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 자연발생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at Daero-ri, Seosan, Chungnam,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5, 2014년, pp.467 - 477  

정혜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신주도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유미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박재봉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노열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발생석면은 사문석군 석면의 모암인 초염기성암 외에도 탄산염암편암, 염기성암을 모암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사문석군 석면의 모암인 초염기성암에 비해 탄산염암에서 발생하는 각섬석군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탄산염암 및 편암을 모암으로 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그 기원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충남 서산시 대산읍 대로리 일대로 주된 연구대상은 서산층군 내 석회암 및 편암이며 시대미상의 암맥에 의해 관입되거나 습곡과 단층에 의해 교란되었다. 시료채취는 탄산염암과 편암의 접촉부에서 침상의 결정들이 관찰되는 노두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광물조성 및 동정을 위해 PLM, XRD, EPMA 및 ED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섬석의 형태 관찰을 위해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BSEM 이미지 분석을 통해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XRD와 PLM을 통해 광물동정 한 결과 탄산염암에서는 양기석-투각섬석이 산출되었으며 석면형 결정의 정벽은 치밀하게 얽힌 침상이거나 비석면형의 결정이 벽개면을 따라 석면형으로 발달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EPMA 분석결과 탄산염암에서 산출되는 석면은 양기석-투각섬석으로 총 Fe 함량은 3~17%였다. Fe 함량이 10% 이상인 경우 양기석으로 정의되므로 이는 고용체 관계인 두 종 모두가 산출됨을 의미하며 이는 XRD 분석결과와도 일치했다. BSEM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양기석-투각섬석 형성과정에서의 잔류조직을 관찰한 결과 백운석-투각섬석-투휘석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전진변성단계의 잔류조직과 투휘석-투각섬석-활석으로 이어지는 후퇴변성단계의 잔류조직이 관찰되었다. 이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탄산염암에서 발생하는 석면은 열수변질작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비석면형의 결정이 풍화와 침식을 받는 경우 잠재적으로 석면형으로 발달 가능성이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occurs in rocks and soils as a result of natural weathering and human activities. The asbestos have been associated with ultramafic and mafic rocks, and carbonate rock. The previous studies on NOA were mainly limited to ultramafic and mafic rock-hosted asbesto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9; ATSDR, 2001)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인식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탄산염암 및 편암을 모암으로 하여 산출되는 각섬석군 자연발생석면의 광물학적 특성과 산출특성 연구를 통해 성인에 대해 고찰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발생석면의 모암으로 산출되는 것은? 자연발생석면은 사문석군 석면의 모암인 초염기성암 외에도 탄산염암 및 편암, 염기성암을 모암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사문석군 석면의 모암인 초염기성암에 비해 탄산염암에서 발생하는 각섬석군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자연발생석면의 시료채취는 어떻게 진행하였는가? 연구지역은 충남 서산시 대산읍 대로리 일대로 주된 연구대상은 서산층군 내 석회암 및 편암이며 시대미상의 암맥에 의해 관입되거나 습곡과 단층에 의해 교란되었다. 시료채취는 탄산염암과 편암의 접촉부에서 침상의 결정들이 관찰되는 노두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광물조성 및 동정을 위해 PLM, XRD, EPMA 및 ED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섬석의 형태 관찰을 위해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연발생석면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자연발생석면은 사문석군 석면의 모암인 초염기성암 외에도 탄산염암 및 편암, 염기성암을 모암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사문석군 석면의 모암인 초염기성암에 비해 탄산염암에서 발생하는 각섬석군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탄산염암 및 편암을 모암으로 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그 기원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2001) Toxicological profile for asbestos. ATSDR, Division of Toxicology/Toxicology Information Branch, Atlanta GA, USA, p.23-56, p.149-186. 

  2. Becklake, M.R. (1976) Asbestos-related diseases of the lung and other organs: Their epidemiology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m Rev Respir Dis, v.114, n.1, p.187-227. 

  3. Bergantz, D.M. (1991)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plutons. In: Kerrick, D.M.(eds.), contact metamorphism. Review in Mineralogy, v.26, p.13-42. 

  4. Bucher, K. and Frey, M. (1994) Petrogenesis of metamorphic rocks. Mineral and Petrology, p.171-189. 

  5. Choi, J.K., Paek, D.M. and Paik, N.W. (1998) The production, the use, the number of workers and exposure level of asbestos in Korea.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8, n.2, p.242-253. 

  6. Ferry, J.M. (1994) Role of fluid flow in the contact metamorphism of siliceous dolomitic limestones. Mineralogy and Petrology, v.79, p.719-736. 

  7. Ferry, J.M. (1996) Prograde and retrograde fluid flow during contact metamorphism of siliceous carbonate rocks from the Ballachulish aureole, scotland. Mineral and Petrology, v.124, p.235-254. 

  8. Hendrickx, M. (2009) Carbonate-hosted asbestos occurrences in South Australia: review of geology and implications for mesothelioma.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v.56, p.639-654. 

  9. Ienhower, J.P. and London, D. (1997) Partitioning of fluorine and chlorine between biotite and granitic melt: experimental calibration at 200 MPa $H_2O$ . Mineralogy and Petrology, v.127, p.17-29. 

  10. Kim, D.H. and Hwang, J.H. (1982) Geological report of the Daesan-Eigog sheet (1:50,000). Kore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7p. 

  11. Leake, B.E. (1978) Nomenclature of amphiboles. American Mineralogist, v.63, p.1023-1053. 

  12. Lira, R. and Ripley, E. (1992) Hydrothermal alteration and REE-Th mineralization at the Rodeo De Los Molles deposit, La Chacras batholith, central Argentina. Mineralogy and Petrology, v.110, p.370-386. 

  13. London, D. (1987) Internal differentiation of rare-element pegmatites: Effects of boron, phosphorus and fluorin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51, p.403-420. 

  14. Luo, S., Liu X., Mu S., Tsai S.P., Wen C.P. (2003) Asbestos related diseases from environmental exposure to crocidolite in Da-Yao, China: Review of exposure and epidemiological data.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60, p.35-42. 

  15. Mcdonald, J.C., Armstrong B., Case B. (1989) Mesothelioma and asbestos fiber types: Evidence from lung tissue analyses. Cancer, v.63, p.1544-1574. 

  16. Meeker, G.P., Lowers, H.A., Swayze, G.A., Van Gosen, B.S., Sutley, S.J., and Brownfield, I.K., (2006) Mineralogy and morphology of amphiboles observed in soils and rocks in El Dorado Hills, California: December 2006,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6-1362, 47p. 

  17. Nash, W.P. (1993) Fluorine iron biotite from the Honeycomb Hills rhyolite. Utah: The halogen record of decomposition in a silicic magma. American Mineralogist, v.78, p.1301-1040. 

  18. Wagner, J.C., Sleggs, C.A., Marchand, P. (1960) Diffuse pleural mesothelioma and asbestos exposure in the North Western Cape province.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v.17, p.260-271. 

  19. Webster, J.D. and Duffield, W.A. (1991) Volatiles and lithophile elements in Taylor Creek rhyolite: Constraints from glass inclusion analysis. American Mineralogist, v.76, p.1628-1645. 

  20. Woo, Y.K. and Suh, M.C. (2000) Petrological study on the ultramafic rocks in Choongnam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3, p.323-3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