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상적하보험에서 국제선박 및 항만시설 보안규칙의 적용상 법률적 쟁점
Legal Issues in Application of the ISPS Code under Marine Cargo Insuranc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3, 2014년, pp.307 - 316  

이원정 (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유병룡 (맥스피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view of the increased threat arising terrorism,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adopted the 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 (ISPS Code) which attached to the SOLAS Convention. The ISPS Code requires a comprehensive set of measures to enhance the security of ship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해상적하보험에서 ISPS규칙의 실무상 적용과 관련하여, 운송선박의 ISPS규칙 위반이 피보험자인 화주의 MIA상 묵시담보위반에 해당되는가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판례연구를 병용할 것이며, 세부적으로 제2장에서는 ISPS규칙과 적하ISPS 특약의 주요 내용을 살피고,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운송 선박의 ISPS규칙위반과 MIA상 감항성 묵시담보의 관계, ISPS규칙위반과 적법성 묵시담보의 관계로 나누어 검토한 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석원칙을 제시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국제해상운송선박에 적용되는 ISPS규칙이 해상적하보험계약에 미치는 법률상 쟁점을 규명하고, 해석원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가지며, 계약당사자간 분쟁예방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기여를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John호 사건에서 영국법원의 입장을 고려할 때, 선박이 해상안전에 관한 규칙을 위반했다고 하더라고 적법성 묵시담보위반을 이유로 적하보험계약이 무효가 되지는 않는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28) ISPS 규칙의 제정 목적은 발생 가능한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대한 해상안전을 제고하는 것이지, 위반시 해상보험계약을 무효로 하여 피보험자의 보험금 청구권까지 배제 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설사, 운송선박의 ISPS규칙 위반이 위법한 행위로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위법행위는 선박보험상 피보험자인 선주의 위법행위이지, 적하보험상 피보험자인 화주의 위법행위 라고 볼 수도 없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하 ISPS특약의 주요 내용은? ISPS규칙의 발효에 따라 영국해상보험시장은 적하 ISPS특약(Cargo ISPS Endorsement)을 제정하여 보험 자로 하여금 이 특약을 해상적하보험증권에 첨부하도록 하고 있다. 이 특약은 보험목적물인 적하를 운반하는 선박이 ISPS규칙에서 요구하는 국제선박보안증서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보험목적물에 대한 일체의 멸실, 손상, 비용을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그런데 적하ISPS특약의 적용여부는 적하보험자의 선택사항이므로 해상적하보험증권에 이 특약이 첨부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물이 ISPS규칙을 위반한 선박으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손해를 입은 경우, 적하보험자는 1906년 영국해상보험법(Marine Insurance Act : 이하 MIA라 함)에서 규정하고 있는 감항성(seaworthine ss)과 적법성(legality)이라는 두 가지 묵시담보를 위반 했다는 이유로 면책을 주장할 수 있는지가 법률상 쟁점이 된다.
해상적하보험이란?` 해상적하보험(Marine Cargo Insurance)은 보험의 목적인 적하에 대한 소유자로서의 피보험이익에 관한 보험이다.1) 즉 해상적하보험은 국제물품매매의 목적물이면서 해상물건운송의 대상이 되는 운송물을 보험의 목적으로 하여 그 적하에 대한 소유자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보호하는 보험으로서, 보험사고로 인한 운송물의 물적 손해, 비용 손해, 제3자에 대한 배상책임손해를 보상한다. 따라서 원활한 무역거래를 위해서는 해상적하보험의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해상적하보험은 어떤 손해를 보상하는가? 해상적하보험(Marine Cargo Insurance)은 보험의 목적인 적하에 대한 소유자로서의 피보험이익에 관한 보험이다.1) 즉 해상적하보험은 국제물품매매의 목적물이면서 해상물건운송의 대상이 되는 운송물을 보험의 목적으로 하여 그 적하에 대한 소유자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보호하는 보험으로서, 보험사고로 인한 운송물의 물적 손해, 비용 손해, 제3자에 대한 배상책임손해를 보상한다. 따라서 원활한 무역거래를 위해서는 해상적하보험의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Ermal Xhelilaj et a.(2010), "Main Issu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ISPS Code, 2002)", Maritime Transport & Navigation Journal, Vol.2 No.2. 

  2. Howard Bennett(2006), The Law of Marine Insurance, Oxford University Press. 

  3. IMCA(2007),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Ship & Port Facility Security Code. 

  4. John Dunt(2009), Marine Cargo Insurance, Informa, ; Jonathan Gilman et al., Arnould's Law of Marine Insurance and Average, Sweet & Maxwell, pp.102-103. 

  5. K. S. Vishwanath(2010), Insuring Cargoes : A Practical Guide to the Law and Practice, Witherbys Insurance. 

  6. Kyriaki Noissia(2007), The Principle of Indemnity in Marine Insurance Contract, Springer. 

  7. Owen Tang(2006), "Legal Implication of the ISPS Code on Marine Insurance", Shipper's Today, Vol. 29. 

  8. R. J. Lambeth(1986), Templeman on Marine Insurance, Pitman, p.431. 

  9. Robert H. Brown(1986), Marine Insurance : Principle and Basic Practice, Witherby & Co. Ltd., p.93. 

  10. Susan Hodges(1996), Law of Marine Insurance, Cavendish Publishing Limited, p.123. 

  11. 이원정.김태우(2007), "영국해상보험법상 제39조 5항과 제17조의 해석에 관한 The Star Sea사건 판례연구", 무역학회지 제32권 제2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