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탄산염암 지역(아산, 무주, 장수)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Carbonate Rock-Hosted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from Asan, Muju, Jangsu Area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4, 2018년, pp.309 - 322  

신은혜 (전남대학교 석면환경센터) ,  정현이 (전남대학교 석면환경센터) ,  백지연 (전남대학교 석면환경센터) ,  정혜원 (전남대학교 석면환경센터) ,  박재봉 (전남대학교 석면환경센터) ,  노열 (전남대학교 석면환경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면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국내 외적으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폐석면 광산 또는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석면에 대한 특성과 위해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초)염기성암에서 산출되는 석면에 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으며, 변성퇴적암류인 탄산염암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 탄산염암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산출양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지역인 충청남도 아산과 전라북도 무주 및 장수 일대에는 선캠브리아기 편마암 내에 탄산염암이 분포하고, 주변에는 고생대, 중생대의 화강암이 널리 분포되어 있다. 시료는 탄산염암 일대의 석면함유 암석시료로 cross/mass/slip fiber 형태 등의 섬유상 광물이 관찰되는 부분과 모암인 탄산염암을 대상으로 채취하였으며, XRD, PLM, EPMA SEM-EDS 분석을 실시하여 탄산염암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아산, 무주, 그리고 장수지역의 탄산염암 내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으로 각섬석군 투각섬석이 확인되었다. 석면의 산출은 모암인 탄산염암 내에서 cross/mass/slip fiber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자연발생석면과 형태적 유사성을 가지며 석면함유가능물질에 포함되는 활석, 질석, 해포석이 함께 산출되었다. 이러한 세지역의 투각섬석은 일반적인 석면형 기준과 일치하는 길이 $5{\mu}m$ 이상, 종횡비 3:1 이상으로 나타났다. 세 지역의 탄산염암 내에서 산출되는 투각섬석은 석면형과 비석면으로 모두 존재하고 있으며, 풍화와 같은 지질과정과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비석면형도 쪼개지면 가늘고 긴 석면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질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과 광물조성과 그 산출양상을 보았을 때 탄산염암 주변으로 관입한 규질 화성암의 영향에 의한 열수변질작용이나 열수 충진작용 등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occurs in rocks and soils as a result of natural weathering and human activities. It is proved that inhalation of asbestos fibers can lead to increase risk of developing several diseases such as lung cancer and malignant mesothelioma. The parent rocks of asbesto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내에서는 초염기성암 및 염기성암에 비해 연구가 미비한 변성퇴적암(탄산염암)에서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과 전라북도 무주 및 장수에 일부 분포하는 탄산염암 내에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을 확인하고, 그 산출양상 및 광물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면의 특징은 무엇인가? 석면(Asbestos)은 길이 5μm 이상, 길이 대 폭의 비가 3:1 이상의 가늘고 길게 산출되는 함수규산염 광물을 총칭하는 상업적인 용어로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과 산업안전보건청(OSHA)에 의해 정의되었다. 석면은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유연성 등 유용한 특성을 갖고 있어 수세기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상업적인 원료로 사용되었다(Park et al., 1995).
석면이란 무엇인가? 석면(Asbestos)은 길이 5μm 이상, 길이 대 폭의 비가 3:1 이상의 가늘고 길게 산출되는 함수규산염 광물을 총칭하는 상업적인 용어로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과 산업안전보건청(OSHA)에 의해 정의되었다. 석면은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유연성 등 유용한 특성을 갖고 있어 수세기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상업적인 원료로 사용되었다(Park et al.
석면에 대한 인체 위해성은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석면에 대한 인체 위해성이 밝혀지면서 1987년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석면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고용노동부고시(제2008-26호)로 석면을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주요 석면관련 질병은 석면폐, 폐암 및 악성중피종으로 잠복기가 10-40년으로 길기 때문에 위험성을 무시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Yoon, 2009). 이러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석면 폐광산 주변의 거주민들의 폐질환들이 보고되면서 상업적 용도로 가공되지 않은 자연발생석면(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분포지역의 환경문제가 사회적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다(Jeong and Choi,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endrickx, M. (2009)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in eastern Australia: a review of geological occurrence, disturbance and mesothelioma risk. Environmental Geology, v.57, n.4, p.927-928. 

  2. Hong, S.H. and Yun, W. (1993) Geological report of the changkye shee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12p. 

  3. Jeong, G.Y. and Choi, J.B. (2012) Morphological diversity of tremolite-actinolite series amphiboles with implications to the evaluation of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2, p.95-104. 

  4. Leake, B.E. and Woolley, A.R. (1997) Nomenclature of amphiboles: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amphiboles of the international mineralogical association, commission on new minerals and mineral names. The Canadian Mineralogist, v.35, p.219-246. 

  5. Lee, D.S. and Nam, K.S. (1969)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Janggi-ri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23p. 

  6. Lee, R.J., Strohmeier, B.R., Bunker, K.L. and Orden, D.R.V. (2008)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A recurring public policy challeng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153, p.1-21. 

  7. Lee, S.R. and Cho, K. (2012)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2, p.89-112. 

  8. Park, G.N., Hwang, J.Y., Oh, J.H. and Lee, H.M. (2012)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serpentinite from Bibong mine in Chungyang area, Korea.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1, p.9-21. 

  9. Park, J.I., Yoon, C.S. and Paik, N.W. (1995) A study on exposure among asbestos textile workers and estimation of their historical exposures. Journal of Koreans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5, n.1, p.16-39. 

  10. Park, K.H. (1996) Pb-Pb age of marble from muju, Korea.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of Korea, v.5. n.4 p.84-88. 

  11. Perkins, R.L. and Harvey, B.W. (1993) Tes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lk building material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99p. 

  12. Puhan, D. and Holier, E. (1973) Phase relations of talc and tremolite in metamorphic calcite-dolomite sediments in the Southern portion of the Damara belt(South West Africa).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40, n.3, p.207-214. 

  13. Selden, A.I., Berg, N.P., Lundgren, E.A.L., Hillerdal, G., Wik, N.G., Ohlson, C.G. and Bodin, L.S. (2001). Exposure to tremolite asbestos and respiratory health in Swedish dolomite work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58, n.10, p.670-677. 

  14. Shin, B.W., Nam, K.S. and Lee. J.D. (1979)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the Cheon An shee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6p. 

  15. Song, S.H., Choi, S.G., Oh, C.H., Seo, J.E. and Choi, S.H. (2004)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the ultramafic rocks from the Hongseong and Kwangcheon areas, Chungcheongnam-Do.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7, n.5, p.477-497. 

  16. Song, S.H., Hwang, J.H., Hwang, B.G. and Kim, H.W. (2008) Occurrence types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sbestos for the Kwangcheon area, Chungnam.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18, n.4, p.271-281. 

  17. Song, S.H. and Song, Y.S. (2001)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ultramafic rocks from the Singok area, western part of Chungnam.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34, n.4, p.395-415. 

  18.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0)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soil and water.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2, p.171-183. 

  19. U.S. EPA (1982) Interim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lk insulation sample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1p. 

  20. Van Gosen B.S. (2007) The geology of asbestos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Environmental & Engineering Geoscience, v.13, n.1, p.55-68. 

  21. Yoon, C.S. (2009) Critical issues on health risk of asbestos.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35, n.5, p.426-432. 

  22. Yoon, K.T., Hwang, J.Y., Oh, J.H. and Lee, H.M. (2010) Characteristics of tremolite asbestos from abandoned asbestos mines in Boryeong Area, Chungnam.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1, p.73-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