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연구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1, 2015년, pp.44 - 50  

정상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김세헌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s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내산성, 내담즙성, 장 부착능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하였다.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pH 2.5의 산성 및 담즙산(0.3% oxgall) 조건에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측정한 결과 BSM-2, BSM-3, GSM-3, TJH-1, EHJ-1, EHJ-2의 6개 균주에서 각각 $10^7$, $10^8CFU/mL$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어 우수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산성과 내담즙성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의 16S rDNA 분석 결과, L. plantarum (BSM-2, EHJ-1) L. casei (GSM-3, EHJ-2), L. brevis (BSM-3), P. pentosaceus (TJH-1)의 4개 group이 동정되었다. 장부착능에서는 다른 유산균에 비해 장내 부착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L. rhamnosus GG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HT-29 cell에 대해 6종의 유산균이 모두 장 부착능을 보였으며 L. casei(GSM-3, EHJ-2)가 가장 장 부착능이 높았다. 항산화능력은 L. plantarum BSM-2와 EHJ-1에서 각각 32.44%, 24.65%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된 유산균은 다양한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인 bacteriocin이 아닌 유산균 발효 중 젖산을 생성하면서 pH의 저하로 항균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biotics로의 기능성을 가진 6개 균주의 콜레스테롤 저하능력은 L. plantarum BSM-2와 EHJ-1에서 각각 68.82%, 56.38%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L. plantarum BSM-2, EHJ-1, L. brevis BSM-3, L. casei GSM-3, EHJ-2, P. pentosaceus TJH-1 모두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본특성을 지니고 있어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지며, L. plantarum BSM-2가 내산성, 내담즙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장 부착성이 우수하였으며, 뛰어난 항산화 능력과 항균력을 지니며, 콜레스테롤 저하능도 뛰어나 가장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lactic acid bacteria found in makgeolli in terms of bacterial identity and gastric compatibilit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and separated into six strains that are resistant to gastric acidity and bile aci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막걸리 제조의 원재료인 누룩에 분포하는 유산균(7-9)과 국내 시판 막걸리에서의 유산균 분포(4,5,10-13)는 연구되어 있지만, 막걸리 속에 함유된 유산균의 건강기 능적 효과와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막걸리는 다양한 유산균이 살아있는 알코올음료로 막걸리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기대되는 바, 본 연구는 국내 시판중인 막걸리 중에서 전통누룩으로 제조한 생막걸리 내 존재하는 유산균종을 분리 동정하고 프로바이오틱스의 특성을 분석하여 막걸리에 존재하는 유산균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s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내산성, 내담즙성, 장 부착능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하였다.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pH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가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이유는? 막걸리는 멥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 등의 곡류와 발효제인 누룩으로 빚어 막 걸러내어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주이다(1). 발효된 술덧을 탁하게 걸러서 마시는 술로 발효에 관여한 효모나 다량의 유산균 전체를 음용하여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 (2). 일반적으로 시판 막걸리 700 mL에 유산균이 약 7×1010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최근 막걸리의 건강에 유익한 유산균이 다량으로 존재한다는 연구(4-6)가 잇따르면서 막걸리를 통한 유산균 섭취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막걸리에서 유산균발효는 막걸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일반적으로 시판 막걸리 700 mL에 유산균이 약 7×1010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최근 막걸리의 건강에 유익한 유산균이 다량으로 존재한다는 연구(4-6)가 잇따르면서 막걸리를 통한 유산균 섭취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막걸리에서 유산균발효는 다양한 유기산 생성으로 막걸리 풍미를 풍부하게 하며, 발효초기에 발효액의 pH를 빠르게 낮추어 주어 잡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함 으로써 활발한 효모균의 증식으로 정상적인 알코올발효를 일어나게 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막걸리 제조의 원재료인 누룩에 분포하는 유산균(7-9)과 국내 시판 막걸리에서의 유산균 분포 (4,5,10-13)는 연구되어 있지만, 막걸리 속에 함유된 유산균의 건강기 능적 효과와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막걸리는 무엇인가? 막걸리는 멥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 등의 곡류와 발효제인 누룩으로 빚어 막 걸러내어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주이다(1). 발효된 술덧을 탁하게 걸러서 마시는 술로 발효에 관여한 효모나 다량의 유산균 전체를 음용하여 다른 주류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96) 

  2. Lee TS, Han EH.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66-372 (2001) 

  3. Kwon YH, Lee AR, Kim JH, Kim HR, Ahn BH.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Mycol. 40: 210-214 (2012) 

  4. Seo DH, Jung JH, Kim HY, Kim YR, Ha SJ, Kim YC, Park CS.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volved in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16: 994-998 (2007) 

  5. Jin J, Kim SY, Jin Q, Eom HJ, Han NS.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akju, Korean rice wine. J. Microbiol. Biotechn. 18: 1678-1682 (2008) 

  6. Kim YH, Min JH, Kang MG, Kim JH, Ahn BH, Kim HG, Lee JS.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325-332 (2012) 

  7. Jo KY, Ha DM.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nuruk.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8: 95-99 (1995) 

  8. Lee JH, Yu T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359-365 (2000) 

  9. Hoon SS, Lee CH, Lee SH, Park JM, Lee HJ, Bai DH, Yoon SS, Choi JB, Park Y S. Analysis of microflora profile in Korean traditional nuruk. J. Microbiol. Biotechnol. 23: 40-46 (2013) 

  10. Kim SY, Yoo KS, Kim JE, Kim JS, Jung JE, Jin Q, Eom HJ, Han NS.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akju, Korean rice wines, by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749-755 (2010) 

  11. Kim HR, Lee AR, Kim JH, Ahn BH. Microbial dynamics of commercial makgeolli depending on the storage temperature. J. Microbiol. Biotechnol. 22: 1101-1106 (2012) 

  12. Lee HR. Divers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Korean draft rice wines and studies on the functional materials in selected LAB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12) 

  13. Yoo KS. Lactic acid bacterial diversity in makgeolli and its effects on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013) 

  14. Lin MYN, Chang FJ. Antioxidative effect of intestinal bacteria Bifidobacterium longum ATCC15708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Digest. Dis. Sci. 45: 1617-1622 (2000) 

  15. Gilliland SE, Nelson CR, Maxwell C.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ppl. Environ. Microbiol. 49: 377 (1985) 

  16. Rudel LL, Morris MD.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o-phtalaldehyde. J. Lipid Res. 14: 364-366 (1973) 

  17. Sim JH, Oh SJ, Kim SK, Baek YJ. Comparative tests on the acid tolerance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lactic fermente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1-104 (1995) 

  18. Saarela M, Mogensen G, Fondn R, Mtt J, Mattila-Sandholm T. Probiotic bacteria: safety,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J. Biotechnol. 84: 197-215 (2000) 

  19. Gilliland SE. Benefici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microorganisms and humans: Candidate microorganisms for use as dietary adjuncts. J. Food Prot. 42: 164-167 (1979) 

  20. McDonald LC, Fleming HP. Acid tolerance of Leuconostoc mesenterio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ppl. Environ. Microbiol. 56: 2120-2124 (1990) 

  21. Jin LZ, Ho YW, Abdullah N, Jalaludin S. Acid and bile tolerance of Lactobacillus isolated from chicken intestine. Lett. Appl. Microbiol. 27: 183-185 (1998) 

  22. Maria GK, Evdokia KM, Ioannis GO, Adamantini AK. In vitro assessment of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from infant gut microflora. Food Biotechnol. 22: 1-17 (2008) 

  23. Vidhyasagar V, Jeevaratnam K. Evaluation of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s isolated from idly batter for probiotic properties in vitro original research article. J. Funct. Food. 5: 235-243 (2013) 

  24. Klaenhmmer TR, Kleeman EG. Growth characteristics bile sensitive and freeze damage in colonial varian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ppl. Environ. Microbiol. 41: 1461-1667 (1981) 

  25. Dunne CL, O'Mahoney L, Murphy L, Thornton D, Morrissey D, O'Halloran S, Feeney M, Flynn S, Fitzgerald G, Daly C, Kiely B, O'Sullivan GC, Shanahan F, Collins JK. In vitro selection criteria for probiotic bacteria of human origin: correlation with in vivo findings. Am. J. Clin. Nutr. 73: 386S-392S (2001) 

  26. Gronlund MM, Isoaurk E, Kirjavainen PV, Ouwehand AC, Salminen SJ. Adhes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 to intestinal mucus. Int. Dairy J. 9: 623-630 (1999) 

  27. Kim SE.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mukeunji, a long-term ripened kimchi and analysis of availability of LAB as probiotic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09) 

  28. Aguirre M, Collins MD.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clinical infection. J. Appl. Bacteriol. 75: 95-107 (1993) 

  29. Klaenhammer TR.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emie 70 : 337-349 (1988) 

  30. Lim SM, Im DS,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J. Microbiol. Biotechnol. 19: 178-186 (2008) 

  31. Song YJ, Park SH, You JY, Cho YS, Oh K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a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YK-9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Biotechnol. Bioeng. 24: 273-278 (2009) 

  32. Baek H, Choi MS, Oh KH.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casei HK-9 Isolated from Korean rice wine, makgeolli. Korean J. Biotechnol. Bioeng. 27: 161-166 (2012) 

  33. Ahn DK, Han TW, Shin HY, Jin IN, Ghim SY.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Korean Microbiol. Biotechnol. 2: 191-196 (2003) 

  34. Kim MJ, Kim GR. In vitro evaluation of cholesterol re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extracted from kimchi. Korean J. Culin. Res. 12: 259-268 (2006) 

  35. Nguyen TD, Kang JH, Lee MS.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PH04, a potential probiotic bacterium with cholesterollowering effects. Int. J. Food Microbiol. 113: 358-361 (2007) 

  36. Wang Y, Xu N, Xi A, Ahmed Z, Zhang B, Bai X.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MA2 isolated from Tibet kefir on lipid metabolism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rats fed on high-cholesterol diet. Appl. Microbiol. Biotechnol. 84: 341-347 (2009) 

  37. Tsai Ty, Chu LH, Lee CL, Pan TM. Atherosclerosis-preven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fermneted milk-soymilk supplemented with momordica charantia. J. Agr. Food Chem. 57: 2065- 2071 (2009) 

  38. Bang JH, Shin HJ, Choi HJ, Kim DW, Ahn CS, Jeong YK, Joo WH.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isolates. J. Life Sci. 22: 251-25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