15, 11-27. 

  5. Cannell, M. G. R., and R. I. Smith, 1986: Climatic warming, spring budburst and frost damage on tre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23, 177-191. 

  6. Chen, W. J., T. A. Black, P. C. Yang, A. G. Barr, H. H. Neumann, Z. Blanken, M. D. Novak, J. Eley, and R. J. Ketler, 1999: Effects of climatic variability on the annual carbon sequestration by a boreal aspen forest. Global Change Biology 4, 41-53. 

  7. Haggerty, B. P., and S. J. Mazer, 2008: The Phenology Handbook. https://www.usanpn.org/ phenologyhandbook. 

  8. Jach, M. E., and R. Ceulemans, 1999: Effe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_{2}$ on phenology, growth and crown structure of Scots pine (Pinus sylvestris) seedlings after two years of exposure in the field. Tree Physiology 19, 289-300. 

  9. Jach, M. E., R. Ceulemans, and M. B. Murray, 2001: Impacts of greenhouse gases on the phenology of forest trees. The Impact of Carbon Dioxide and Other Greenhouse Gases on Forest Ecosystems, D. F. Karnosky, R. Ceulemans, G. E. Scarascia-Mugnozza and J. L. Innes (Eds.), Wallingford, CABI Press, 193-235. 

  10. Karnosky, D. F., 2003: Impa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_{2}$ on forest trees and forest ecosystems: knowledge gaps. Environment International 29, 161-169. 

  11. Karnosky, D. F., D. R. Zak, K. S. Pregitzer, C. S. Awmack, J. G. Bockheim, R. E. Dickson, G. R. Hendrey, G. E. Host, J. S. King, B. J. Kopper, E. L. Kruger, M. E. Kubiske, R. L. Lindroth, W. J. Mattson, E. P. Mcdonald, A. Noormets, E. Oksanen, W. F. J. Parsons, K. E. Percy, G. K. Podila, D. E. Riemenschneider, P. Sharma, R. Thakur, A. Sober, J. Sober, W. S. Jones, S. Anttonen, E. Vapaavuori, B. Mankovska, W. Heilman, and J. G. Isebrands, 2003: Tropospheric $O_{3}$ moderates responses of temperate hardwood forests to elevated $CO_{2}$ : a synthesis of molecular to ecosystem results from the Aspen FACE project. Functional Ecology 17, 289-304. 

  12. Koike, T., 1995: Effects of $CO_{2}$ in interaction with temperature and soil fertility on the foliar phenology of alder, birch, and maple seedlings. Canadian Journal of Botany 73, 149-157. 

  13. Lechowicz, M. J., 1995: Seasonality of flowering and fruiting in temperate forest trees. Canadian Journal of Botany 73, 175-182. 

  14. Lee, K. J., 2012. Tree Physiology (3rd ed.). Seoul University Press, Seoul, 514pp. 

  15. Lee, J. C., D. H. Kim, G. N. Kim, P. G. Kim, and S. H. Han, 2012: Long-term climate change research facility for trees: $CO_{2}$ -enriched open top chamber syste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logy 14, 19-27. 

  16. Loustau, D., J. Ogee, E. Dufrene, M. Deque, J-L. Dupouey, V. Badeau, N. Viovy, P. Ciais, M-L. Desprez-Loustau, A. Roques, I. Chuine, and F. Mouillot, 2007: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emperate forests and interaction with management. Forest and climate change, P.H. Freer- Smith, M. S. J. Broadmeadow, and J. M. Lynch (Ed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143-150. 

  17. Menzel, A., 2000: Trends in phonological phases in Europe between 1951 and 1996.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4, 76-81. 

  18. Morin, X., J. Roy, L. Sonie, and I. Chuine, 2010: Changes in leaf phenology of three European oak species in response to experimental climate change. New Phytologist 186, 900-910. 

  19. Mousseau, M. and H. Z. Enoch, 1989: Carbon dioxide enrichment reduces shot growth in seet chestnut seedlings (Castanea sativa Mill.). Plant, Cell and Environment 12, 927-934. 

  20. Murray, M. B., M. G. R. Cannell, and R. I. Smith, 1989: Date of bud burst of fifteen tree species in Britain following climatic warming. Journal of Applied Ecology 26, 693-700. 

  21. Murray, M. B., R. I. Smith, I. D. Leith, D. Fowler, H. S. J. Lee, A. D. Friend, and P. G. Jarvis, 1994: Effects of elevated $CO_{2}$ , nutrition and climatic warming on bud phenology in Sitka spruce (Picea sitchensis) and their impact on the risk of frost damage. Tree Physiology 14, 691-706. 

  22. Norby, R. J., J. S. Hartz-Rubin, and M. J. Verbrugge, 2003: Phenological responses in maple to experimental atmospheric warming and $CO_{2}$ enrichment. Global Change Biology 9, 1279-1801. 

  23. Ogren, E., T. Nilsson, and L. G. Sundblad, 1997: Relationship between respiratory depletion of sugars and loss of cold hardiness in coniferous seedlings over wintering at raised temperatures: indications of different sensitivities of spruce and pine. Plant, Cell and Environment 20, 247-53. 

  24. Paynter, V. A., J. C. Reardon, and V. B. Shelbure, 1991: Carbohydrate changes in shortleaf pine (Pinus echinata) needles exposed to acid rain and ozon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1, 110-116. 

  25. Repo, T. H. Hanninen, and S. Kellomaki, 1996: The effects of long-term elevation of air temperature and $CO_{2}$ on the frost hardiness of Scots pine. Plant, Cell and Environment 19, 209-216. 

  26. Riikonen, J., K. Kets, J. Darbah, E. Oksanen, A. Sober, E. Vapaavuori, M. E. Kubiske, N. Nelson, and D. F. Karnosky, 2008: Carbon gain and bud physiology in Populus tremuloides and Betula papyrifera grown under longterm exposure to elevated concentrations of $CO_{2}$ and $O_{3}$ . Tree Physiology 28, 243-254. 

  27. Sigurdsson, B. D., 2001: Elevated [ $CO_{2}$ ] and nutrient status modified leaf phenology and growth rhythm of young Populus trichocarpa trees in a 3-year field study. Trees 15, 403-413. 

  28. Taschler, D., B. Beikircher, and G. Neuner, 2004: Frost resistance and ice nucleation in leaves of five woody timberline species measured in situ during shoot expansion. Tree Physiology 24, 331-337. 

  29. Walther, G-R., E. Post, P. Convey, A. Menzel, C. Parmesan, T. J. C. Beebee, J-M. Fromentin, O. Hoegh-Guldberg, and F. Bairlein, 2002: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e 416, 389-395. 

  30. White, M. A., and R. R. Nemani, 2003: Canopy duration has little influence on annual carbon storage in the deciduous broad leaf forest. Global Change Biology 9, 967-9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