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component analysis, antioxidative activity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on human skin cells in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에서의 총항산화능이나 사람 피부세포에서의 자외선 또는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돌외 추출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능 및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활성분획의 성분 분석을 통해 화장품의 기능성 항산화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 평가를 통해 돌외 분획물의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물은 50%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가장 큰 항산화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설 설정

  • 05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in aglycone fraction dosetreated groups. (B) Rate of increace in proliferation of ell protective effects. -●-: 50% EtOH extract, -■-: EtOAc fraction, -▲-: aglycone frac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외는 무엇인가? 박과(Cucurbitaceae)에속하는돌외(G. pentaphyllum Makino) 는 다년생 덩굴성 초본류로써, 예로부터 칠엽담(七葉膽) 또는 덩굴차 및 덩굴감차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남부와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분포되어있다.
비타민 E 및 C 또는 그 유도체들을 항산화제로 쓸 때에 생기는 단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비타민 E 및 C 또는 그 유도체들을 항산화제로서 화장품에 널리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항산화제들은 제품내에서의 불안정성이나 유도체의 경우 활성 저하 등의 문제로 화장품에의 사용에 제한성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비교적 안정하고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 흡수 및 효능이 증대될 수 있는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를 발굴하여 화장품에 응용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항산화 방어망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5-11) 하지만 피부에는 ROS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항산화 방어망이 구축되어 있다. 항산화 방어망은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vitamin E, vitamin C, glutathione 등과 같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피부가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염증을 수반하는 피부질환 상태에서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 항산화 방어망의 붕괴를 가져오고 결국 ROS와 같은 산화제와 피부 항산화제 사이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피부노화가 촉진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D. S., Lim, M. S., Kwan, S. S., Kim, S. Y. and Park, S. N. (2012)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Appl. Chem. Eng. 23: 93-99. 

  2. Yaar, M. and Gilchrest, B. A. (2007)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 874-887. 

  3. Afonso, V., Champy, R., Mitrovic, D., Collin, P. I. and Lomri, A. (2007)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peroxide dismutases : Role in joint diseases. Joint Bone Spine. 74: 324-329. 

  4. Park, S. N. (1989) Effects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on reactive oxygen mediated biochemical reaction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5. Berman, S. B. and Hastings, T. G. (1997) Inhibition of glutamate transport in synaptosomes by dopamine oxid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 Neurochem. 69: 1185-1195. 

  6. Davies, M. J. (1998) Reactive oxygen species, metalloproteinases, and plaque stability. Am. Heart J. 23: 2382-2383. 

  7. Bagchi, D., Bagchi, M., Hassoun, E. A. and Stohs, S. J. (1995) In vitro and in vivo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DNA damage and lactate dehydrogenase leakage by selected pesticides. Toxicology 104: 129-140. 

  8. Park, S. N. (1997)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 Korea 23: 75. 

  9. Park, S. N.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A. J. Korean Ind. Eng. Chem. 14: 657-665. 

  10. Park, S. N. (2003)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10-518. 

  11. Yamakoshi, J., Otsuka, F., Sano, A., Tokutake, S., Saito, M., Kikuchi, M. and Kubota, Y. (2003)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 Cell Res. 16: 629-638. 

  12. Magdalena, L. C. and Tak, Y. A. (2010)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 and apoptosis. Free Radic. Biol. Med. 48: 749-762. 

  13. Sohala, R. S. and Orrb, W. C. (2012) The redox stress hypothesis of aging. Free Radic. Biol. Med. 52: 539-555. 

  14. Kim, J. E., Kim, A. R., Kim, M. J. and Park, S. N. (2011)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Alliumcepa peel extracts. Appl. Chem. Eng. 22: 178-184. 

  15. Won, D. H., Gu, H. A., Kim, H. J., Han, S. B., Park, J. and Park, S. N. (2013)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s. J. Microbiol. Biotechnol. 41: 284-291. 

  16. Ha, J. H., Jeong, Y. J., Seong, J. S., Kim, K. M., Kim, A. Y., Fu, M. M., Suh, J. Y., Lee, N. H., Park, J. and Park, S. N. (2015)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her (Jecheon, Korea) extracts obtained by various extract condition. J. Soc. Cosmet. Sci. Korea 41: 361-373. 

  17. Xuan, S. H., Kim, G. Y., Yu, J. Y., Kim, J. W., Yang, Y. R., Jeon, Y. H., Jeong, Y. J., Kim, A. R., Park, S. N. (2017)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of Calendula officinalis flowers extracts in human skin cells. Appl. Chem. Eng. 27: 620-626. 

  18. Xuan, S. H., Kim, A. R., Jeong, Y. J., Lee, N. H. (2016)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Moringa oleifera leaves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42: 217-226. 

  19. Razmovski-Naumovski, V., Huang, T. H. W., Tran, V. H., Li, G. Q., Duke, C. C. and Roufogalis, B. D. (2005)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Gynostemma pentaphyllum. Phytochem. Rev. 4: 197-219. 

  20. Hyun, S. H., Lee, J. S., Lee, K. B. and Lee, J. S.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47-451. 

  21. Wang, Z. J. and Luo, D. H.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of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Carbohyd. Polymers 68: 54-58. 

  22. Srichana, D., Taengtip, R. and Kondo, S. (2011) Antimicrobial activity of Gynostemma pentaphyllum extracts against fungi producing aflatoxin and fumonisin and bacteria causing diarrheal disease. Southeast Asian J. Trop. Med. Public Health 42: 704-710. 

  23. Huyen, V. T. T., Phan, D. V., Thang, P., Ky, P. T., Hoa , N. K. and Ostenson, C. G. (2012) Antidiabetic effects of add-on Gynostemma pentaphyllum extract therapy with sulfonylurea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 1-7. 

  24. Rujjanawate, C., Kanjanapothi, D., and Amornlerdpison, D. (2004) The anti-gastric ulcer effe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Phytomedicine 11: 431-435. 

  25. Liu, X., Ye, W., Mo, Z., Yu, B., Zhao, S., Wu, H., Che, C., Jiang, R., Mak, T. C. W. and Wendy Hsiao, W. L. (2004) Five new ocotillone-type saponins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J. Nat. Prod. 67: 1147-1151. 

  26. Fang, Z. P. and Zeng, X. Y. (198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organic acid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Zhongguo Zhongyao Zazhi 14: 676-678. 

  27. Yang, X., Zhao, Y., Yang, Y. and Ruan, Y.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ory polysaccharide from an herb tea,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J. Agric. Food Chem. 56: 6905-6909. 

  28. Alves, R. C., Costa, A. S. G., Jerez, M., Casal, S., Sineiro, J., Nunez, M. J. and Oliveira, B. (2010) Antiradical activity, phenolics profile, and hydroxymethylfurfural in espresso coffee: influence of technological factors. J. Agric. Food Chem. 58: 12221-12229. 

  29. Zhishen, J., Mengcheng, T. and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30. Kammeyer, A. and Luiten, R. M. (2015)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29. 

  31. Iwashina, T. and Matsumoto, S. (2013) Flavonoid glycosides from the fern, Schizaea (Schizaeaceae) in south pacific region,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 Bull. Natl. Mus. Nat. Sci. 39: 195-201. 

  32. Sakakimara, H., Honda, Y., Nakagawa, S., Ashida, H. and Kanazawa, K. (2003)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ll polyphenols in vegetables, fruits, and teas. J. Agric. Food Chem. 51: 571-581. 

  33. Kim, D. S., Kang, Y. M., Jin, W. Y., Sung, Y. Y., Choi, G. and Kim, H. K. (2014)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 content of Morus alba leaf extracts collected from varying regions. Biomed Rep. 2: 675-680. 

  34. Sun, J., Liang, F., Bin, Y., Li, P. and Duan, C. (2007) Screening non-colored phenolics in red win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ultraviolet and 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libraries. Molecules 12: 679-693. 

  35. Hossain, M., Rai, D. K,, Brunton, N. P., Martin-Diana, A. B. and Barry-Ryan, C. (2010)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composition in lamiaceae spices by LC-ESI-MS/MS. J. Agric. Food Chem. 58: 10576-10581. 

  36. Iwashina, T. and Kokubugata, G. (2012) Flavone and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Triumfetta procumbens in Ryukyu islands Bull. Natl. Mus. Nat. Sci. 38: 63-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