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근로자의 피로도와 스트레스 및 재해위험의 구조적 관계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atigue and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Disaster Risks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3, 2014년, pp.35 - 44  

양용구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  김병석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much effect levels of fatigue and stress of a construction worker have on disaster risk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factors concerning construction disaster risk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work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들의 건설사고재해 발생위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Lee et al.[23]과 이순열·이순철[24]의 TARI에 사용된 설문항목을 건설산업 및 건설근로자에 맞게 수정하여 3개 항목을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재해의 인적요인 측면에서 건설근로자의 피로도와 스트레스가 건설재해위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건설근로자가 지니는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적 피로도와 정신적 피로도에 따라 재해위험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불안전 행동의도가 재해위험에 어떠한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건설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의도가 재해위험으로 이어지는데 있어서, 이들의 정신적 피로도,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신체적 피로도보다 유의미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육체 노동자에게서 소홀하기 쉬운 심리정신적 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는 건설재해위험의 영향요인으로서 건설근로자의 스트레스 및 피로도와 그에 따른 불안전 행동의 도가 재해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따라서 각각의 변수들과 매개변인 그리고 종속변인의 구조적 관계와 각 변인들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Fig.
  • 본 연구는 건설재해위험의 인적 속성 측면에서, 건설 근로자의 스트레스 및 피로도가 재해위험에 얼마나 영향력을 가지는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건설 근로자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신체적 피로도, 정신적 피로도에 따라 재해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불안전 행동의도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요인의 수를 최소한으로 산출하고 최초 변인들이 지닌 정보를 극대화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주성분 분석과 잠재적인 차원을 추출해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탐색적 요인분석(EFA :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재해의 인적요인 측면에서 건설근로자의 피로도와 스트레스가 건설재해위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건설근로자가 지니는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적 피로도와 정신적 피로도에 따라 재해위험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불안전 행동의도가 재해위험에 어떠한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Table 8]과 같이 가설 1의 직무스트레스, 가설 2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가설 4의 개인적 피로도는 불안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의 불안전 행동의도는 재해위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렇게 총 4개의 가설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경로 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최종 채택되었다.
  • 따라서 [Table 8]과 같이 가설 1의 직무스트레스, 가설 2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가설 4의 개인적 피로도는 불안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의 불안전 행동의도는 재해위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불안전 행동의도는 재해위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불안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재해위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신체적 피로도는 불안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정신적 피로도는 불안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산업은 70년대를 기점으로 어떻게 변해왔는가? 한국의 산업은 70년대를 기점으로 경공업 중심에서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80년대에는 기계·전자와 같은 조립가공산업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90년대 중반부터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IT 관련 산업이 발전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산업성장을 위해 新성장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구조로 변화되어 왔다. 이렇게 산업구조가 개편되면서 국내산업은 높은 생산비용과 관리비용 지출 등이 문제가 발생 하게 되었고,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근로손실도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건설산업에서 산업재해는 얼마나 비중을 차지하는가? 특히 건설산업은 전체 산업재해의 1/3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재해다발 산업으로서 건설재해 예방은 국가적 당면 과제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2012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통계에 의하면, 전체 산업재해자는 92,256명이고, 이중 건설업 재해자가 23,349명으로 전체의 25.
건설산업의 재해 비율과 추세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특히 건설산업은 전체 산업재해의 1/3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재해다발 산업으로서 건설재해 예방은 국가적 당면 과제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2012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통계에 의하면, 전체 산업재해자는 92,256명이고, 이중 건설업 재해자가 23,349명으로 전체의 25.3%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별 종사자수를 대비하였을 때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공단(2013), "산업재해 예방제도 구축 및 운영." 23 

  2. 안전보건공단(2013), 2012년도 산업재해분석. 

  3. Jae-Hwan Jo(2010), "A Safety on Safety Education Analysis by Affect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case of G construction company." Journal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2010(1): 113-129 

  4. Mi-Ra Lee(2011),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 Health Nursing, 20(3): 279-288. 

  5. Dong-gin Gwak, Jeong-Ro Park, Jae-Jun Kim(2012), "Construction Workers on the Job Stress Factors Affecting the Correl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2(2): 609-610. 

  6. Hyeong-Seong Jin, Eun-Dong Lee(2013), "Developing the Path Model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13(2): 169-180. 

  7. Hye-Gyeong Lee, Bok-Mi Jeong(2007),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Improving Agents and Health Safety by Make Workers in the Chonnam Y대녀 Industrial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12(5): 569-582. 

  8. Sei-Jin Chang, Sang-Baek Koh, Dongmug Kang, Seong-Ah Kim, Jin-Joo Chung, Chul-Gab Lee, Myung-Geun Kang, Sook-Jung Hyun, Jung-Jin Cho, Bong-Suk Cha, Jong-Ku Park(2005), "Fatigue as a Predictor of Medical Utilization, Occupational Accident and Sickness Absence." Korean Journal Occup Environ Med, 2005;17(4):318-332. 

  9. 한국산업안전공단(2006), "사무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실태조사." 

  10. 장세진(2000), "건강 통계 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연구-스트레스." 대한예방의학회 편, 계축문화사, 92-143. 

  11. Goldberg, D. P.(1978),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insor: NFER Publishing Company. 

  12. 김윤주(1983), "일부 초, 중, 고교 교사들의 피로자각 증상에 관한 비교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혜선(1993),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상황과 피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현술(1995), "산업피로의 특성 및 관리." 한국산업간호협회지. 2(2): 34-39. 

  15. Mattews, D. A., Manus, P., & Lane, T. J.(1991),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Am J Med Sci, 302: 269-277. 

  16. Jae-Soon Pa가(2002),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in Working Nurses at Hospital."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4): 500-558. 

  17. 박영석(2009), "안전의식 기본검사 프로그램 개발." 산업안전보건공단. 

  18. Heinrich, W. W.(1931),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 McGraw-Hill. 

  19. Bird, F.(1974), "Management guide to loss control." Atlanta, GA: Institute Press. 

  20. 문고리(2009), "안전행동의 차원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Warner, H. W., & Aberg, L.(2006), "Drivers' decision to speed: A study inspired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Park F, 9: 427-433. 

  22. Hole, G. J.(2009), "The psychology of driving." 이재식 역. 서울: 박학사. 

  23. Lee, S. Y., Lee, S. C., & Song, H. W.(200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raffic Accident Risk Index(TAR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 Pacific Psychology (ICAPP). 

  24. Soon-Yeol Lee, Soon-Cheol Lee(2010), "Validation Stud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raffic Accident Risk Index(TARI)."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1): 75-87. 

  25. Jae-Hee Lee, Kwang-Soo Mun, Sei-Jin Oh(2010), "The Effects of Stress Reponse on Safety Behavior :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the Safety Management & Science, 12(4): 3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