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 토양 내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Asbestos in Soil at Daero-ri, Seosan, Chungnam,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5, 2014년, pp.479 - 488  

김재필 (FITI 시험연구원) ,  정혜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송석환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임호주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이우석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  노열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석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산업적 이용 규제 및 석면포함물질 처리 뿐 아니라 자연발생석면의 이해와 정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암석 내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특성이나 풍화작용을 거쳐 토양 내 잔류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기존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변성퇴적암류가 기반암인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의 토양 내 자연발생석면의 존재를 확인하고 석면형(asbestiform) 광물의 산출양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통해 석면오염토양의 효과적인 정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의 입도 분리 및 광물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토양 내 무게 백분율은 모래가 26~93%, 미사가 4~23%, 점토가 3~70%이며, 토성은 사토(sand), 사양토(sandy loam), 사질 식토(sandy clay), 식토(clay)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모든 시료에서 석면형 투각섬석과 석면형 양기석이 함께 산출되었고 석면의 함량은 평균 1.5%로 미국 EPA 기준(1% 이상)에 따라 석면 포함물질로 분류되었다. 모래에 존재하는 투각섬석은 벽개가 발달한 주상 형태로 평균 길이 $288{\mu}m$, 폭 $69{\mu}m$, 종횡비 4.1:1의 특징을 보인 반면, 미사에 존재하는 투각섬석은 평균 길이 $49.2{\mu}m$, 폭 $5.8{\mu}m$로 크기는 더 작고 종횡비가 8.5:1인 개별섬유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투각섬석이 풍화작용을 받으면서 종횡비는 커지고 형태는 비산이 가능한 개별 섬유로 바뀐 것으로 사료된다. $5{\mu}m$ 이상 크기의 석면형 투각섬석과 석면형 양기석의 함량은 토양 중 미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석면오염토양 정화 시 입도 분리를 이용한 선택적인 석면 제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from disturbance of rocks and soils has been overlooked as a source of exposure that could potentially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human health. But, few researches on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OA occurred in soil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 내 석면 분석시 입자크기, 종횡비를 각각 5 µm 이상, 3:1 이상이라 정의하고 분석하였고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의 토양 내 자연 발생석면의 존재를 확인하고 석면형 광물의 산출양상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통해 석면 오염토양의 효과적인 정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의 토양 내 자연발생석면의 존재를 확인하고 석면형 광물의 산출양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통해 석면오염토양의 효과적인 정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 토양 시료의 무게 백분율은 모래가 26~93%, 미사가 4~23%, 점토가 3~70%로 대부분 모래의 함량이 높았다.
  • 연구 지역 토양의 입도 분석을 실시하여 구성광물 및 입도에 따른 석면형태의 특성과 토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입도 분석에 이용된 시료는 앞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석면함량이 1% 이상이며 석면광물의 분포를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 입도 분리된 점토에 대해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EDS 분석을 실시하여 석면 광물의 모양, 내부구조, 화학조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원심분리로 시료의 분산제를 제거한 후 탄소 코팅된 그리드에 묻혀 TEM-EDS를 실시하였고, 분석에 이용된 기기는 Phillips Tecnai F20이고, 가속 전압은 200 kV의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면은 무엇인가? 석면(asbestos)은 가늘고 긴 섬유상으로 산출되는 규산염 광물을 총칭하는 상업적인 용어로서,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과 산업안전보건청(OSHA)에서는 석면광물의 길이가 5µm 이상, 길이 대 직경 비가 3:1 이상인 경우를 석면으로 분류하고 있다. 상업적으로 분류되는 6종의 석면은 사문석계의 백석면 (chrysotile)과 각섬석계의 갈석면(amosite), 청석면 (crocidolite), 직섬석(anthophyllite), 투각섬석(tremolite), 양기석(actinolite)이 있으며(Table 1) 동일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광물종이라도 결정형이 석면형(asbestiform) 일 경우에만 석면으로 분류한다.
세계보 건기구(WHO)의 국제암연구소(IARC)는 석면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석면은 인장내력과 유연성, 불연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절연성 등이 뛰어난 물리·화학적인 특성으로 건축자재, 단열재, 방화복, 자동차제어장치 등 우리 생활에 유용한 물질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호흡기를 통해서 체내에 흡입되면 폐포에 침착하게 되고, 석면이 폐조직에 자리를 잡게 되면 지속적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Kim, 2009), 특히 석면섬유의 길이가 8 µm 보다 긴 각섬석계 석면은 악성 중피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Vacek and Mcdonald, 1990). 석면이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석면폐(asbestosis), 폐암(lung cancer), 악성 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 등이 있다(Artvinii and Baris, 1979). 이로 인하여 세계보 건기구(WHO)의 국제암연구소(IARC)는 석면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다.
상업적으로 분류되는 6종의 석면은 무엇인가? 석면(asbestos)은 가늘고 긴 섬유상으로 산출되는 규산염 광물을 총칭하는 상업적인 용어로서,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과 산업안전보건청(OSHA)에서는 석면광물의 길이가 5µm 이상, 길이 대 직경 비가 3:1 이상인 경우를 석면으로 분류하고 있다. 상업적으로 분류되는 6종의 석면은 사문석계의 백석면 (chrysotile)과 각섬석계의 갈석면(amosite), 청석면 (crocidolite), 직섬석(anthophyllite), 투각섬석(tremolite), 양기석(actinolite)이 있으며(Table 1) 동일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광물종이라도 결정형이 석면형(asbestiform) 일 경우에만 석면으로 분류한다. 한편 자연발생석면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은 비 상업적이며, 개발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석면을 말하며, 자연적인 풍화와 침식에 의해 노두에서 노출되는 석면, 토양 중에 포함되어있는 석면 그리고 인간 활동에 의해 공기 중에 비산되는 석면 등이 포함된다(Hendrickx,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J.K., Paek, D.M. and Paik, N.W. (1998) The production, the use, the number of workers and exposure level of asbestos in Korea.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8, n.2, p.242-253. 

  2. Choi, J.K., Paek, D.M., Paik, N.W., Hisanaga, N. and Sakai, K. (1998) A study on several minerals contaminated with asbestiform fibers in Korea.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8, n.2, p.254-263. 

  3. Gee, G.W. and Bauder, J.W. (1986) Particle size analysis. In A. Klute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2nd ed. Agron. Monogr. 9. ASA and SSSA, Madison, WI, 383-411p. 

  4. Ham, S.H., Hwang, S.H., Yoon, C.S. and Park, D.U. (2009) Review on asbestos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19, n.3, p.213-232. 

  5. Hendrickx, M. (2009)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in eastern Australia: a review of geological occurrence, disturbance and mesothelioma risk. Environmental Geology, v.57, n.4, p.927-928. 

  6. Kang, D.M. (2009) Health Effects of Environmental asbestos exposure.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5, n.2, p.71-77. 

  7. Kim, D.H. and Hwang, J.H. (1982) Geological report of the Daesan-Eigog sheet (1:50,000). Kore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7p. 

  8. Kim, S.G. (2009) Compensation and diagnosis of asbestos related diseas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30, n.5, p.335-343. 

  9. Kwon, J.W. (2009) Asbestos analysis of Bulk samples using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80p. 

  10. Lee, R.J., Strohmeier, B.R., Bunker, K.L. and Orden, D.R.V. (2008)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A recurring public policy challeng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153, n.1-2, p.1-21. 

  11. McManus, J. (1988) Grain Size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In Techmiques in Sedimentology. In Tucker, M. (ed.). Blackwell: Oxford, 63-85p. 

  12. NIOSH (2011) Asbestos fibers and other elongate mineral particles: State of the science and roadmap for research. DHHS (NIOSH) Publication, 174p. 

  13. Perkins, R.L. and Harvey, B.W. (1993) Tes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lk Building Material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600/R-93/116, 99p. 

  14. Pulleda, S. and Marconi, A. (1989)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four types of amphibolic asbestos by the siver membrane filter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tical Chemistry, v.36, n.4, p.209-220. 

  15. Song, S.H., Hwang, J.H., Hwang, B.G. and Kim, H.W. (2008) Occurrence types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sbestos for the Kwangcheon area, Chungn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18, n.4, p.271-281. 

  16.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0)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soil and water.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2, p.171-183. 

  17. Vacek, P.M. and Mcdonald J.C. (1990) Effect of intensity in asbestos cohort exposure-response analyses. In: Sakurai H, editor. Occupational epidemiology. Elsevier Science Publications, p.189-193. 

  18. Yoon, K.T., Hwang, J.Y., Oh, J.H. and Lee, H.M. (2010) Characteristics of tremolite asbestos from abandoned asbestos mines in boryeong area, Chungnam.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1, p.73-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