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포그래픽 관점을 이용한 과학 잡지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Magazine in the View of Infographic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6, 2014년, pp.601 - 611  

전성수 (회원초등학교) ,  정진규 (부산대학교) ,  박종호 (진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적 사실, 현상, 첨단 과학 소식, 과학적 이슈 등을 독자들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한 표현수단으로 인포그래픽을 활용하고 있는 과학동아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의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을 짐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동아의 인포그래픽을 분석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유형, 시지각 특성, 프레임워크의 수준을 차원으로 하는 3차원 구성틀을 개발하였다. 이 구성틀에 의해 분석한 결과 과학동아는 1986년부터 2014년까지 이미지를 강조한 과학 기사를 발행하였으며 특히 2008년 이후부터는 인포그래픽이 포함된 기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2008년을 인포그래픽 특성 변화의 중요 기준이 되는 $T_c$(Critical time Point)로 설정하였다. 2008년 이후의 과학 기사의 인포그래픽은 위치, 시간, 수치, 관계, 기능, 과정 기반형의 6가지 스토리텔링 유형이 2008년 이전 보다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시지각 특성(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도 2008년 이후에 더욱 많이 적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레임워크의 수준은 위치, 시간, 수치, 과정 기반 인포그래픽은 전체 범위 수준이 주를 이루며 시간의 흐름에 변화가 없는 반면, 기능과 관계 기반 인포그래픽에서는 프레임워크의 수준이 2008년을 기준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인포그래픽 관점에서 과학동아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인포그래픽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여 과학교육에서 인포그래픽을 적용할 때 기초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science magazine, Science Donga providing scientific facts, phenomenons, and issues with infographic for the readers by time series analysis and to 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infographic on the science education. The criteria for the infograph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동아를 인포그래픽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1986년부터 2014현재까지 발행된 각 연도의 모든 호를 분석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 목표이므로 1986년부터 2년 단위로 각 해당 연의 1월호와 7월호를 분석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일 년에 12번 발행되는 과학동아의 1월호부터 12월호의 특성을 살펴보면, 1월호의 경우 당해 처음 발행되는 잡지로서 전년도 잡지와 그 구성 방향이 가장 많이 바뀌는 호이다.
  • 과학 잡지의 인포그래픽은 선구적인 역할로서 과학에서 인포그래픽을 도입하였으며, 그래픽 요소를 바탕으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을 있으므로 어떤 시지각 특성에 의해 정보가 강조되고 연결되는지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포그래픽의 특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서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을 짐작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아직 인포그래픽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지 않은 과학 교과서보다 과학적 사실과 현상, 첨단 과학 이슈 등과 같은 방대한 정보를 구독자의 관점에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 잡지인 과학동아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관점에서 시계열적인 분석과 그 특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포그래픽의 특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서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을 짐작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아직 인포그래픽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지 않은 과학 교과서보다 과학적 사실과 현상, 첨단 과학 이슈 등과 같은 방대한 정보를 구독자의 관점에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 잡지인 과학동아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관점에서 시계열적인 분석과 그 특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86년부터 2014년 7월까지 발간된 과학동아의 기사에 나타난 인포그래픽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과학동아에 나타난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과학적 사실, 현상, 첨단 과학 소식, 과학적 이슈 등을 독자들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한 표현수단으로 인포그래픽을 활용하고 있는 과학동아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의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을 짐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동아의 인포그래픽을 분석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유형, 시지각 특성, 프레임워크의 수준을 차원으로 하는 3차원 구성틀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포그래픽이란? 인포그래픽은 인포메이션(Information)과 그래픽(Graphic)의 합성어로 정보, 지식, 데이터를 명료화하거나 어려운 정보들을 빠르고 명확하게 통합하기 위해 의도된 그래픽적인 시각 표상이다(Newson & Haynes 2004; Smiciklas, 2012). 인포그래픽은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 중의 하나로 정보 시각화 또는 데이터 시각화라 불리기도 한다(Siricharoen, 2013).
지각이란? 지각은 다양한 외부 환경 자극으로부터 감각 수용기에 의해 받아들여져 재인하고, 조직화하고, 이해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Epstein & Rosers, 1995; Goodale & Haffenden, 1998; Kosslyn & Osherson, 1995). 다양한 외부자극을 받아들여 심적 표상을 형성하기 위해 유용한 감각 정보를 골라내고 조작하고(Peterson, 1999), 우리가 외부 사물을 표상하는 방식은 사물을 지각하는 우리의 시각적 관점에 의존하기도 한다(Tarr, 1995).
인포그래픽이 발전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신문기사, 뉴스 등에서도 글로만 표현하지 않고 각종 그래프, 통계표, 수치 자료 등을 사용한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를 꾀하고 있다(Kim & Shin 2014). 특히, 21세기의 눈부신 과학 발전, 인터넷의 대중화, 스마트 폰과 디바이스들의 등장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함께 방대하고 다양한 정보를 끊임없이 생산해내고 소비하고 있으며, 보다 경쟁적이고 즉시적인 형태로 정보를 가공하여 표현하려는 특징이 나타난다(Jung, 2012).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지금의 시대에는 정보, 사실, 사건 등을 단순히 전달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그래픽을 이용하여 정보의 발생 배경, 원인, 현황, 전개 과정, 결과, 맥락 등이 강조된 스토리텔링적 요소와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각화하는 요소가 결부된 인포그래픽(Infographic)이 발전하게 되었다(Kim & Shin,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insworth, S. (1999). The functions of multiple representations. Computers & Education, 33(2), 131-152. 

  2. Atkinson, R. C., & Shiffrin, R. M. (1968). Human memory: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es.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2, 89-195. 

  3. Baigrie, B. S. (Ed.). (1996). Picturing knowledg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roblems concerning the use of art in science. Toronto,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Booh, G. (2009). A study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35(1), 139-175. 

  5. Card, S. K., Mackinlay, J. D., & Shneiderman, B. (Eds.). (1999). Readings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Using vision to think. Morgan Kaufmann. 

  6. Cheon, J. (1999). Comparative study on DTP and the existing printing process. The Journal of Industrial Research, 15, 149-174. 

  7. Choi, J., & Kim, I. (2012). A Study on infographic for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of the big data era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Korea Science & Art Forum, 11, 165-175. 

  8. Eisenhart, D. M. (1996). Publishing in the information age: A new management framework for the digital era.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Epstein, W., & Rogers, S. (Eds.). (1995). Perception of space and motion. New York, NY: Academic press. 

  10. Fekete, J. D., Van Wijk, J. J., Stasko, J. T., & North, C. (2008). The valu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pp. 1-18). Berlin, Heidelberg: Springer. 

  11. Goodale, M. A., & Haffenden, A. (1998). Frames of reference for perception and action in the human visual system.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22(2), 161-172. 

  12. Jeon, S. (2013). Development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Jo, M., & Kim, J. (2010). The effects of MB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raphing skill and science process skill in earth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6), 637-646. 

  14. Jung S. (2012). A study on analysis of infographic trend of the social media Era.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2), 433-446. 

  15. Kim, H., & Shin, D. (2014). Representation method of info graphic imagetelling - Focusing on the Peirce`s Semiotics. Semiotic Inquiry, 39, 403-438. 

  16. Kim, H. (1987). Considerations and policies for science communication media. Seoul: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17. Kim, J. (2008).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Korea, Japan, and China.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2), 45-68. 

  18. Kim, T., Bae, D., & Kim, B. (2002).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4), 725-739. 

  19. Kim, Y., & Cho, K. (2013). Big data and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5), 959-974. 

  20. Koffka, K. (1935). Principles of gestalt psychology. New York, NY: Harcourt, Brace. 

  21. Kohler, W. (1929). Gestalt psychology. Rev. ed. 1947. New York, NY: Liveright. 

  22. Kosslyn, S, M., & Osherson, D, N. (Ed). (1995). An invitation to cognitive science: Visual cognition (Vol. 2). Mit Press. 

  23. Kosslyn, S. M., & Rabin, C. (1999). The representation of left-right orientation: A dissociation between imagery and perceptual recognition. Visual Cognition, 6(5), 497-508 

  24. Kosslyn, S. M., Seger, C., Pani, J. R., Hillger, L. A., & Stephen, M. (1990). When is imagery used in everyday life? A diary study. Journal of Mental Imagery, 14(3-4), 131-152. 

  25. Larkin, J. H., & Simon, H. A. (1987). Why a diagram is (sometimes) worth ten thousand words. Cognitive science, 11(1), 65-100. 

  26. Lee, C., & Kwon, C. (2013).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1), 13-19. 

  27. Lee, H. (2010). The publication history of korean popular science magazines - focus on the first issue -.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8. Leem, J., & Sung, E.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visualization tendency, attitude on the subjec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e IPTV based instruc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7(3), 423-446. 

  29. Lin, X. (1997). Map displays for information retriev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8(1), 40-54. 

  30. Min, E. (2014).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for effective infographic design in science digital textbooks. Journal of Digital Design, 14(1), 407-416. 

  31. Moere, A. V., & Purchase, H. (2011). On the role of design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10(4), 356-371. 

  32. Nam, G. (2011).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infographics in mobile media.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33. Nam, S. (2008). Productive discussion on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34(2), 71-99. 

  3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5. Newsom, D., & Haynes, J. (2007). Public relations writing: Form & Style. Belmont, CA: Wadsworth/Cengage Learning 

  36.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7. Noh, S., & Son, J. (2014). An analysis of the infographics featur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se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physics I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4), 359-366. 

  38. Norman, D. A. (1993). Things that make us smart: 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 New York, NY: Basic Book. 

  39. Park, K. (2008). The change of newspaper since the mid 1980s in Korea: Focusing upon Chosun Ilbo and Dong-A Ilbo (1984-2006).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4), 278-298. 

  40. Peterson, M, A. (1999). What's in a stage nam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mance, 25, 276-286. 

  41. Roh, B. (2010). An Inquiry into changing definition of publishing.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36(2), 55-87. 

  42. Seo, J., Dong, H., Chung, J., Han, J., Paik, S., & Kim, Y., (2010). Analysis of illustrations and misconceptions on the distance regulation of eye vision in science(biology) textbooks. Educational Research, 49, 5-29. 

  43. Siricharoen, W. V. (2013). Infographics: The new communication tools in digital age.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technologies and business on the web (EBW2013) (pp. 169-174). The Society of Digital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44. Smiciklas, M. (2012). The power of infographics: Using pictures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your audiences. Indianapolis: Que Publishing. 

  45. Sternberg, R. (2008). Cognitive psychology. Belmont, CA: Wadsworth/Cengage Learning 

  46. Sung, E.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zing relationships of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and academic ability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3), 27-50. 

  47. Sung, E., Leem, J., & Kim, S. (2010). Affects of visualization tendency of attitude on subjec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e IPTV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3), 293-320. 

  48. Tarr, M. J. (1995). Rotating objects to recognize them: A case study on the role of viewpoint dependency in the recogni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1), 55-82. 

  49. Tufte, E. R. (1990). Envisioning information. Cheshire, CT: Graphics Press. 

  50. Tufte, E. R. (2001). The visual display of quantitative information (2 nd ed.). Cheshire, CT: Graphics Press. 

  51. Ware, C. (1999). Information visualization: Perception for design. St. Louis, MO: Elsevier. 

  52. Wertheimer, M. (1938). Gestalt theory. Raleigh, NC: Hayes Barton Press 

  53. Wi, D. (2010). A case study on the information graphics applied gestalt Law.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3(1), 109-117. 

  54. You, S., & Kim H. (2004). Basic design & art: Framework levels and visualization attributes of diagram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5(2), 195-204. 

  55. You S. (2004). The application of digital-diagrams as infographic material in multimedia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57, 133-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