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WAT 모형과 BFlow를 이용한 지하수 함양, 기저유출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using SWAT and BFlow Model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0 no.5, 2014년, pp.549 - 558  

이지민 (국립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박윤식 (국립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정영훈 (국립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조재필 (APEC 기후센터) ,  양재의 (국립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이관재 (국립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기성 (국립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임경재 (국립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currence frequency of flood and drought tends to increase in last a few decades, leading to social and economic damage since the abnormality of climate changes is one of the causes for hydrologic facilities by exceedance its designed toleranc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유량 보정된 SWAT 모형 예측치를 SWAT BFlow 시스템을 통해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소양강댐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과 기저유출량 경향을 보기 위해 총 강수량 중 지하수 함양량이 차지하는 비율과 총 유출량 중 기저유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 5 시나리오를 적용한 후, 그 결과를 유량 보정된 SWAT 모형에 입력하여 모의하였다. RCP 8.5 시나리오를 세 기간 2025s (2014 ~ 2040년), 2055s (2041 ~ 2070년), 2085s (2071~ 2100년)로 구분하여 소양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분석기간은 2014년부터 2100년까지 87년을 대상기간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함양량 및 기저유출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SWAT BFlow를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역의 관측 유량으로부터(2005~2009년)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SWAT모형 보정계수에 적용하였다. 각 소유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달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유역 출구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Alpha factor를 유역 전체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미래기후의 지하수 함양과 기저유출 경향을 전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SWAT 모형 유량 보정시 감수특성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AT BFlow 통해 소양강 유역에 해당되는 감수특성을 반영하는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보다 정확한 유량산정을 모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CUP을 사용하여 SWAT 모형의 유출량을 보정 하였으며, 보정 시 SWAT BFlow를 이용하여 소양강지점의 2005년부터 2009년까지 Alpha factor를 산정한 보정계수를 SWAT-CUP에 적용하여 감수부분을 고려하였다. 또한 실측유량을 대상으로 SWAT BFlow를 적용하여 나온 Alpha factor(S1)를 SWATCUP 적용한 결과와 기존의 방법인 SWAT-CUP에서 자동보정모듈을 적용하여 Alpha factor(S2)를 산정한 결과의 감수곡선 그래프를 작성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 보정기간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소양강댐 일유량 자료를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 편의보정 된 강수량 자료를 통하여 월별로 미래 강수량 변화 예측을 전망하였으며, 예측된 강수량 자료를 통하여 강수량 대비 지하수 함양량과 기저유출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총 유출량 중 기저유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미래기후의 지하수 함양과 기저유출 경향을 전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SWAT 모형 유량 보정시 감수특성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 시나리오 분석하는 기후변화 모형(GFDL-ESM2G, IPSL-CM5A-LR, MIROC-ESM)에 RCP 8.5 시나리오를 적용한 후, 그 결과를 유량 보정된 SWAT 모형에 입력하여 모의하였다. RCP 8.
  • 3%가 기저유출 형태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 유역에서의 지하수 함양량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yu et al. (2012)를 이용하여 월별 지하수 함양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Ryu et al.
  •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CUP을 사용하여 SWAT 모형의 유출량을 보정 하였으며, 보정 시 SWAT BFlow를 이용하여 소양강지점의 2005년부터 2009년까지 Alpha factor를 산정한 보정계수를 SWAT-CUP에 적용하여 감수부분을 고려하였다. 또한 실측유량을 대상으로 SWAT BFlow를 적용하여 나온 Alpha factor(S1)를 SWATCUP 적용한 결과와 기존의 방법인 SWAT-CUP에서 자동보정모듈을 적용하여 Alpha factor(S2)를 산정한 결과의 감수곡선 그래프를 작성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량의 감수부분을 고려하여 보정한 SWAT 모형의 예측치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지하수 함양량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지하수 함양량이 가장 많은 월과 적은 월의 HRU별 지하수 분포도를 산정하였다. 유량 보정된 SWAT 모형 예측치를 SWAT BFlow 시스템을 통해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 는 시간 t에서의 유량, 그리고 K는 감수인자(recession index)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함양량 및 기저유출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SWAT BFlow를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역의 관측 유량으로부터(2005~2009년)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SWAT모형 보정계수에 적용하였다. 각 소유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달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유역 출구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Alpha factor를 유역 전체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추세로 저감 없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RCP 8.5를 미래기후 시나리오로 선택하였다. 또한 APEC 기후센터에서 제공한 기후변화 모형인미국의 GFDL-ESM2G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와 프랑스의 IPSL-CM5A-LR (Institut Pierre Simon Laplace),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우면서 높은 해상도를 가진 일본의 MIROC-ESM (Atmosphere and Ocean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and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의 RCP 8.
  • 본 연구에서 SWAT모형을 이용하여 유량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감수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SWAT BFlow를 이용하여 Alpha factor를 산정하였다. 소양강 유역의 Alpha factor는 0.257 (S1) 이었으며, 이를 SWAT-CUP에 고정하여 8개의 다른 매개변수들을 보정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소양강 유역의 실측 유출량에 대하여 보정하였으며, 보정에 사용된 매개변수와 보정 값은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유량의 감수부분을 고려하여 보정한 SWAT 모형의 예측치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지하수 함양량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지하수 함양량이 가장 많은 월과 적은 월의 HRU별 지하수 분포도를 산정하였다. 유량 보정된 SWAT 모형 예측치를 SWAT BFlow 시스템을 통해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소양강댐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과 기저유출량 경향을 보기 위해 총 강수량 중 지하수 함양량이 차지하는 비율과 총 유출량 중 기저유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 SWAT 모형은 자동보정모듈을 제공하지만, 이 모듈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못하고, 각각에 따른 계산 및 결과 비교 등 모든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계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SWATCUP은 이를 보완해주며, 5가지 통계 알고리즘 SUFI-2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g Ver.2),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 PSO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araSol (Parameter Solution)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에 SWAT 모형과 연계함으로서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모형의 적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정오차를 제거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전지구적인 모형이고, 결과 자료들이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한반도 지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편의 보정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PEC 기후센터에서 제공하는 편의보정된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소양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편의보정된 기상자료는 SWAT 모형의 입력자료로 이용되었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
  • 기존 연구에서는 SWAT 모형 유량 보정시 감수특성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AT BFlow 통해 소양강 유역에 해당되는 감수특성을 반영하는 Alpha factor를 산정하여 보다 정확한 유량산정을 모의하였다.
  • 모의 기간은 2014년 ~ 2100년까지 87년을 선정하였으며, 세 개의 기간으로 2025s (2014 ~ 2040년), 2055s (2041 ~ 2070년), 2085s (2071 ~ 2100년) 나누어 분석하였다. 편의보정 된 강수량 자료를 통하여 월별로 미래 강수량 변화 예측을 전망하였으며, 예측된 강수량 자료를 통하여 강수량 대비 지하수 함양량과 기저유출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총 유출량 중 기저유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PEC 기후센터에서 제공하는 편의보정된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소양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편의보정된 기상자료는 SWAT 모형의 입력자료로 이용되었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와 기후변화 모형(GFDL-ESM2G, IPSL-CM5A-LR, MIROCESM)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기저유출량을 분석 및 전망하였다. 모의 기간은 2014년 ~ 2100년까지 87년을 선정하였으며, 세 개의 기간으로 2025s (2014 ~ 2040년), 2055s (2041 ~ 2070년), 2085s (2071 ~ 2100년)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257 (S1) 이었으며, 이를 SWAT-CUP에 고정하여 8개의 다른 매개변수들을 보정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소양강 유역의 실측 유출량에 대하여 보정하였으며, 보정에 사용된 매개변수와 보정 값은 Table 1과 같다. 보정 결과는 NSE는 0.
  • 5 시나리오를 세 기간 2025s (2014 ~ 2040년), 2055s (2041 ~ 2070년), 2085s (2071~ 2100년)로 구분하여 소양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분석기간은 2014년부터 2100년까지 87년을 대상기간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IPSL-CM5A-LR 모형은 2025s, 2055s, 2085s 기간동안 강수량이 약 67% (+608.
  • 또한 기상자료로는 일사량(MJ/m2 ), 일 강수(mm), 일 평균상대습도(%), 일 평균풍속(m/sec), 일 최고최저기온(°C)을 이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4개(춘천, 인제, 대관령, 속초)의 일별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 5와 기후변화 모형(GFDL-ESM2G, IPSL-CM5A-LR, MIROCESM)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기저유출량을 분석 및 전망하였다. 모의 기간은 2014년 ~ 2100년까지 87년을 선정하였으며, 세 개의 기간으로 2025s (2014 ~ 2040년), 2055s (2041 ~ 2070년), 2085s (2071 ~ 2100년) 나누어 분석하였다. 편의보정 된 강수량 자료를 통하여 월별로 미래 강수량 변화 예측을 전망하였으며, 예측된 강수량 자료를 통하여 강수량 대비 지하수 함양량과 기저유출 비율을 분석하였다.
  • 또한 실측유량을 대상으로 SWAT BFlow를 적용하여 나온 Alpha factor(S1)를 SWATCUP 적용한 결과와 기존의 방법인 SWAT-CUP에서 자동보정모듈을 적용하여 Alpha factor(S2)를 산정한 결과의 감수곡선 그래프를 작성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 보정기간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소양강댐 일유량 자료를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입력 자료인 표고자료는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해 주는 30 m × 30 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환경지리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토지이용도(1:25,000)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제공해주는 토양도를 사용하였다(Fig. 2).
  •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함양량 영향 및 기저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한강 상류지역인 소양강댐 유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소양강댐 유역의 유역 평균 폭은 16.
  • 1과 같이 유역 말단부에 위치한 소양강댐에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소양강댐 유역은 수위관측소의 유입량이 자연적인 수문패턴을 가지고 유출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어 일별 유출 자료의 신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Lim et al., 2006) 소양강댐 유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SWAT모형은 유량을 모의하기 위해 표고자료, 토지이용도, 토양도와 함께 기상자료를 이용한다.
  • 6%로써 우리나라 북동부 산악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소양강댐 유역의 유출 모니터링 자료는 Fig. 1과 같이 유역 말단부에 위치한 소양강댐에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소양강댐 유역은 수위관측소의 유입량이 자연적인 수문패턴을 가지고 유출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어 일별 유출 자료의 신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Lim et al.

이론/모형

  • 5를 미래기후 시나리오로 선택하였다. 또한 APEC 기후센터에서 제공한 기후변화 모형인미국의 GFDL-ESM2G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와 프랑스의 IPSL-CM5A-LR (Institut Pierre Simon Laplace),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우면서 높은 해상도를 가진 일본의 MIROC-ESM (Atmosphere and Ocean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and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의 RCP 8.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APEC, 2013) 산정된 일단위 결과 자료를 SWAT모형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SWAT모형을 이용하여 유량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감수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SWAT BFlow를 이용하여 Alpha factor를 산정하였다. 소양강 유역의 Alpha factor는 0.
  • 소양강댐 유역의 SWAT 모형 적용성 평가는 Nash-Sutcliffe 효율계수(NSE, Nash-Sutcliffe efficiency), 결정계수(R2)를 이용하였으며, NSE, R2 는 식 (3-4)에 의하여 각각 계산될 수 있다.
  • 유량 보정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연별/월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Fig. 6; Table 3). 소양강 유역의 2009년 지하수 함양량은 39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유출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를 위해서는, 우선 유역에서는 강우유출을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 유량을 모의한 후, 직접유출과 기저유출 분리가 가능하며, 유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다양한 강우유출 모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강우유출 모형에는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rnold et al., 1998) 모형과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in Fortran; Bicknell et al., 2001), ANSWERS (Beasley et al., 1980), HEC-HM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Hydrologic Modeling System; USACE, 2005) 모형 등이 있으며, 이 중 SWAT 모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Ahn et al., 2013; Ji et al.
SWAT BFlow란 무엇인가? SWAT BFlow(Baseflow filter program)는 Arnold and Allen (1999)이 제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총 유량 중 기저유출량 비율을 결정하는 기저유출량 필터 프로그램이다.
SWAT 모형의 4가지 부모형은 무엇인가? SWAT 모형은 유역내의 장기 강우-유출, 유사의 이동 및 과정을 모의할 수 있으며, 미 계측 지역에서의 모의도 가능하며, 경작형태나 기후 식생 등의 변화에 따른 수질의 상대적 효과도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일 단위의 모의가 가능한 유역단위 모형으로서 수문, 토양유실, 하도추적, 영향물질의 4가지 부모형(sub-model)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 중 수문 부모형은 저류방식에 의해 침투, 기저유출, 직접유출 등을 되어있다. SWAT 모형에서 침투는 토층을 최대 10개 층까지 세분화하여 선형저수지 추적기법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지하수를 두 개의 대수층으로 구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baspour, K. C. (2008). SWAT-CUP2: SWAT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s - A User Manual, Department of Systems Analysis, Integrated Assessment and Modelling (SIAM), Eawag, Swiss Federal Institute of Aquatic Science and Technology, Duebendorf, Switzerland. 

  2. Abbaspour, K. C., Yang, J., Maximov, I., Siber, R., Bogner, K., Mieleitner, J., Zobrist, J., and Srinivasan, R. (2007). Modelling Hydrology and Water Quality in the Pre-Alpine/ Alpine thur Watershed Using SWAT, Journal of Hydrology, 333, pp. 413-430. 

  3. Anderson, M. G. and Burt, T. P. (1980). Interpretation of recession flow, Journal of Hydrology, 46(1), pp. 89-101. 

  4. Ahn, S. R., Park, G. A., Jang, C. H., and Kim, S. J.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in a Mixed Forest Catchment Using Spatially Calibrated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6), pp. 569-583. [Korean Literature] 

  5. Arnold, J. G. and Allen, P. M. (1999). Automated Methods for Estimating Baseflow and Groundwater Re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35(2), pp. 411-424. 

  6. Arnold, J. G., Allen, P. M., Muttiah, R., and Bernhardt, G. (1995). Automated Base Flow Separation and Recession Analysis Techniques, Journal of Ground Water, 33(6), pp. 1010-1018. 

  7. Arnold, J. G., Muttiah, R. S., Srinivasan, R., and Allen, P. M. (2000). Regional Estimation of Base Flow and Groundwater Recharge in the Upper Mississippi River Basin, Journal of Hydrology, 227, pp. 21-40. 

  8.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 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34(1), pp. 73-89. 

  9.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Climate Center (APEC). (2013). APEC Research Report, APEC Climate Center, pp. 1-85. 

  10. Beasley, D. B., Huggins, L. F., and Monke, E. J. (1980). ANSWERS: a Model for Watershed Planning,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23, pp. 938-944. 

  11. Bicknell, B. R., Imhoff, J. C., Kittle, J. L., Jobes, T. H., and Donigian, A. S. (2001).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HSPF), User's Manual for Version 12.0, U.S. EPA, Athens, GA, 30605. 

  12. Chapman, T. G. and Maxwell, A. I. (1996). Baseflow Separation - Comparison of Numerical Methods with Tracer Experiments, Institute Engineers Australia National Conference, 96(5), pp. 539-545. 

  13.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www.ipcc.ch/report/ar5/wg1/. 

  14. Ji, U., Kim, T. G., Lee, E, J., Ryoo, K. S., Hwang, M. H., and Jang, E. K. (2014). Analysis of Sediment Discharge by Long-Term Runoff in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4), pp. 723-735. [Korean Literature] 

  15. Joh, H. K., Park, J. Y., Jang, C. H., and Kim S. J. (2012). Comparing Prediction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s of SWAT Simulated Streamflow Applied to Chungju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45(9), pp. 861-874. [Korean Literature] 

  16. Jung, Y. H., Lim, K. J., and Kim, H. S. (2014). Estimation of Baseflow Considering Recession Characteristics of Hydrograph,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2), pp. 161-171. [Korean Literature] 

  17. Kim, N. W., Lee, J. W., Chung, I. M., and Lee, M. H. (2013). Combined Effects of Ground Water Abstraction and Irrigation Reservoir on Streamflow,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7), pp. 719-733. [Korean Literature] 

  18. Kim, N. W., Moon, C. I., and Seung, W. Y. (2005). Method of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38(7), pp. 517-526. [Korean Literature] 

  19. Kim, N. W., Moon, C. I., Seung, W. Y., Lee, J. W., and Lee, B. J. (2006).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at the Musimcheon Catch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1(5), pp. 9-19. [Korean Literature] 

  20. Lee, J. S., Kim, S. J., Kim, D. G., Kang, N. R., and Kim, H. S. (2011). Estimation of Hydraulic Coefficients in an Ungaged Basin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etlands Society, 13(2), pp. 319-327. [Korean Literature] 

  21. Lee, S. H. and Lee, J. M. (2007). A Modification of SWMM for a Groundwater Pumping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3(5), pp. 628-635. [Korean Literature] 

  22. Lim, H. J., Kwon, H. J., Bae, D. H., and Kim, S. J. (2006). Analysis of Hydrological Impact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CA-Markov Technique on Soyang Gang-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39(5), pp. 453-466. [Korean Literature] 

  23. Lim, K. J., Engel, B. A., Tang, Z., Choi, J., Kim, K., Muthukrishnan, S., and Tripathy, D. (2005). Automated Web GIS 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1,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6), pp. 1407-1416. 

  24. Lim, K. J., Park, Y. S., Kim, J. G., Shin, Y. C., Kim, N. W., Kim, S. J., Jeon, J. H., and Engel, Bernard, A. (2010). Development of Genetic Algorithm-Based Optimization Module in WHAT System for Hydrograph Analysis and Model Application, Computers Geosciences, 36, pp. 936-944. 

  25. Park, J. A., Kim, S. B., Kim, M. S., Kwon, K. H., and Choi, N. C. (2010). Development of Automatic Event Detection Algorithm for Groundwater Level Ri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6(6), pp. 954-962. [Korean Literature] 

  26. Park, N. S., Koh, B. R., and Lim, Y. D. (2013).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Journal of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7), pp. 783-794. [Korean Literature] 

  27. Rutledge, A.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 the Recession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for 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Update,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pp. 98-4148. 

  28. Ruy, J. C., Choi, J. W., Kang, H. W., Kum, D. H., Shin, D. S., Lee, K. H., Jeong, G. C., and Lim, K. J. (2012). Evalu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for Land Uses at Mandae Stream Watershed Using SWAT HRU Mapping Modu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5), pp. 743-753. [Korean Literature] 

  29. Saleh, A., Arnold, J., Gassman, P. W. A., Hauck, L., Rosenthal, W., Williams, J., and McFarland, A. (2000). Application of SWAT for the Upper North Bosque River Watershed,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43, pp. 1077-1087. 

  30.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2005). Hydrologic Engineering Corps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Version 3.0.0. Build 1147, http://www.hec.usace.army.mil. 

  31. Yang, J. S. and Chi, D. K. (201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Baseflow in the Geum River Watershed, Calculated Using the WHAT System,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2), pp. 107-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