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문화와 가치관 교육의 관점에서 본 저출산의 원인 및 극복 방안 탐색
Exploring the causes and overcoming of low fertility in terms of family culture and value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4, 2017년, pp.85 - 100  

전세경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한국사회가 처해있는 저출산의 문제에 대하여 그 원인과 대책을 진단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가족문화와 가치관'의 중요성을 제기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가족문화와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적 접근의 관점에서 저출산의 원인 및 극복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평가를 고찰하여 저출산 원인을 재인식, 재평가하고, 둘째, 저출산 관련 가족문화와 가치관의 실태 및 변화를 고찰하며, 셋째, 저출산 대책과 관련된 '교육'의 문제를 쟁점화하여 교육적 개입의 타당성, 개입의 실태, 제도교육에서의 교육내용 검토,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검증, 교육내용의 구성, 교육적 접근으로 가능한 정책들과 논거 등을 살펴보았다. 저출산의 문제는 현대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국가사회적 당면 과제로서 그 원인과 대책을 동시에 고려할 때, 경제적인 요인과 더불어 가족문화와 가치관에 대한 요인에 주목하여 볼 필요가 있으며, 이 요인들을 고려한 해결책으로서 성평등하고 가족친화적인 가족문화와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더욱 강조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importance of 'family culture and values' in the process of diagnosing and discussing the causes and measures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I sought to find the causes of over - fertilization and ways to cope with it in terms of education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출산의 원인은? 17명으로서(KOSTAT, 2017), 국가・사회적으로 인구절벽에 대한 위기의 공감대가 확대되고 있다. 여러 학술 연구나 정책 평가 등(Chung, 2015; Kim, 2015; Lee, 2016; Lee, 2016a, 2016b)에서 제시하고 있는 저출산의 원인을 살펴보면 고용, 주거, 육아비용, 사교육비 등과 같은 ‘경제적 요인’, 성차별적 제도, 일-가정 양립곤란 문화, 기타 관행 등의 ‘사회구조적 요인’, 결혼관, 자녀관, 가족관과 같은 ‘가치관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2016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2016년 1.17명으로서(KOSTAT, 2017), 국가・사회적으로 인구절벽에 대한 위기의 공감대가 확대되고 있다. 여러 학술 연구나 정책 평가 등(Chung, 2015; Kim, 2015; Lee, 2016; Lee, 2016a, 2016b)에서 제시하고 있는 저출산의 원인을 살펴보면 고용, 주거, 육아비용, 사교육비 등과 같은 ‘경제적 요인’, 성차별적 제도, 일-가정 양립곤란 문화, 기타 관행 등의 ‘사회구조적 요인’, 결혼관, 자녀관, 가족관과 같은 ‘가치관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저출산에 대한 원인으로 경제적 요인과 함께 거론되는 요인은? 이 요인들의 가중치를 측정한다거나 요인간의 관련성의 정도를 밝히기는 매우 어렵지만, 많은 연구(Chung, 2009, 2012; Kim & Kim, 2008; Lee, 2016b; No, 2013)에서는 가장 주된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을 지목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가족문화와 가치관’과 같은 요인이 저출산의 또 하나의 본질적 이고도 심층적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해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과 논의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저출산의 원인이 ‘경제적 요인’만은 아니고(Oh, 2015),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사회문화 등 사회구조적 요인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 없이 저출산은 극복하기 힘들다(Chung, 2015)고 보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 S-C & Kim M-S (2011). A Study on the Outlook on Marriage and Delivery Will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21 Century Social Wellfare, 8(2), 153-176. 

  2. Chung S-H (2009). Socioeconomic Factors of the Low Fertility and the Future. Social Science Research, 48(2). 1-22. 

  3. Chung S-H (2012).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5(1), 31-52. 

  4. Chung S-H (2015).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and Its Problem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8(2), 113-134. 

  5. Do M-H (2011).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on Marriage and Childbirth to Future Marriage and Childbir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4), 163-178. 

  6. Embrain Business Division (2016). Research on low birthrate. macromil embrain. 1-33. 

  7. Jeon S-K, Park, Auh & Jung (2014). Development of healthy home life education program model.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mmissioned Report. 

  8. Jun M-K & Oh K-S (2010).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oceedings of 2010 Journal of Korean Home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45-73. 

  9. Kim H-H & Kim T-H (2008). The Family Value Changes and Educational Enforcement in the Low Fertility period.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1(1), 21-36. 

  10. Kim H-K & Lee S-L (2014). The Research on the Values and Lifestyles of Koreans. Education Culture Research, 20(4), 281-314. 

  11. Kim S-H (2015).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3rd basic plan for low birthrate and aged society. -The question of effectiveness of low birthrate measures must be supplemented-. Korea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20-21. 

  12. Kim T-H (2011).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tion Size and Structure -Based on 2010 population census results and 2011 population projuc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4(2), 101-125. 

  13. Kim T-H (2012). The Korean Population Then, Now, and Tomorrow.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91, 6-16. 

  14. Kim T-H, Yu J-Y & Kim H-H (2012). A Study on the Marriage and Child Valu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5(1), 1-22. 

  15. Lee D-W (2016). The new family culture is the first step to overcome low fertilit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36, 2-4. 

  16. Lee G-S (2012).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by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Journal of Korean Home Education Association, 24(1), 73-84. 

  17. Lee S-S (2016a).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Policy Response to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Healthy and Welfare Forum, (2016.01), 51-65. 

  18. Lee S-S (2016b). Strategies and Condi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3rd Basic Plan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Healthy and Welfare Forum, (2016.02), 6-17. 

  19. Lee S-Y & Hong D-A-G (2014). The Study on the Idea of Marriage and Childbirth Will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9(2), 3-28.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ird Basic Plan for the low birth rate measures low birthrate aged society highligh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s. 1-11. 

  21.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22. Na Y-M & Kim M-K (2012). Research on the Values the Pre Parents Generation Places on Marriage and Childbirth. Jour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16(2), 215-234. 

  23. No B-M (2013). Conceptual Structure and Policy on Causes of Low Fertility. Korean Political Science Bulletin, 21(2), 179-207. 

  24. Oh W-O, Kim H-S & Kim I-H (2014). A Study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the Preschool Children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8(4), 621-647. 

  25. Oh Y-S (2015). The Low Fertility and Individualization - 'Birth Strike' vs 'Birth Choice'. Trends and prospects, 94, 46-92. 

  26. Seo J-Y & Kim H-G (2015). Factors Influencing Married Women's Childbearing Willingness Based on Number of Children-Ever-Bor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8(3), 1-24. 

  27. Wang S-S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ducation Association, 25(1), 119-135. 

  28. Wang S-S & Lim, Y-M (2014). The Effects of Population Education on the Recognition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Journal of Korean Home Education Association, 26(4), 147-164. 

  29. Yang J-H (2015). The Effects of Family Life Education on Family Values, the Recognition of Population Education and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8(1), 105-120. 

  30. Yi S-H (2012). A Study on Married Women's Timing and Factors of Making the Decision to Stay Childless. Journal of Women's Studies, 22(3), 43-88. 

  31. Yu H-J (2016). Future population forecast and practical alternative of aging population policy, Population forecasting and low fertility strategi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ssociation, Proceedings, 1845-1868. 

  32. Yu J-Y (2012). The Study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amily Values. Social Studies Education, 51(3), 15-33. 

  33. Joongangilbo. [저출산 톡톡 10회] 저출산 극복 방안. 중앙일보. 2016.8.19.일자 

  34.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aw and System for Preventing and Strengthening Cutting of Female Career. 

  35. Yunhap News (2016). 신혼부부 평균 결혼자금 2억 7천만원. 1년새 15% 늘어. 연합뉴스 2016.2.1.일자 

  36. KOSTAT (2016). Social survey. 

  37. KOSTAT (2017). Census. 

  38.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4). Background and Implications of Lack of Birth Rate. VIP Report for Sustainable Growth, Vol 5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