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Current Status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3 no.3, 2014년, pp.206 - 214  

길지현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  김창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국으로부터 도입된 관상식물의 귀화 사례가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고 있다.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생태계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귀화식물 309종을 대상으로 관상식물로 분류할 수 있는 78종의 목록을 작성하고, 생활형과 원산지 전세계적인 귀화 및 규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에 귀화한 외래 관상식물은 국화과 식물이 23종으로 가장 많았다. 75종이 초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년생 식물이 일년생 및 이년생 식물에 비해 많았다.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이 가장 많았으며, 약모밀을 제외한 나머지 77종은 해외에서도 귀화 사례가 보고되었다. 미국쑥부쟁이와 양미역취 등 34종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규제 또는 주의 대상으로 분류된 종들이므로, 이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ous cases have been reported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To obtain basic data about how those plants affect the ecosystems of Korea, we compiled a list of 78 species categorized as ornamentals from 309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life forms, origin,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귀화된 관상식물로 구분된 종에 대하여 국내외의 규제와 관리 현황도 함께 파악하고자 했다. 국내의 규제현황으로 생태계교란 생물(Kil et al.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보고된 귀화식물을 대상으로 관상식물의 목록을 정리하고, 이들의 생활형, 원산지, 해외에서의 귀화 현황 및 국내외에서 법적인 규제와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관상용으로 수입되는 외래식물의 국내 생태계 정착과 이에 따른 생태계 영향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생태계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생활형과 원산지 전세계적인 귀화 및 규제 현황을 분석 한 결과는?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생태계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귀화식물 309종을 대상으로 관상식물로 분류할 수 있는 78종의 목록을 작성하고, 생활형과 원산지 전세계적인 귀화 및 규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에 귀화한 외래 관상식물은 국화과 식물이 23종으로 가장 많았다. 75종이 초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년생 식물이 일년생 및 이년생 식물에 비해 많았다.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이 가장 많았으며, 약모밀을 제외한 나머지 77종은 해외에서도 귀화 사례가 보고되었다. 미국쑥부쟁이와 양미역취 등 34종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규제 또는 주의 대상으로 분류된 종들이므로, 이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2014년 기준으로 환경부에서 외래 귀화식물로 분류하는 관속식물은 얼마나 되는가? 2014년을 기준으로 환경부에서는 309종의 관속식물을 외래 귀화식물로 분류하고 있다(NIER, 2014). 우선 국내에서 출판된 귀화식물도감(Park, 1995; Park, 2001; Park, 2009)을 이용하여 관상식물로 이용하고자 도입하였다가 환경으로 일출되어 귀화된 식물을 선별하였다.
침입외래식물 유입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위해성으로부터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침입외래식물의 유입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위해성으로부터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래식물의 유입 경로를 파악하고, 주요 유입 경로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래식물은 주로 식용 또는 사료용 곡물 수입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혼입되어 국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지만(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Korea. 2014. Plant protection Act. http://www.qia.go.kr (Accessed Jun. 20, 2014). (In Korean) 

  2. Australian Weeds Committee. 2014. Noxious weed list for Australian states and territories. http://www.weeds.org.au (Accessed Jun. 20, 2014). 

  3. Bell, C.E., Wilen, C.A. and Stanton, A.E. 2003. Invasive plants of horticultural origin. HortScience 38:14-16. 

  4.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2014. Weed seeds Order, 2005. http://www.inspection.gc.ca/plants/seeds/eng (Accessed Aug. 25, 2014). 

  5. DAISIE. 2014. DAISIE European invasive alien species gateway. http://www.europe-aliens.org (Accessed Jun. 20, 2014). 

  6. Dehnen-Schmutz, K. 2011. Determining non-invasiveness in ornamental plants to build green lists. J. Appl. Ecol. 48:1374-1380. 

  7. Dehnen-Schmutz, K., Touza, J., Perrings, C. and Williamson, M. 2007. The horticultural trade and ornamental plant invasions in Britain. Conserv. Biol. 21:224-231. 

  8. Forman, J. 2003.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plant species into Europe: issues and consequences. pp. 17-39. In: Child, L., Brock, J., Brundu, G., Prach, K. Pysek., et al. (Eds.). Plant invasions: Ecological threats and management solutions. Backhuys Publishers, Leiden, Netherlands. 

  9. Foxcroft, L.C., Richardson, D.M. and Wilson, J.R.U. 2008. Ornamental plants as invasive aliens: Problems and solutions in Kruger National Park, South Africa. Environ. Manage. 41:32-51. 

  10. GB Non-Native Species Secretariat. 2014. GB Non-native Species Information Portal. http://www.nonnativespecies.org/factsheet/index (Accessed Jun. 20, 2014). 

  11. Hanspach, J., Kuhn, I., Pysek, P., Boos, E. and Klotz, S. 2008. Correlates of naturalization and occupancy of introduced ornamentals in Germany. Perspect. Plant Ecol. Evol. Syst. 10:241-250. 

  12. Khuroo, A.A., Malik, A.H., Reshi, Z.A. and Dar, G.H. 2010. From ornamental to detrimental: plant invasion of Leucanthemum vulgare Lam. (Ox-eye Daisy) in Kashmir valley, India. Curr. Sci. 98:600-602. 

  13. Kil, J.H., Shim, K.C., Park, S.H., Koh, K.S., Suh, M.H., et al. 2004.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South Korea. Weed Technol. 18:1493-1495. 

  14. Kil, J.H., Hwang, S.M., Lee, D.H., Kim, D.E., Kim, Y.H., et al. 2011.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15. Kim, Y.H., Kil, J.H., Hwang, S.M. and Kim, S.Y. 2013. The colored illustrated book of alien plant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 2014.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 (Accessed Aug. 18, 2014). (In Korean) 

  17. Lee, J.-K. and Han, B.-K. 1995. A study on the ground cover plants applic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J. Kor. Inst. Trad. Lands. Architect. 13:39-48. (In Korean) 

  18. Lee, J.-S., Bang, K.-J. and Kwack, B.-H. 1991. Studies on the present statu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in winter of Seoul. J. Kor. Inst. Trad. Lands. Architect. 19:1-15. (In Korean) 

  19. Lee, J.-S., Kim, Y.-J., Sim, W.-K. and Lee, S.-R. 1979. A study on the planting trend of garden plants in modern landscaping in Korea. J. Kor. Inst. Trad. Lands. Architect. 13:1-11. (In Korean) 

  20. Lee, K.E., Lee, W.T., Park, B.W. and Jo, H.K. 1988. Th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ing plants in Kangweon-do. J. Kor. Inst. Trad. Lands. Architect. 15:33-50. (In Korean) 

  21.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22. Li, Y., Cheng, Z., Smith, W.A., Ellis, D.R., Chen, Y., et al. 2004. Invasive ornamental plants: problems, challenges, and molecular tools to neutralize their invasiveness. Crit. Rev. Plant Sci. 23:381-389. 

  23. Mack, R.N. and Lonsdale, W.M. 2001. Humans as global plant dispensers: Getting more than we bargained for. BioScience 51:95-102. 

  24.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2004. Alien species recognized to be established in Japan or found in the Japanese wild (October 27, 2004). http://www.env.go.jp/en/nature/as/041110 (Accessed Jun. 20, 2014). 

  25. Mito, T. and Uesugi, T. 2004.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The status quo and the new regulation for prevention of their adverse effects. Global Environ. Res. 8:171-191. 

  26.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Data search for alien species in Korea. http://www.nier.go.kr/eric/portal/erip/ne/ne-m2/erip-me-06 (Accessed Jun. 20, 2014). 

  27. NIES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2014. Invasive species of Japan. http://www.nies.go.jp/biodiversity/invasive/index (Accessed Jun. 20, 2014). 

  28. Oh, S.-M., Kim, C.-S., Moon, B.-C., Park, T.-S. and Oh, B.-Y. 2003. Present status of exotic weeds found in Korea since 1981. Kor. J. Weed Sci. 23:160-171. (In Korean) 

  29. Ohsawa, T. and Osawa, T. 2014. Quantifying effects of legal and non-legal designations of alien plant species on their control and profile. Biol. Invasions. (In press) 

  30.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1.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3. Park, S.H., Shin, J.H., Lee, Y.M., Lim, J.H. and Moon, J.S. 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FRI research bulletin No. 19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Korea national arboretum, Ukgo Press, Seoul, Korea. (In Korean) 

  34. Park, S.-K., Jung, H.-H. and Jung, M.-N. 2011. Garden plants in Korea. KSI Publishing, Seoul, Korea. (In Korean) 

  35. Randall, R. 2001. Garden thugs, a national list of invasive and potentially invasive garden plants. Plant Protect. Quart. 16:138-171. 

  36. Reichard, S.H. and White, P. 2001. Horticulture as a pathway of invasive plant introductions in the United States. BioScience 51:103-113. 

  37. Republic of Korea. 2014. Republic of Korea's fifth national report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oul, Korea. 

  38. Shimizu, N., Morita, H. and Hirota, S. 2001. Naturalised plant invaders of Japan - 600 Invaders. Zenkoku Noson Kyoiku Kyokai, Tokyo, Japan. (In Japanese) 

  39.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2014. Catalog of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United States. http://sciweb.nybg.org/science2/hcol/inva/index (Accessed Aug. 18, 2014). 

  40. USDA ARS. 2014.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Online Database]. http://www.ars-grin.gov/cgi-bin/npgs/html/taxecon (Accessed Jun. 20, 2014). 

  41. USDA NRCS. 2014. Plants database. http://plants.usda.gov. (Accessed Jun. 20, 2014). 

  42. Uyemura, S., Katsuyama, T., Shimizu, N., Mizuta, M., Morita, H., et al. 2010. Naturalised plant invaders of Japan - 500 invaders. Zenkoku Noson Kyoiku Kyokai, Tokyo, Japan. (In Japanese) 

  43. Weber, E. 2003.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world. A reference guide to environmental weed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44. Weber, E., Sun, S.-G. and Li, B. 2008. Invasive alien plants in China: diversity and ecological insights. Biol. Invasions. 10:1411-1429. 

  45. Yoon, P.S. 2001. Hortus of Korea. Kyohaksa, Seoul, Korea. (In Korean) 

  46. Yoon, P.S. 2006. Herb. Kyohaksa, Seoul, Korea. (In Korean) 

  47. Zenni, R.D. 2014. Analysis of introduction history of invasive plants in Brazil reveals patterns of association between biogeographical origin and reason for introduction. Austral Ecol. 39:401-4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