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단오르기 동안 가방의 무게와 가방메기 형태가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g Weight and Carrying Bag Position on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Muscle Activity Ratio during Step up in Healthy Adul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3, 2014년, pp.49 - 55  

조현래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 bag weight and carrying bag position type on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muscle activity ratio during step up. Method : Twen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randomized performed step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하가 가해진 계단보행이 일상생활동안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대학생의 무릎뼈넙다리통증증후군 발생빈도를 높일 것이라는 전제로 시작하였다. 계단오르기는 평지보행과는 달리 다음 계단으로 이동하기 위해 한쪽 다리로 체중을 들어올려야 하며, 신체에 작용하는 중력중심선과 무릎관절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무릎관절의 굽힘모멘트가 눈에 띄게 증가하게 된다(Yoon 등, 2009).
  • 연구는 20대 정상성인 20명을 대상으로 계단오르기 동작동안 가방의 무게와 가방을 메는 위치에 따라 가쪽넓은근에 대한 안쪽빗넓은근의 근활성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단오르기 시 가방부하에 따른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에 대한 연구의 보고가 없어 부하에 따른 한쪽어깨가방이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에 근활성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은 무엇인가? 넙다리네갈래근 중 가쪽넓은근과 안쪽빗넓은근의 경사갈래가 무릎뼈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넙다리네갈래근이 무릎관절을 폄할때 무릎뼈는 가쪽 방향으로 아탈구 되려고 하는데 이는 가쪽넓은근과 엉덩정강근막띠, 가쪽폄근지지띠 등의 무릎관절 주변의 여러 구조물들이 넙다리네갈래근 수축시 무릎뼈의 가쪽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기 때문이다.
넙다리네갈래근이 무릎관절을 폄할때 무릎뼈는 가쪽 방향으로 이탈구 되려는 이유는? 넙다리네갈래근 중 가쪽넓은근과 안쪽빗넓은근의 경사갈래가 무릎뼈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넙다리네갈래근이 무릎관절을 폄할때 무릎뼈는 가쪽 방향으로 아탈구 되려고 하는데 이는 가쪽넓은근과 엉덩정강근막띠, 가쪽폄근지지띠 등의 무릎관절 주변의 여러 구조물들이 넙다리네갈래근 수축시 무릎뼈의 가쪽방향으로 힘을 작용하기 때문이다. 안쪽빗넓은근 빗갈래는 이러한 가쪽방향의 힘에 대응하여 안쪽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서 무릎뼈의 가쪽 아탈구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Francis & Scott, 1974; Speakman & Weisburg,1977).
넙다리네갈래근 내의 균형이 깨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는? 안쪽빗넓은근은 생리학적으로 가장 약하고, 근약화가 가장 먼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회복되는 속도도 가장 느리기 떄문에 일단 약화되면 넙다리네갈래근 내의 균형이 깨진다고 알려져 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불균형은 무릎관절 주변의 역학적인 변화를 일으켜 무릎뼈의 가쪽 아탈구의 원인이 된다(Insall,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양원, 김도희(2011). 대학생의 가방 착용 행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동계학술발표 논문집, 2011(1), 101-102. 

  2. 김진섭, 김경, 전덕훈(2011). 젊은 성인 여성의 휴대 가방 위치가 보행 후 정적 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6(1), 51-58. 

  3. 김현희, 송창호(2011). 건강한 여성의 하이힐 계단오르기 보행이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비와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6(2), 135-143. 

  4. 여상석, 권중원, 김중선(2009). 발목관절의 각도가 무릎관절 폄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4(1), 15-21. 

  5. 오덕원, 김선엽(2009) 신발 뒤굽 높이가 계단 올라가기 및 내려오기 동안 안쪽빗넓은근과 가쪽광근의 그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6(3), 24-31. 

  6. 유원규, 이충휘, 이현주(2004). 정적인 스쿼트 운동시 복합적인 하지의 자세가 가쪽넓은근과 안쪽빗넓은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1(3), 1-9. 

  7. 최보람, 김민희, 전혜선(2009). 대퇴사두근 근력 운동시 고관절 중립 자세와 내전 자세에 따른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근수축 개시 시간 차이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6(3), 42-49. 

  8. Andriacchi TP, Andersson GB, Fermier RW et al(1980). A study of lower-lomb mechanics during stairclimbing. J Bone Joint Surg, 62(5), 749-757. 

  9. Christou EA(2004). Patellar taping increases vastus medialis obliqu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patellofemoral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14(4), 495-504. 

  10. Cook JL, Khan KM, Maffulli N et al(2000). Overuse tendinosis, not tendinitis Part 2: Applying the new approach to patellar tendinopathy. Phys Sports Med, 28(6), 31-46. 

  11. Ficat RO, Hungerford DS(1977). Disorder of the patello-femoral joint.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2. Francis RS, Scott DE(1974). Hypertrophy of the vastus medialis in knee extension. Phys Ther, 54(10), 1066-1070. 

  13. Fruin JJ(199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유봉렬, 김용성 역. 서울, 태림문화사. 

  14. Grabiner MD, Koh TJ, Draganich LF(1994). Neuromechanics of the patellofemoral joint. Med Sci Sports Exerc, 26(1), 10-21. 

  15. Grimmer K, Dansie B, Milanese S et al (2002). Adolescent standing postural response to backpack loads: a randomis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3, 10. 

  16. Insall J(1982). Current concepts review: patellar pain. J Bone Joint Surg, 64(1), 147-152. 

  17. Irish SE, Millward AJ, Wride J et al(2010). The effect of closed-kinetic chain exercises and open-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ilque and vastus lateralis. J Strength Cond Res, 24(5), 1256-1262. 

  18. Kendall FP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 Livingston L(1984). Kinematic analysis of stairclimbing. Kingston Queen's University, MSc Thesis. 

  20. Makhsous M, Lin F, Koh JL et al(2004). In vivo and noninvasive load sharing among the vasti in patellar malalignment. Med Sci Sports Exerc, 36(10), 1768-1775. 

  21. McFadyen BJ, Winter DA(1988). An intergrated biomechanical analysis of normal stair ascent and descent. J Biomech, 21(9), 733-744. 

  22. Miler J, Sedory D, Croce R(1997) Vastus medialis obliques and vastus lateralis activity in patient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hys Ther.:1:23-29 

  23. Powers CM(2000). Patellar kinematics, Part I: The influence of vastus muscle activity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Phys Ther, 80(10), 956-964. 

  24. Souza DR, Gross MT(1991). Comparion of vastus medialis obliquus: vatus lateralis muscle inegrated electromyographic ratios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Phys Ther, 71(4), 310-316. 

  25. Speakman HG, Weisburg J(1977). The vastus medialis controversy. Physiother, 63(8), 249-254. 

  26. Tang SF, Chen CK, Hsu R et al(2001). Vastus medialis obliquus and vastus lateralis activity in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n electromyographic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2(10), 1441-1445. 

  27. Yoon JY, An DH, Yoo WG et al(2009). Differences in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 with and without heel contact during stair ascent by young women wearing high-heeled shoes. J Orthop Sci, 14(4), 418-422. 

  28. Hong Y, Fong DT, Li JX(2011) The effect of school bag design and load on spinal posture during stair use by children. Ergonomics, 54(12), 1207-12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