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 지구의 식물상과 생태계교란 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in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4 no.1, 2021년, pp.103 - 113  

이종원 (세명대학교) ,  이수홍 (세명대학교) ,  강신호 (세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전체 식물상 및 특기 할만한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의 유입요인 및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식물상은 107과 349속 531종 57변종 5아종 10품종 총 603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 분류군의 약 12.33%로 나타났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에서 출현한 희귀식물은 총 15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목련, 위기종(EN)은 댕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취약종(VU)은 개박하, 나도옥잠화, 땅나리 그리고 주목이 관찰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50과 73속 81종 3변종 1아종으로 총 85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V등급은 승마 등 3분류군, IV등급은 선주름잎, 고로쇠나무, 털조장나무 등 5분류군, III등급은 청시닥나무, 산황나무 등이 관찰되었고, 특산식물은 노각나무, 닥나무, 각시서덜취, 백운산원추리, 병꽃나무, 검팽나무, 진범 등 총 13 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방가지똥 등 16과 36속 45종 총 45 분류군으로 관찰되었고, 귀화율은 7.46%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14.01%로 계산되었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돼지풀,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및 양미역취 총 4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신선대억새평전에 생육하는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인 애기수영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특히 물리적이고 생물학적인 방제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remarkable plants and factors and management measures for influx of wild disturbed plants in the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8 times from May 2019 to October 2020. First of all, in th...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식물자원의 보전적인 측면을 최우선에서 고려하여 식물목록을 작성하며, 무등산국립공원의 담양권역의 대한민국 특산식물, 희귀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특기할만한 식물을 포함한 식물상을 파악해봄으로써, 기후변화 등의 민감한 환경변화에 대한 식물자원의 합리적인 보전대책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아울러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의 귀화식물 및 생태 계교란 야생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공원 내 침투유형 등을 분석하고 향후 관리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무등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토착 생물의 위협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전체 식물상 및 특기할만한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의 유입요인 및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9 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i, Y.H., K.K. Oh, K.T. Na, Y.J. Lee, W. Cho, H.K. Oh, S.G. Park, Y.S. Kim, O.G. Choi, J.O. Yun, H.M. Kang and T.J. Choi. 2017. Comprehensive restoration plan for the mountaintop military base area in Mudeungsan 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7(1):45-45 (in Korean). 

  2.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3. Gwon, J.H. and M.K. Shin. 2015. The Pteridophyte flor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6(4):169-177 (in Korean). 

  4. Hong, H.H and H.T. Im. 2007. Saussurea nipponica subsp. higomaontana (Compositae): An unrecorded plant in Korea. Korean J. Pl. Taxon. 37(2):197-202 (in Korean). 

  5. Hong, H.H., J.W Jang, E.M. Sun, B.A. Kim, S.J Kim, S.R. Seo and H.T Im. 2013. Floristic study of Mt. Mudeung. Korean J. Environ. Biol. 31(2):121-153 (in Korean). 

  6. Jang, H.D., H.S. Leem, S.H. Han and S.K. So. 2019. Floristic study of Juwang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2(4):379-406 (in Korean). 

  7.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8. Kil, J.H., C.W. Lee, Y.H. Kim, J.M. Kim and S.M. Hwang. 2011. Bioinvas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Verbesina alternifolia in Korea. Kor. J. Weed Sci. 31(1):24-33 (in Korean). 

  9. Kim, S.J. 2012. Forest vegetation analysis of the northern slope of Mt. Mudeung and Buk-gu area in Gwangju, Korea by Arcgis.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 82 (in Korean). 

  10. Kim, Y.S. and S.Y. Shim. 2019.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ation works at the Jungbong and Nuebong Area, Mudeu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3(1):64-74 (in Korean). 

  11. KMA. 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data.kma.go.kr/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Field Guid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Geobook. p. 239 (in Korean). 

  13. Korea National Park. 2015. Ecosystem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p. 96 (in Korean). 

  14. Korea National Park. 2016. Comprehensive restoration plan for the mountain top Military base area in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p. 76 (in Korean). 

  15. Korea National Park. 2017. National Park Introduced Plant Management Plan. Korea National Park. p. 115 (in Korean). 

  16. Lee, C.B. 2005. A Basic Research Study on Nature Conservation in Gwangju. Gwangju Green Environment Center, Gwangju, Korea (in Korean). 

  17. Lee, H.C., E.K. Chekar and D.O. Lim. 2011.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area of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5(3):267-283 (in Korean). 

  18. Lee, J.H. 1983. Interpretation of Forest Communities of Mt. Moodung in Plant-sociological aspects.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 35 (in Korean). 

  19. Lee, S.M. and H.H. Myung. 2014.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Mudeu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5(4):143-173 (in Korean). 

  20. Lee, T.B. 2014.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1.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22. Lim, D.O., D.H Choi and H,G. Yun. 2015.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the Lindera sericea population at Mt. Mudeung, Mt. Cheonbong and Mt. Chogye. Korean J. Environ. Ecol. 29(4):570-579 (in Korean). 

  23. Lim, D.O., E.K. Chekar, H.W. Choi and I.C. Hwang. 2010.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area of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4(2):117-129 (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5th e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25. Moun, G.S, C.Y. Kim, Y.J. Cho and H.S. Kim. 2017.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Pyeongdume Wetland in the Mudeu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8(2):106-120 (in Korean). 

  26. Myung, H,H., C.H. Lim and S.M. Lee. 2015a.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5(1):17. 

  27. Myung, H.H., J.Y. Lee, J.S. Cho, J.Y. Jeon and S.M Lee. 2015b. Distribution and habitat status of Lindera sericeaas a flagship specie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5(1):11 (in Korean). 

  2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 728 (in Korean). 

  29. Nature. 2020. Korean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30. Oh, H.K., D.O. Lim and Y.S. Kim. 2009.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105-115 (in Korean). 

  31. Oh, K.K. 2017.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taion works at the Nogodan Area, J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1(1):93-103 (in Korean). 

  32. Park, K.H., H.N. Kang, N.H. Kim, S.R. Jang, S.J Kang and J.Y. Yang. 2013. A study on IUCN Red List of Korea National Park -A case study of vascular plants-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3(2):10-11 (in Korean). 

  33. Park, S.H. 1970. The Investigation of Mt. Moo-dung flora. Korea J. Plant Taxon. 2:23-39 (in Korean). 

  34.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5. Park, Y.B. 2019. A Study on the Vegetation Restoration Plan of the Pasture in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 76 (in Korean). 

  36.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The Clarendon Press, Oxford, NY. 

  37. Seo, S.Y. 2012. Floristic Study in Mt. Mudeung.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 58 (in Korean). 

  38. Unesco Mudeung Geopark. 2020. https://geopark.gwangju.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