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기반 PBL을 적용한 원무관리실무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PBL to Practical Health Administrative Affai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3, 2014년, pp.15 - 22  

김민경 (동주대학교 의료정보시스템과) ,  신경애 (동주대학교 의료정보시스템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round : The paradigm of recent education has been shifting from existing style of professor-oriented, passive and rote teaching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mere delivery of knowledge, today's idea of education uses various audiovisual media to let learners gain more problem-sol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실무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업무관련 문제를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가장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Barrows와 Myers 모형을 보완하여 웹 기반 PBL 진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표 1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혼합학습의 한 형태로 웹 기반 PBL을 적용한 원무관리실무 교수학습모형 제시를 통하여 기존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에 대한 문제점 및 한계점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 부산 모 대학의 의료정보시스템과는 보건의료 및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학과로 정보화, 자동화, 첨단화 되어가는 보건의료 환경변화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건강지원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시대의 흐름과 국가의 교육정책 추진 방향에 발맞추어 정보화의 강점을 가진 건강지원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를 적용한 교과목 도입의 확대와 PBL(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의 적용은 매우 효율적인 교수 학습방법이다.
  • 여러 학문 분야에서 효과성을 입증한 PBL을 웹 기반 PBL 모형으로 원무관리실무 수업에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실무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업무관련 문제를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 이에 본 논문은 PBL 기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사례를 연구하고 보건의료지식과 컴퓨터 응용을 결합한 학과 특성에 맞는 웹 기반 PBL을 원무관리실무 교과목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 하는 방안으로서의 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BL은 어떤 개념인가? 정해진 답이나 제한 없이 자유로운 사고로 생각하고 학습자 주도 하에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게 되는 PBL은 교수 중심으로 진행되는 기존의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에서 탈피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문제해결능력, 판단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유연성 등을 키우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개념이다(Barrows, 1986; Savery & Duffy, 1995; Camp, 1996).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실무에서 능동적이고 융통성 있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이미란, 2004).
문제중심학습은 무엇인가? 문제중심학습은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의미 있는 해결 방법을 찾아 가는 자기주도적인 학습방법이다(박민정, 2010). PBL은 1960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McMaster 의과대학 Barrows 교수의 수업에서 시작되었으며(Scheiman 등, 1989).
PBL은 학습자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가? 정해진 답이나 제한 없이 자유로운 사고로 생각하고 학습자 주도 하에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게 되는 PBL은 교수 중심으로 진행되는 기존의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에서 탈피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문제해결능력, 판단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유연성 등을 키우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개념이다(Barrows, 1986; Savery & Duffy, 1995; Camp, 1996).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실무에서 능동적이고 융통성 있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이미란,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명희, 박남수, 유은진 등(2013). 초등 혼합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4), 1-11. 

  2. 강인애(1997).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56. 

  3. 김경현, 최운필, 정미경(2008).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지, 9(1), 1-14. 

  4. 박민정(2010). 의학교육과정에서 PBL 수업의 적용 효과 연구: 수업후기와 자기평가 및 수업과정 평가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지, 28(2), 225-253. 

  5. 이미란(2004). PBL을 적용한 색채학 수업에 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학연구지, 14(1), 199-206. 

  6. 윤수진, 호까마, 호승희 등(2007). 보건대학원 사이버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3), 129-142. 

  7. 최병수, 유상미(2013).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49-60. 

  8. 최은영, 이우숙(2010). 간호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16(2), 96-104. 

  9. 이여진(2008). Blended learning을 이용한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30-37. 

  10. Achilles CM, Hoover SP(1996). Exploring problem-based learning(PBL) in grade 6-12.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Tuscaloosa, AL. 

  11. Barrows HS(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15. 

  12. Barrows HS(1986).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Med Educ, 20(6), 481-486. 

  13. Camp G(1996). Problem-based learning: A paradigm shift or a passing Fad? Medical Education Online, 1-6. 

  14. Graham CR(2005).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San Francisco, Pfeiffer Publishing, 3-21. 

  15. Green CJ, van Gyn GH, Moehr JR et al(2004). Introducing a technology-enabled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into a health informatics curriculum. Int J Med Inform, 73(2), 173-179. 

  16. Savery JR, Duffy TM(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 Technol, 35(5), 31. 

  17. Scheiman, Whittaker, Dell et al(1989). Problem based learning as a potential teaching approach. J Optometric Educ, 15(1), 8-15. 

  18. Thomas RE(1997). Problem-based learning: measurable outcomes. Med Educ, 31(5), 320-3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