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외 잎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성분 규명
Constituents of Collagen Synthesis Activation from the Extra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Leave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0 no.3, 2014년, pp.289 - 295  

임준환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장문식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정욱순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문미연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이하연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김영훈 ((주)내추럴솔루션 중앙연구소) ,  이기용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이남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외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섬유아세포 HDFn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외 추출물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돌외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과정을 거쳐 2개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NMR 데이터 및 문헌치로 확인한 결과 이들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Ombuine 3-O-rutinoside(1) 및 Quercetin 3-O-rutinoside(2)로 규명되었다. 섬유아세포의 type I procollage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화합물 1과 2를 함유한 돌외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iscover ingredients for wrinkle-care cosmetics, we prepared 70% ethanol extract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and examined its activity on collagen synthesis using fibroblast HDFn cells. The G. pentaphyllum extract induc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in a dose-dependent manne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획물을 대상으로 콜라겐 합성 증진효과를 검색하였으며, EtOAc와 butanol 분획에서 활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EtOAc와 butanol 분획물을 대상으로 유효 성분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세파덱스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Figure 3와 같이 화합물 1과 2를 분리 정제하였다.
  • 또한 돌외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분광학적 기법으로 화학구조를 동정하였고, 분리된 화합물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돌외 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돌외 잎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collagen) 생합성 촉진작용에 대하여 검색하였다. 또한 돌외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분광학적 기법으로 화학구조를 동정하였고, 분리된 화합물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름 개선 활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 자생 덩굴식물인 돌외(G. pentaphyllum)를 선정하여 추출물을 얻고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돌외 에탄올 추출물은 100 µg/mL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165%의 콜라겐 생성 증가율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 콜라겐 양이 중요한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피부 콜라겐 양은 단위 면적당 연간 1% 정도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2]. 자연노화 혹은 광노화에 의하여 감소되는 콜라겐 함량을 유지하는 것은 피부 노화 억제의 가장 중요한 전략이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MMP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광노화를 개선하는 물질로 레티노이드가 잘 알려져 있다[3].
섬유성 단백질을 이루는 물질은? 섬유성 단백질(fibrous protein)을 이루는 콜라겐(collagen)은 피부 진피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인체 건조 피부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진피 기질 내에는 타입 I 콜라겐이 전체 콜라겐 중에서 80 -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진피 인장 강도를 결정하고 있다.
콜라겐 I이란 무엇인가? 진피 기질 내에는 타입 I 콜라겐이 전체 콜라겐 중에서 80 -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진피 인장 강도를 결정하고 있다. 콜라겐 I는 광노화 피부에서 함량 감소가 나타나며 피부노화 과정에서 관찰되는 가장 중요한 콜라겐 타입이다[1]. 피부의 주름은 콜라겐 합성과 분해의 불균형에서 기인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 Maumann, Cosmetic dermat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10, McGraw-Hill Co., New York (2002). 

  2. S. Shuster, M. M. Black, and E. McVitie, The influence of age and sex on skin thikness, skin collage and density, Br. J. Dermatol., 93, 639 (1975). 

  3. D. R. Brigstock, The CCN family: A new stimulus package, J. Endocrinol., 178, 169 (2003). 

  4. G. W. Lee, S. M. Park, Y. C. Yoo, and Y. H. Cho, Effect of ponrici fructus extracts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on the collagen synthesis a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Korean Soc. Biotechnol. Bioengin. J., 28, 106 (2013). 

  5. H. J. Ko, G. B. Kim, D. H. Lee, G. S. Lee, and H. B. Pyo, The effects of hydrolyzed Jeju Ulva pertusa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collagen synthesis in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 177 (2013). 

  6. V. Razmovski-Naumovski, T. H. W. Huang, V. H. Tran, G. Q. Li, C. C. Duke, and B. D. Roufogalis,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Gynostemma pentaphyllum, Phytochem. Reviews, 4, 197 (2005). 

  7. K. Yoshikawa, M. Mitake, T. Takemoto, and S. Arihara,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Curcubitaceae plants. XVII. On the saponins constituen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Yakugaku. Zasshi., 107, 355 (1987). 

  8. Z. P. Fang and X. Y. Zeng,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organic acid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Zhongguo Zhongyao Zazhi, 14, 676 (1989). 

  9. Z. Zhang, S. J. Xie, S. P. Huang, and Q. Zhang, Analysis of medicinal and nutritional components in Gynostemma pentaphyllum, Shanxi Daxue Xuebao Ziran Kexueban, 16, 307 (1993). 

  10. S. Deng, X. Li, B. Chen, F. Deng, and X. Zhou, Analysis ofamino acids, vitamins, and chemical elements in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Hunan YikeDaxue Xuebao, 19, 487 (1994). 

  11. X. Liu, W. Ye, Z. Mo, B. Yu, S. Zhao, H. Wu, C. Che, R. Jiang, T. C. W. Mak, and W. L. W. Hsaio, Five new ocotillone-type saponins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J. Nat. Prod., 67, 1147 (2004). 

  12. D. Arbain, J. R. Cannon, K. Afriastini Kartawinata, R. Djamal, A. Bustari, A. Dharma, H. Rosmawaty Rivai, D. Zaherman Basir, M. Sjafar, R. Sjaiful Nawfa, and S. Kosela, Survey of some west Sumatran plants for alkaloids, Econ. Bot., 43, 73 (1989). 

  13. Z. J. Wang and D. H. Luo,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of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Carbohyd. Polymers, 68, 54 (2007). 

  14. T. H. Huang, V. H. Tran, B. D. Roufogalis, and Y. Li, Gypenoside XLIX, a naturally occurring PPAR-alpha activator, inhibits cytokine-induce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expression and activity in human endothelial cells, Eur. J. Pharmacol., 565, 158 (2007). 

  15. C. Circosta, R. De Pasquale, and F. Occhiuto, Cardiovascular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Phytomedicine., 12, 638 (2005). 

  16. S. Megalli, F. Aktan, N. M. Davies, and B. D. Roufogalis, Phytopreventative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in rats, J. Pharm. Pharm. Sci., 8(3), 507 (2005). 

  17. J. Hou, S. Liu, Z. MA, X. Lang, J. Wang, J. Wang, and Z. Liang,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on the immunological functions of cancer patients, J. Trad. Chin. Med., 11, 47 (1991). 

  18. A. Norberg, N. K. Hoa, E. Liepinsh, D. Van Phan, N. D. Thuan, H. Jornvall, R. Sillard, and C. G. Ostenson, A novel insulin-releasing substance, phanoside, from the plant Gynostemma pentaphyllum, J. Biol. Chem., 279, 41361 (2004). 

  19. J. M. Lin, C. C. Lin, H. F. Chiu, J. J. Yang, and S. G. Lee,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nd liver- protective effects of anoectochilus formosanus, gnoderma lucidum and Gynostemma pentaphyllum in rats, Am. J. Chin. Med., 21, 59 (1993). 

  20. C. Rujjanawate, D. Kanjanapothi, and D. Amornlerdpison, The anti-gastric ulcer effe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Phytomedicine, 11, 431 (2004). 

  21. S. J. Lee, H. J. Bu, J. A. Lee, and D. S. Jung, Screening of plants in Jeju for whitening materials in cosmeceutic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115 (2007). 

  22. K. Meada and M. Fukuda, In vitro effectiveness of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 J. Soc. Cosmet. Chem., 42, 361 (1991). 

  23. H. Matsuda, T. Morikawa, I. Toquchida, and M. Yoshikawa, Structural requirements of flavonoids and related compounds for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Chem. Pharm. Bull., 50, 788 (2002). 

  24. K. Kazuma, N. Noda, and M. Suzuki, Malonylated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petals of Clitoria ternatea, Phytochemistry, 62, 22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