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외 에탄올 추출물 엑스의 만성 스트레스-유도 불안작용에 대한 개선작용
Ameliorating Effects of Herbal Ethanol Extract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on Chronic Stress-Induced Anxiety in Mice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2 no.1 = no.164, 2011년, pp.32 - 37  

최현숙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신건성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최순옥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김승환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  황방연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이종길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이명구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herbal ethanol extract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GP extract) on chronic stress-induced anxiety in mice were investigated. The animals were treated with GP extracts (50 and 100 mg/kg/day, p.o.) for 21 days before exposure to electric footshock (EF; duration and interval 10 sec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22) 생체는 각종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glucocorticoids 및 catecholamines 등을 유리하여 방어반응을 나타내지만, 만성적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불안, 초조, 의욕상실과 우울증 등을 나타내어 운동량, 악력, 지구력, 면역기능 등의 저하반응을 나나낸다. 13-16,19-21) 따라서 본 연구는 GP 엑스의 전처치가 만성 스트레스(전기자극)에 의하여 나타나는 불안 증상에 대한 개선효능을 검토하였다(Fig. 1).
  • 18) 이 연구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종 스트레스를 부가한 다음 익일(스트레스 부가 20-22 시간 후)에 뇌중의 dopamine 및 seroton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Dopamine 함량은 만성 스트레스 부가군은 대조군(스트레스 미부가)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67.
  • 2) 및 악력이 감소되며, 반복적인 GP 엑스의 투여는 이러한 운동량 및 악력 감소에 대한 개선효능(항불안 효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P 엑스가 만성 스트레스에 의한 glucocortisoids(corticosterone)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액중의 corticosteron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197% 증가, p<0.
  • GP 엑스가 만성 스트레스에 의한 운동량(ambulatory activity) 감소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조군(GP 엑스 미투여군+스트레스 미부가)은 운동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1일차에는 1-5일차에 비하여 113% 증가하였다(Fig.
  • 다음으로 만성 스트레스가 악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조군(GP 엑스 미투여+스트레스 미부가)은 체중에 대한 악력이 증가하였다(단위 g/g weight, n=10-12)[14일차, +0.
  • 18,22) 이러한 GP 엑스의 항스트레스 효능 중에서 악력저하의 개선작용은 항불안 효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P 엑스를 제조하고 스트레스(전기자극법)-부가 실험동물(mice)에 경구 투여한 다음, 운동량 변화, 혈중 corticosterone 함량, 뇌중의 dopamine 및 serotonin 함량 등을 측정하여, GP 엑스가 만성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도되는 불안증상의 개선효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외의 특징은 무엇인가?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Gynostemmae Herba, Cucurbitaceae 덩굴차; GP)는 다년생 식물이며, 주성 분으로는 사포닌(saponins) 계열 화합물인 gypenosides, 방향성분인 phyllodulcin과 flavonoids, carote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1-3) GP의 엑스(ethanol 또는 수침 엑기스) 및 gypenosides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연구되었으며, 주요 생리 활성으로는 항산화작용 및 혈관내피세포 보호 작용, 4,5) 심혈관 기능개선 작용, 6)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7) 면역기능 조절 작용, 8) 암세포 성장저해 작용, 9) 항당뇨 작용, 10) 간 기능 보호 작용, 11) 항염증 작용11,12)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인체는 다양한 만성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반응하는데 무엇을 분비하여 방어반응을 나타내는가? 인체는 다양한 만성 스트레스(stress)에 대응하여 반응하며,시상하부(CRH)-뇌하수체 전엽(ACTH)-부신피질계 호르몬인 glucocorticoids(corticosterone)와 교감신경-부신수질계 호르 몬인 catecholamines(dopam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를 분비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반응을 나타낸다. 13,14) 초기의 스트레스에 의한 흥분상태에서는 근 긴장도의 증가, 혈압상승 등이 일어나지만, 만성적인 반복 스트레스는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불안증상을 나타내고, 심화되면 두통, 편두통, 피로감, 인지기능 및 면역기능의 저하, 우울증과 같은 신경증상, 지구력 저하 등이 일어난다.
만성 스트레스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는가? 인체는 다양한 만성 스트레스(stress)에 대응하여 반응하며,시상하부(CRH)-뇌하수체 전엽(ACTH)-부신피질계 호르몬인 glucocorticoids(corticosterone)와 교감신경-부신수질계 호르 몬인 catecholamines(dopam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를 분비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반응을 나타낸다. 13,14) 초기의 스트레스에 의한 흥분상태에서는 근 긴장도의 증가, 혈압상승 등이 일어나지만, 만성적인 반복 스트레스는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불안증상을 나타내고, 심화되면 두통, 편두통, 피로감, 인지기능 및 면역기능의 저하, 우울증과 같은 신경증상, 지구력 저하 등이 일어난다.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oshikawa, K., Mitake, M., Takemoto, T. and Arihara, S. (198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Curcubitaceae plants. XVII. On the saponins constituen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12). Yakugaku. Zasshi 107: 355-360. 

  2. Kuwahara, M., Kawanishi, F., Komiya, T. and Oshio, H. (1989) Dammarane saponins from Gynostemma pentaphylllum Makino and isolation of malonylginsenosides- $Rb_1$ , -Rd, and malonylgypenoside V. Chem. Pharm. Bull. 37: 135-139. 

  3. Blumert, M. L. and Liu, J. (2003) Jiaogulan, China immortality herb, 12-20, Torchlight Publishing, Inc., Badger, CA, USA. 

  4. Wang, Z. J. and Luo, D. H.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of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Carbohyd. Polym. 68: 54-58. 

  5. Huang, T. H., Tran, V. H., Roufogalis, B. D. and Li, Y. (2007) Gypenoside XLIX, a naturally occurring PPAR-alpha activator, inhibits cytokine-induce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expression and activity in human endothelial cells. Eur. J. Pharmacol. 565: 158-165. 

  6. Circosta, C., De Pasquale, R. and Occhiuto, F. (2005) Cardiovascular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Phytomedicine 12: 638-643. 

  7. Megallia, S., Aktanb, Fugen., Daviesc, N. M. and Roufogalisa, B. D. (2005) Phytopreventative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in rats. J. Pharm. Pharmaceut. Sci. 8: 507-515. 

  8. Huang, W. C., Kuo, M. L., Li, M. L., Yang, R. C., Liou, C. J. and Shen, J. J. (2007) The extra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enhanced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and cytokines in mice. Yakugaku Zasshi 127: 889-896. 

  9. Hou, J., Liu, S., MA, Z., Lang, X., Wang, J., Wang, J. and Liang, Z. (1991)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on the immunological functions of cancer patients. J. Trad. Chin. Med. 11: 47-52. 

  10. Norberg, A., Hoa, N. K., Liepinsh, E., Van Phan D., Thuan, N. D., Jornvall, H., Sillard, R. and Ostenson, C. G. (2004) A novel insulin-releasing substance, phanoside, from the plant Gynostemma pentaphyllum. J. Biol. Chem. 279: 41361-41367. 

  11. Lin, J. M., Lin, C. C., Chiu, H. F., Yang, J. J. and Lee, S. G. (1993)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nd liver-protective effects of Anoectochilus formosanus, Ganoderma lucidum and Gynostemma pentaphyllum in rats. Am. J. Chin. Med. 21: 59-69. 

  12. Rujjanawate, C., Kanjanapothi, D. and Amornlerdpison, D. (2004) The anti-gastric ulcer effe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Phytomedicine 11: 431-435. 

  13. Ulrich-Lai, P. M. and Engeland, W. C. (2005) Sympathoadrenal activity and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regulation. In Steckler, T., Kalin, N. H., Reul, J. M. H. M. (ed.). Handbook of stress and the brain, Part I, 419-436, Elsevier. 

  14. Gonzalo, A., Carrasco, L. D. and Van, D. K. (2003) Neuroendocrine pharmacology of stress. Eur. J. Pharmacol. 463: 235-272. 

  15. Kovacs, K. J., Mikios, I. H. and Bali, B. (2005)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ors. In Steckler, T., Kalin, N. H., Reul, J. M. H. M. (ed.). Handbook of stress and the brain, Part I, 775-792, Elsevier. 

  16. Retana-Marques, S., Bonilla-Jaime, H., Vazquez-Palacios, G., Dominguez-Salazar, E., Martinez-Garcia, R. and Velazquez-Moctezuma, J. (2003) Body weight gain and diurnal differences of corticosterone changes in response to acute and chronic stress in rats. Psychoneuroendocrinol. 28: 207-227. 

  17. Silva, M. I., de Aquino Neto, M. R., Teixeira Neto, P. F., Moura, B. A., do Amaral, J. F. and de Sousa, D. P. (2007) Central nervous system of acute administration of isopulegol in mice. Pharmacol. Biochem. Behav. 88: 141-147. 

  18. Choi, H. S., Lim, S. A., Park, M. S., Hwang, B. Y., Lee, C. K., Kim, S. H., Lim, S. C. and Lee, M. K. (2008) Ameliorating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on electric footshock stress. Kor. J. Pharmacogn. 39: 341-346. 

  19. Sheikh, N., Ahmad, A., Siripurapu, K. B., Kuchibhotla, V. K., Singh, S. and Palit, G. (2007) Effects of Bacopa monniera on stress induced changes in plasma corticosterone and brain monoamines in rats. J. Ethnopharmacol. 111: 671-676. 

  20. Niesenbaum, L. K. and Abercrombie, E. D. (1993) Presynaptic alterations associated with enhancement of evoked release and synthesis of norepinephrine in hippocampus of chronically cold stressed rats. Brain Res. 608: 280-287. 

  21. Fujino, K., Yoshitake, T., Inoue, O., Ibii, N., Kehr, J., Ishida, J., Nohta, H. and Yamaguchi, M. (2002) Increased serotonin release in mice 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induced by acute physiological stressors. Neurosci. Lett. 320: 91-95. 

  22. Lim, S. A., Choi, H. S., Hwang, B. Y., Lee, M. K. and Lee, C. K. (2009) Augmentation of immune responses by oral administration of Gynostemma pentaphyllum ethanol extract. Kor. J. Pharmacogn. 40: 35-40. 

  23. Mitsui, A., Nohta, H. and Ohkura, Y. (1985)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plasma catecholamines using 1,2-diphenylethylenediamine as precolumn fluorescence derivatization reagent. J. Chromatogr. 344: 61-70. 

  24. Yanagisa, M., Hasegawa, H. and Ichiyama, A. (1982) Assay of tryptophan hydroxylase and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based on rapid separation of the reaction produc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Biochem., 92: 449-456. 

  25. Attawish, A., Chivapat, S., Phadungpat, S., Bansiddhi, J., Techadamrongsin, Y., Mitrijit, O., Chaorai, B. and Chavalittumrong, P. (2004) Chronic toxicity of Gynostemma pentaphyllum. Fitoterapia 75: 539-551. 

  26. Akana, S. F., Shinsako, J. and Dallman, M. F. (1983) Relationship among adrenal weight, corticosterone and stimulated adrenocorticotropin. Endocrinol. 113: 2226-2239. 

  27. Piemonti, L., Monti, P., Allavena, P., Sironi, M., Soldini, L., Leone, B. E., Socci, C. and Carlo, V. (1999) Glucocorticoids affect human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J. Immunol. 162: 6473-6481. 

  28. Tuckermann, J. P., Kleiman, A., Moriggl, R., Spanbroek, R., Neumann, A., Illing, A., Clausen, B. E., Stride, B., Forster, I., Habenicht, A. J., Reichardt, H. M., Tronche, F., Schmid, W. and Schutz, G. (2007) Macrophages and neutrophils are the targets for immune suppression by glucocorticoids in contact allergy. J. Clin. Invest. 117: 1381-1390. 

  29. Choi, H. S., Park, M. S., Kim, S. H., Hwang, B. Y., Lee, C. K. and Lee, M. K. (2010)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rbal ethanol extracts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in the 6-hydroxydopamine-lesioned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Molecules 15: 2814-28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