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수행 경험이 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 및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isconceptions in Physics and Perceptions on "Teacher as a Researcher" through the Research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5, 2014년, pp.449 - 457  

고연주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로서의 교사(teacher as researcher)'의 개념을 적용하여 방법론 강의를 구성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학생들이 갖는 오개념을 직접 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사로서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3, 4학년의 예비물리 교사 25명이며,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선개념과 오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과학 학습 이론에 대해 학습한 후, 관심 있는 물리학 분야를 선택하여 오개념 조사를 위한 문항을 제작하였다. 설문을 실시하는 것부터 오개념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는 것까지 연구 과정을 거쳤으며, 조사에서 나타난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교수 전략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개념 조사를 진행한 예비교사와의 개별 면담을 주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수업 관찰에서 작성한 연구노트와 예비교사들의 최종 보고서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였다. 면담의 전 과정은 녹음한 후 전사하여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물리 오개념의 종류와 양상, 형성 원인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둘째, 연구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적절한 교수전략에 대한 지식을 정교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문항을 개발하고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물리 내용 지식을 재점검 하였으며, 넷째, 본인 스스로를 되돌아봄으로써 연구자로서의 교사 역할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eachers should have be aware of and understand students' misconceptions, which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PCK. However, teachers often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isconceptions and in apply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change misconcep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교사들이 관점의 이동을 위해 어떤 경험이 필요한가? 따라서, 이론에 대한 학습만으로는 학습자의 관점으로부터 교사로의 관점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며 (Frederik et al., 1999), 관점의 이동을 위해서는 실제 학생들을 가르치는 현장과 유사한 상황에서 본인의 생각과 반대되는 순간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드러내는 오개념을 실제로 관찰함으로써, 학생들이 과학을 이해 하는 방식과 오개념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지식을 갖추어야한다. 그러나 예비교사가 한 달 간의 교육실습과 일정 시간의 교육봉사를 통해 이러한 지식을 갖추는 것은 쉽지 않다.
예비교사은 어떤 관점 전환이 요구되는가? 특히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에서 교사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우는 사람에서 가르치는 사람으로의 관점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론에 대한 학습만으로는 학습자의 관점으로부터 교사로의 관점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며 (Frederik et al.
중 고등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학생들이 갖는 오개념을 직접 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물리 오개념의 종류와 양상, 형성 원인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둘째, 연구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적절한 교수전략에 대한 지식을 정교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문항을 개발하고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물리 내용 지식을 재점검 하였으며, 넷째, 본인 스스로를 되돌아봄으로써 연구자로서의 교사 역할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derson, R. D., & Mitchener, C. P. (1994). Research on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3-44). New York, NY: Macmillan. 

  2. Berg. T., & Brouwer. W. (1991). Teacher awareness of student alternate conception about rotational motion and grav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 3-18. 

  3. Bisard, W., Aron, R., Francek, M., & Nelson, B. (1994). Assessing selected physical science and earth science misconceptions of middle school through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Breaking the science misconception cycl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4(1), 38-42. 

  4. Churcher, K. (2007). From the bottom up: Researching in the classroom. Education Canada, 47(3), 64-66. 

  5. Cochran-Smith, M., & Lytle, S. (1993). Inside/outside: Teacher research and knowledg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6. Diaz, M. R., Trujillo, L. A. G., & Rodriguez, M. (2013). Misconceptions of mexican teachers in the solution of simple pendulum. European Journal of Physics Education, 4(3), 17-27. 

  7. Driver, R., Squires, A., Rushworth, P., & Wood-Robinson, V. (1994). Making sense of secondary science: Research into children's ideas. New York, NY: Routledge. 

  8. Duit, R. (1993). Research on students' conceptions-developments and trend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9. Fosnot, C. (199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 and practic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0. Frederik, I., Der Valk, T. V., Leite, L., & Thoren, I. (1999). Pre-service physics teachers and conceptual difficulties on temperature and heat.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2(1), 61-74. 

  11. Gomez-Zwiep, S. (2008).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science misconcep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5), 437-454. 

  12.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3. Guzzetti, B. J. (2000). Learning counter-intuitive science concepts: What have we learned from over a decade of research? Reading & Writing Quarterly, 16(2), 89-98. 

  14. Halim. L., & Meerah, S. M. (2002). Science traine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ts influence on physics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0(2), 215-225. 

  15. Hammer, D. (1996). More than misconceptions: Multiple perspectives on student knowledge and reasoning, and an appropriate role for education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4, 1316-1325. 

  16. Hamza, K. M., & Wickman, P. O. (2008). Describing and analyzing learning in action: An empirical study of the importance of misconceptions in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2(1), 141-164. 

  17. Han, S., Kang, S., & Noh, T. (2010).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science topic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74-483. 

  18. Hashweh, M. Z. (1986). Toward a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3), 229-249. 

  19. Jang, M. (2009).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n students' science misconcep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425-439. 

  20. Jang, M. (201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children's science misconcep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1), 32-46. 

  21. Kim, B., & Kwon, J. (1995).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scientific concepts and the patterns of cognitive conflict on the change of students concep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4), 472-486. 

  22. Lee, I., Choi, K., Hahn, I., Kim, S., & Lee, H. (2009). The effec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in nuclear physics research on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career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5), 541-551. 

  23. Liston, D. P., & Zeichner, K. M. (1990). Reflective teaching and action research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6(3), 235-254. 

  24.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25. Marion, R., Hewson, P. W., Tabachnick, B. R., & Blomker, K. B. (1999). Teaching for conceptual chang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methods courses. Science Education, 83(3), 275-307. 

  26. Meyer, H. (2004). Novice and expert teachers' conceptions of learners' prior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8(6), 970-983. 

  27.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8. Park, J., Han, S., & Noh, T. (2010). Secondary science teach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42-53. 

  29.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0. Park, Y. (2012).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and their perceived educational nee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1.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32.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NY: Basic Books. 

  33.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4. Smith, K., & Sela, O. (2005). Action research as a bridge betwee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tudents and teacher educator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3), 293-310. 

  35. Song, J., Kim, I., Kim, Y., Kwon, S., Oh, W., & Park, J. (2004). A map of students' misconceptions in Physics. Seoul, Korea: Bookshill. 

  36. Stengel, B. S. (1997).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 Contestable curricular concept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5), 585-602. 

  37. Tamir, P. (1988).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2), 99-110. 

  38. van Zee, E. H. (1998). Preparing teachers as researchers in courses on methods of teaching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791-809. 

  39. Yoon, H. (201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loration of children's science id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164-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