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 운동과 요부 안정화운동이 요부 근력과 신전 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and Isometric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s on Lumbar Strength and Extension Range in Healthy Young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3, 2014년, pp.39 - 48  

김인섭 (대전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창용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LSE) and isometric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 (ILSE) on lumbar strength and lumbar extension range in healthy young adults. Method : Ten healthy young adults (six males and four females) volunteer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부 안정화운동과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운동을 통하여 근력 변화와 요부 신전 관절가동범위 증진을 평가하여 요부안정화 운동이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요부 근육에 대해 안정화 운동에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 운동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요부 안정화운동군과 요부 안정화운동과 등척성 요부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한 군간에 운동 전후에 요부근력 값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요부 안정화운동군과 요부 안정화운동과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한 군간 운동 전후에 요부 신전 관절가동범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요부 안정화운동군과 요부 안정화운동과 등척성 요부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한 군간에 운동 전후에 요부근력 값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요부 안정화운동군과 요부 안정화운동과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한 군간 운동 전후에 요부 신전 관절가동범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의 발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요통이란 임신이나 생리, 비뇨기계 감염 등으로 인한 요부의 통증을 제외한 근골격계에 기인한 문제만을 의미하며 통증 부위도 방사통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흉추 10번 이하의 허리 부위에 통증이 3일 이상 지속된다(Skovron 등, 1987). 요통의 발병률은 생활 환경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60-80% 정도이고, 신경근계 증상의 하나로 전체 인구의 80% 가량이 일생에 1회 혹은, 2회 이상의 요통을 경험한다(Long 등, 1996). 이런 요통을 겪는 모든 환자들은 근력의 감퇴와 지구력의 감소, 유연성의 소실, 허리 및 하지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을 보인다.
요통이란? 요통은 가장 일반화 되어있는 질병으로 현대사회로 나아갈수록 신체 활동의 감소로 인해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윤은희, 2003). 요통이란 임신이나 생리, 비뇨기계 감염 등으로 인한 요부의 통증을 제외한 근골격계에 기인한 문제만을 의미하며 통증 부위도 방사통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흉추 10번 이하의 허리 부위에 통증이 3일 이상 지속된다(Skovron 등, 1987). 요통의 발병률은 생활 환경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60-80% 정도이고, 신경근계 증상의 하나로 전체 인구의 80% 가량이 일생에 1회 혹은, 2회 이상의 요통을 경험한다(Long 등, 1996).
요부 근력과 요부 신전 관절 가동 범위의 변화를 평가한결과 얻은 결론은? 1. 요부 신전 근력은 요부 안정화운동군과 요부 안정화 운동과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군 간에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p<.05), 운동 전후의 변화율은 차이가 없었다(p>.05). 2. 집단 간에 요부 신전 관절가동범위는 요부 안정화군은 운동 전후에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나(p>.05) 요부 안정화 운동과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운동 전후의 관절가동범위의 변화율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명화, 최희남, 유재헌 등(2000). 8주간 등장성요부신전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과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회지, 9(1), 101-113. 

  2. 김병곤, 서현규, 정연우(2004). 슬링운동이 요부안정화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6(4), 603-612. 

  3. 김선엽, 권재확(2001). 슬링 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운동.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7(2), 23-39. 

  4. 김선엽, 김명준, 김택연 등(2008). 최신 근에너지 기법. 제3판, 서울, 군자출판사, 14-15. 

  5. 김선엽(1998). 요통의 요골반부 안정화 접근법. 대한정형물리치료사학회지, 4(1), 7-20. 

  6. 김선엽(2000). Advanced OMT. ACB course book, 서울,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 

  7. 김종순, 주무열, 배성수(2001). 동적 요부 안정화 운동 치료법이 요통 환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3), 495-507. 

  8. 박미애, 이석민, 송창호(2005). 요부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지, 16(6), 329-340. 

  9. 석세일(1970). 척추측방 만곡에서의 Milwaukee brace의 사용. 대한정형외과학회지, 5(2), 43-47. 

  10. 윤은희(2003). 요통환자의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요추 안정화(lumbar stabilization) 운동과 요추 신전 (McKenzie) 운동의 효과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숙희, 김종희(1999).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척추측만증 실태조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2(1), 143-148. 

  12. 이원재(2005). 6주간의 Sling운동과 Medx운동이 만성요통 환자의 요부근력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5), 485-492. 

  13. 장수경, 강순희, 엄기매 등(2006). 근골격계의 평가: 근력 및 관절운동범위검사. 제 2판, 서울, 영문출판사. 

  14. Axelgaard J, Nordwall A, Brown JC(1983). Correction of spinal curvatures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pine, 8(5), 463-481. 

  15. Bergmark A(1989).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 Scand Suppl, 60(230), 1-54. 

  16. Blood SD(1980). Treatment of the sprained ankle. J Am Osteopath Assoc, 79(11), 680-692. 

  17. Cailliet R(1984). Understand your backache: A guide to prevention, treatment, and relief. Philadelphia, F.A. Davis Co. 

  18. Chok B, Lee R, Latimer J et al(1999). Endurance training of the trunk extensor muscles in people with subacute low back pain. Phys Ther, 79(11), 1032-1042. 

  19. Danneels LA, Vanderstraeten GG, Cambier DC et al(2001). Effects of three different training modalities o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lumbar multifidus muscl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r J Sports Med, 35(3), 186-191. 

  20. Erwin GG, Richard SM(1997). The nonsurgical management of acute low back pain: cutting through the AHCPR guidelines. 1st ed, New York, Demos Vermande. 

  21. Graves JE, Pollock ML, Carpenter DM et al(1990). Quantitative assessment of full range-of-motion isometric lumbar extension strength. Spine, 15(4), 289-294. 

  22. Graves JE, Pollock ML, Jones AE et al(1989). Specificity of limited range of motion variable resistance training. Med Sci Sports Exerc, 21(1), 84-89. 

  23. Jones A, Pollock M, Graves J et al(1988). The lumbar spine. Santa Barbara, Sequoia Communications, 62-68. 

  24. Kisner C, colby LA(2002).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5. Lenehan KL, Fryer G, McLaughlin P(2003). The effect of muscle energy technique on gross trunk range of motion. J Osteopath Assoc, 6(1), 13-18. 

  26. Lewis C, Barrett J, Lopez W, et al(2006). ATM Pilot Study. JMMT, 14(3), 178. 

  27. Long DM, BenDebba M, Torgerson WS et al(1996). Persistent back pain and sciatica in the United States: Patient characteristics. J Spinal Disord, 9(1), 40-58. 

  28. Mitchell FL, Mitchell PK(1995). The muscle energy manual. vol 1, Michigan, MET Press. 

  29. Moran K(2002). The immediate effect of a single exercise session using the Pelvic Restrainer(R) on lumbar symptoms in chronic lumbo-pelvic pain subjects. Dublin, Dublin City University. 

  30. Nelson BW, O'Reilly E, Miller M et al(1995). The clinical effects of intensive, specific exercise on chronic low back pain: a controlled study of 895 consecutive patients with 1-year follow up. Orthopedics, 18(10), 971-981. 

  31. O'Sullivan PB, Twomey LT, Allison GT(1997).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22(24), 2959-2967. 

  32. Panjabi MM(1992).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 Spinal Disord, 5(4), 383-389. 

  33. Rosen JC, Johnson C, Frymoyer JW(1983). Identification of excessive back disability with the Faschingbauer Abbreviated MMPI. J Clin Psychol, 39(1), 71-74. 

  34. Schenk RJ, MacDiarmid A, Rousselle J(1997). The effects of muscle energy technique on lumbar range of motion. J Manual Manipulative Ther, 5(4), 179-183. 

  35. Skovron ML, Mulvihill MN, Sterling RC(1987). Work organization and low back pain in nursing per sonnel. Ergonomics, 30(2), 359-366. 

  36. Souza GM, Baker LL, Powers CM(2001).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dynamic spine stabilizatio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82(11), 1551-1557. 

  37. Sung PS(2003). Multifidi muscles median frequency before and after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84(9), 1313-1318. 

  38. Vad VB, Gebeh A, Dines D et al(2003). Hip and shoulder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deficits in professional tennis players. J Sci Med Sport, 6(1), 71-75. 

  39. Wilk KE, Andrews JR, Arrigo CA et al(1993).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nd external rotator muscles in professional baseball pitchers. Am J Sports Med, 21(1), 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