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기법을 이용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실태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Operations of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Using Statistics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0 no.5, 2014년, pp.524 - 531  

최인철 (국립환경과학원) ,  안태웅 (성균관대학교 무배출형환경설비지원센터(ZEC)) ,  유순주 (국립환경과학원) ,  정현미 (국립환경과학원) ,  권오상 (국립환경과학원) ,  김원기 (성균관대학교 무배출형환경설비지원센터(ZEC)) ,  염익태 (성균관대학교 무배출형환경설비지원센터(ZEC)) ,  손대희 (성균관대학교 무배출형환경설비지원센터(ZEC))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has been trying to manage water quality of rivers and lakes in many ways. Ministry of Environment is making continuous efforts of operation control improvement such as strengthening effluent standards in sewage treatment plants and expanding Tele-Monitoring System (TMS). However, evaluation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지역별(I~IV 지역), 조사 대상 항목별(BOD, COD, SS) 방류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도수분포표를 작성하고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여 수질-빈도수 관계 그래프를 작성하여 수질분포도를 나타내었다. 빈도분석 결과는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질의 농도 분포를 파악한 결과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고 현재 방류수질의 처리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자료를 이용한 방류수 수질의 빈도 분석, 정규분포 분석, 백분위수(percentile) 산정 결과를 토대로 방류수 수질기준과의 비교 등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운영실태를 평가하였다.
  • 빈도분석(Analysis of frequency)은 분류형 변수에 대한 빈도표를 작성하고 그에 적절한 바 차트, 파이 차트 등의 그래프를 그리는 분석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항목별 방류수질 자료와 수질 범위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별 방류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여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자료를 이용, 방류수 수질의 빈도 분석, 정규분포 분석, 백분위수(percentile) 산정 등 통계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방류수 수질기준과의 비교 등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운영실태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지역 구분(step 2)은 1일 하수처리용량 500 m3 이상 시설에 대하여 「하수도법 시행규칙」 제3조 제1항에 명시된 방류수 수질기준의 적용대상 지역별(I~IV 지역)로 구분하였다. I 지역은 상수원보호구역 등 보다 엄격한 수질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며, II 지역과 III 지역은 유역상황에 맞게 정부가 지정한 지역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항목별 방류수질 자료와 수질 범위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별 방류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여 나타내었다. 도수 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 table)는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거나 분석하기 위해 작성된 표로서 데이터의 수치별 빈도수와 데이터의 일정한 구간별 빈도수를 나타낸 것이다.

대상 데이터

  • 데이터 수집(step 1)은 현재 운영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질을 운영실태 평가에 이용하기 위하여 방류수 수질기준 항목별로 최소 1년 이상의 장기적인 측정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평가에 이용한 데이터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자료로 2,000 m3/일 이상 299개 시설의 방류수질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 항목은 BOD, COD, SS로 2012년 1~12월까지 측정된 일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 데이터 수집(step 1)은 현재 운영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질을 운영실태 평가에 이용하기 위하여 방류수 수질기준 항목별로 최소 1년 이상의 장기적인 측정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평가에 이용한 데이터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자료로 2,000 m3/일 이상 299개 시설의 방류수질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 항목은 BOD, COD, SS로 2012년 1~12월까지 측정된 일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항목별 데이터수는 BOD 13,361개, COD 118,130개, SS 131,490개로 총 262,981개였다.
  • 평가에 이용한 데이터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자료로 2,000 m3/일 이상 299개 시설의 방류수질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 항목은 BOD, COD, SS로 2012년 1~12월까지 측정된 일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항목별 데이터수는 BOD 13,361개, COD 118,130개, SS 131,490개로 총 262,981개였다.

데이터처리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기법 중에서 각 변수의 분포특성을 찾아내는 분석기법으로 알려져 있는 빈도분석(Analysis of frequency)을 이용하여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결과를 통해서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 절차 및 세부내용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질을 분석하면 처리성능을 평가할 수 있고, 확률분포를 통하여 분석된 처리시설 방류수질의 신뢰성과 확률을 파악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MOE,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기법 중에서 각 변수의 분포특성을 찾아내는 분석기법으로 알려져 있는 빈도분석(Analysis of frequency)을 이용하여 도수분포표,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결과를 통해서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이러한 통계적 해석은 전체 자료군에서 각각의 자료가 갖는 서열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고 확률분포를 통하여 그 자료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과 그것이 어느 정도의 신뢰성을 갖는가에 대하여 설명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Franz et al. (1996)의 연구에 따르면 하수처리공정의 운전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처리수질에 대한 확률분포함수(probability function)를 활용하였으며, 처리수 농도의 평균값과 99%의 확률 농도값을 기준으로 처리효율을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하수처리시설의 설계에 반영하거나 처리수질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설계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기준 한국에서 운영하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수는? 전국에서 운영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11년 말 기준으로 496개소(500 m3/일 이상)이며, 처리량은 24,987천 m3/일이다(MOE, 2012a). 고도처리공법이 적용된 시설은 443개소(89%)이며, 시설용량 10만 m3/일 이상 시설이 390개소(78.
2011년 기준 국내의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고도처리공법이 적용된 시설의 수는? 전국에서 운영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11년 말 기준으로 496개소(500 m3/일 이상)이며, 처리량은 24,987천 m3/일이다(MOE, 2012a). 고도처리공법이 적용된 시설은 443개소(89%)이며, 시설용량 10만 m3/일 이상 시설이 390개소(78.7%)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에 비해 2011년의 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은 얼마나 개선되었는가? 7%)를 차지하고 있다. 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은 수질기준의 강화, 고도처리 전환 및 운영기술 발전 등으로 인하여 평균 BOD 방류수 농도가 2010년 5.2 mg/L에서 2011년에 4.9 mg/L으로 5.7% 개선되었으며, 제거효율도 BOD 기준으로 2010년에 96.3%에서 2011년 96.5%로 개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OE, 2012b). 2012년 1월부터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용량별, 지역별(I ~ IV)로 차등하고 기준값을 강화하였다(MOE, 2012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berta Environmental Protection. (1995). Water Quality Based Effluent Limits Procedures Manual, Alberta Environmental Protection. 

  2. Franz, A., Nowak, O., and Kroiss, H. (1996). Modeling WWTP Treatment Efficiency and Relationship to Receiving Water Qualit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3(12), pp. 47-55. 

  3. Kim, Y. C., Lee, J. S., and An, I. S. (2004). Determination of Sampling Frequency for Operational Control of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6(1), pp. 102-110. [Korean Literature] 

  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9). Feasibility Study on Statistical Consideration of Effluent Quality Limits in Sewage Treatment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pp. 97-99. [Korean Literature] 

  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a). 2011 Statistics of Sewerag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b). Gong-gong-ha-su-cherri-si-seol-un-yeong-kwan-ri-sil-tae-pyeong-ga, Ministry of Environment, pp. 1-5. [Korean Literature] 

  7.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c). Ha-su-do-bub-bubryeong-jib. [Law and Ordinance of Sewerage], Ministry of Environment, p. 163. [Korean Literature] 

  8. Niku, S., Samaniego, F. J., and Schroeder, E. D. (1980). Performanc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and reliability based design, Journal of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51, pp. 1286-1294. 

  9.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1987). Development Document for Effluent Limitations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Organic Chemicals, Plastics and Synthetic Fiber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0.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2010). NPDES Permit Writers' Manua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1. Yu, S. J., Park, S. M., Kwon, O. S., Park, S. J., and Yeom, I. T. (2013). Improvement on Sewerage Effluent Standard of Public Sewerage Treatment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2), pp. 276-28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