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탄소흡수원이며 재생가능한 자원인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량 및 에너지로서의 잠재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도화 및 프로그램화 하고자 하였다. 2010년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은 804백만톤이며, 이 중 임상별로는 침엽수 265백만톤, 활엽수 282백만톤, 혼효림 257백만톤이 점유하고 있었고, 지역별로는 산림축적량에 비례하여 강원도가 가장 많은 바이오매스 양을, 다음이 경상북도, 경상남도 순이었다. 우리나라 산림에서 매년 상업적으로 벌채하여 제재목 등으로 이용되고 남은 목질부 바이오매스는 707천톤/년 정도가 되며, 숲가꾸기를 하여 원목으로 이용되는 양을 제외한 바이오매스 양은 592천톤/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연간 시장으로 공급 가능한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은 약 1,300천톤/년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석유환산량으로 전환하면 약 585천 toe/년이 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프로그램 개발하기 위해 사용된 시스템은 Microsoft Office Excel, Microsoft Office Access ArcGIS, Microsoft Visual Basic 6.0 이었으며,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ESRI MapObjects2.1 개발 도구를 이용하였다.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BiomassMap V2.0) 프로그램은 축적, 바이오매스 총 저장량, 시업지 연간 바이오매스 생장량, 상업적 벌채에 의한 바이오매스 생산량, 숲가꾸기에 의한 바이오매스 생산량 등을 지도로 나타내고, 이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는 시도별, 임상별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작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본 바이오매스 지도는 산림이용 관리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forest biomass resource which is a carbon sink and a renewable resource in Korea. The total forest biomass resource potential was 804 million tons, and conifers, broad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accounted for 265 million tons, 282 million tons, and 257 milli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던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map)는 바이오매스 총 저장량, 임상별·시군구별 시업지에서의 보유 잠재량을 지도로 나타내기 위함이 주목적이 었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업적 벌채, 숲가꾸기 등에 따른 시장공급 가능한 바이오매스 생산량 및 바이오매스를 탄소저장량으로 전환한 정보 등을 지도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쉽고, 이용자의 목적에 맞게 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던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map)는 바이오매스 총 저장량, 임상별·시군구별 시업지에서의 보유 잠재량을 지도로 나타내기 위함이 주목적이 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바이오에너지원 중 IPCC가 인정한 유일한 탄소흡수원이자 재생가능한 자원인 산림에서 이용 가능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자원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지역별, 임상별, 시군구별 자원량 산정을 통해 이의 에너지화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원목으로 이용가능한 부분을 나타내는‘조재율(造材率)’을 적용하였는데, Korea Forest Service(1981)의 자료에 따라 침엽수의 경우는 벌목된 임목의 85%는 상업적으로 이용하며, 활엽수는 70%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였다.
  • 한편 본 분석에서는 ‘상업적 벌채’에서 나오는 물량 중 목재(제재목, 합판재 등)로서 이용되는 물량을 제외한 물량, 즉, 목재로서 이용가능한 줄기 말구직경까지의 부위를 제외한 초두부와 가지부분 만을 바이오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간주하여 시장가치가 있는 바이오매스 자원이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AO. 2010.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10. Rome, Italy. 

  2. http://www.sanrimji.com/site/websolution/menu/1368.do?articleNo16377&categoryNo53&issueNo779&p_2518_m_ 1_scenearticle-detail. 

  3. http://www.sanrimji.com/site/websolution/menu/1368.do? articleNo16377&categoryNo53&issueNo779&p_2518_m_1_scenearticle-detail. 

  4.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Hayama, Japan. 

  5.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ume 4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Hayama, Japan. 

  6. IPCC. 2011. Special Report on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SR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 1075. 

  7. Kim, K.D. and Park, I.H. 1989.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Sasa purpurascens at a velly in Mt. Baeun area. Research Bulleti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 25: 15-21. 

  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2. Yearbook of regional energy statistics.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3. p. 300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1981. Technic of forest. Korea Forest Service. p. 1362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2011. Efficiency improvement plan in manufacturing facility of wood pellet. Timber Industry Division in Korea Forest Service Internal Data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2011. Sta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p. 484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2012. Annual mean table for growth rate of volume by province. Korea Forest Institute Notification 2012-85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 2013a. Forest tending production by year ('04-'12). Korea Forest Service Internal Data (in korean). 

  14. Korea Forest Service. 2013b. Production of big tree by year ('98-'12). Korea Forest Service internal data (in korean). 

  15. Li, X., Yi, M.J., Son, Y.H., Jin, G., and Han, S.S. 2010. Forest biomass carbon accumulation in Korea from 1954 to 2007.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5(6): 554-563.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wood utilization promotion plan. http://www.rinya.maff.go.jp (in Japanese). 

  1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3.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Energy Act, Paragraph 1 of Article 5. 

  18. Park, I.H., Seo, Y.K., Kim, D.Y., Son, Y.H., Yi, M.J., and Jin, H.O. 2003.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stand and a Quercus variabilis stand in Chuncheon, Kangwon-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1): 52-57. 

  19. Renewable Energy World. 2009. Sun day analysis: renewable accunt for 11% of US energy production http://www.renewableenergyworld.com. 

  20. Son, Y.M., Kim, J.C., Lee, K.H., and Kim, R.H. 2007. Forest biomass assessment in Korea. Korea Forest Institute Research Report 07-22. p. 105 (in Korean). 

  21. Son, Y.M., Lee, K.H., Kim, R. Pyo, J.K., Park, I.H., Son, Y., Lee, Y.J. and Kim, C. 2010. Carbon factors in major species for forest green gas inventory. Korea Forest Institute Research Report 11-25. p. 89 (in Korean). 

  22. Yim, K.B., Lee, K.J., and Kwon, T.H. 1984. Spatial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in Pinus rigida ${\times}$ taeda plant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Research Society 4(1): 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