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기육괴 북동부에 분포하는 중생대 문암동층의 퇴적학적 연구
A Study on Sedimentology of the Mesozoic Munamdong Formation, Northeastern Gyeonggi Massif,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5, 2014년, pp.517 - 532  

최영기 (한국광물자원공사 전략탐사실) ,  유인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암동층은 강원도 홍천 율전리 일대에 불규칙한 형태로 분포하는 소규모 퇴적암층이다. 분지의 형성과 발달사를 규명하기 위하여 야외조사를 통해 퇴적상 분석을 실시하여 퇴적환경과 이의 순차적인 변화를 해석하였다. 퇴적상 연구에 따르면 문암동층은 전체적으로 하부의 화산활동을 수반하는 선상지 환경에서 상부의 호수 환경으로 점차 전이하는 환경 변화를 보인다. 분지의 형성시기와 퇴적시기를 규제하기 위하여 문암동층 구간내의 시료에 대하여 U-Pb, K-Ar 및 $^{40}Ar/^{39}Ar$ 연대측정방법으로 절대연령측정을 실시하였다. 문암동층의 중부구간 사암시료의 쇄설성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현생이언 연대결과는 $229.8{\pm}2.5Ma$이며, 문암동층 기저의 시료에 대한 K-Ar과 $^{40}Ar/^{39}Ar$ 연령은 각각 $203.7{\pm}3.9Ma$ 그리고 $227.4{\pm}8.4Ma$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암동층의 퇴적 시기가 트라이아스 후기인 것을 확인해 주며 분지는 충돌 후 열 개작용 또는 붕괴에 의해 형성되었던 것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namdong Formation is a small scale sedimentary deposit which is located in Yuljeonri, Naemyeon, Hongcheon Gangwon-do.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its sequential change in the formation, sedimentary facie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Munamd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암동층이란 무엇인가? 문암동층은 강원도 홍천 율전리 일대에 불규칙한 형태로 분포하는 소규모 퇴적암층이다. 분지의 형성과 발달사를 규명하기 위하여 야외조사를 통해 퇴적상 분석을 실시하여 퇴적환경과 이의 순차적인 변화를 해석하였다.
문암동층의 암상은 무엇인가? 문암동층의 암상은 화산암 내지 화산쇄설암과 쇄설성퇴적암으로(Fig. 3) 화산기원암은 유문암 및 함유문암각력암 그리고 안산암으로 이루어진다(Fig.
유문암 육안 관찰시에 어떻게 보이는가? 3). 육안 관찰 시에 담홍색 내지 흰색을 띄며, 특징적으로 유상구조(flow structure)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세립질의 조직을 또는 교란된 양상을 보인다. 이번조사에서는 기반암과의 경계는 명확하게 확인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ong, C.-S. and Kim, N. (2012) Review of radiometric ages for Phanerozoic granotoid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Petrol. Soc. Korea, v.21, p.173-192. 

  2. Cheong-Bin Kim, (2008) The K-Ar age of the volcanic pebbles in Lake Shiwha Formation and its geological implic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4, n.4, p.399-408. 

  3. Choi, H.I. and Kim, D.S. and Seo, H.G. (1988) Stratigraphy, Depositional Environmental and Basin formation of the Mesozoic Daedong Strata in the Chungnam coal field. The Ministry of Science-Technology. KR-87-(B)-3, 97p. 

  4. Choi, H.I. and Lim, S.B. (1990)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al of the Mesozoic Daedong Strata in the Danyang Area. The Ministry of Science-Technology. KR-89-(B)-14, 86p. 

  5. Choi, H.I. and Lim, S.B. (1989) Depositional Environmental and Basin formation of the Mesozoic Daedong Strata in the Mungyeong coal field. The Ministry of Science-Technology, KR-88-(B)-9, 85p. 

  6. Dickinson, W.R. (1993) Basin geodynamics, Basin Research, v.5, p.195-196. 

  7. Hong-Hong Wei, Qing-Ren Meng, Guo-Li Wu and Lin Li. (2012) Multiple controls on rift basin sedimentation in volcanic settings: Insights from the anatomy of a small Early Cretaceous basin in the Yanshan belt, northern North Chin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124, n.3-4, p.380-399. 

  8. Kim, J.M. (2001) New K-Ar dating system in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ummary and Performance. Jour. Petrol. Soc. Korea, v.10, n.3, p.172-178. 

  9. Kim, C.B. (2008) The K-Ar age of the volcanic pebbles in Lake Shiwha Formation and its geological implic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4, n.4, p.399-408. 

  10. Kim, J., Yi, K., Jeong, Y.-J. and Cheong, C.-S. (2011)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constraints on the petrogenesis of Mesozoic high-K granitoids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v.20, p.608-620. 

  11. Kim, K.H. and Cheong, D.K. (1999) Sedimentary Facies of the Cretaceous Poongam Sedimentary Basin in Hongcheon Area, Kangwon-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5, n.4, p.279-296. 

  12.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2) A manual of 1:250,000 geological map of Gangneung-Sokcho. p.76. 

  13. Lim, S.B., Choi, H.I., Jun, H.Y. and Go, H.J. (2003) Chapter 3 Okcheon belt 2: Sedimentary system of Munamdong Formation in Hongcheon a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Tectonic evolution study of Korea peninsula, p.369-383. 

  14. Lee, D.S., Yun, S.K. and Kim, J.J. (1975) A 1/50,000 geological map of Changchon. p.19. 

  15. Mial, A.D. (1981) Alluvial sedimentary basins: tectonic setting and basin architecture. In, A.D. Miall, ed., Sedimentation and tectonics in alluvial basins, Geol. Assoc. Canada, Spec. Paper 23, p.1-33. 

  16. Miall, A.D. (1977) A review of the braided-river depositional, environment. Earth Science Reviews, v.13, p.1-62. 

  17. Oh, C.W., Kim C.B., Park Y.S. and Kim, S.W. (2006) SHRIMP U-Pb Zircon Ages of Paleoproterozoic Rocks from the Gyeonggi Massif and their implicatio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2, n.4, p.587-606. 

  18. Oh, C.W. (2011) Northeast Asia tectonic evolution of Songnim orogeny time.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nd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Jinju, Korea, May 26-27, 2011. 

  19. Oh, C.W. (2012) The Tectonic evolution of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from Paleoproterozoic to Triassic. Jour. Petrol. Soc. Korea, v.21, p.99-114. 

  20. Pettijohn, F.J. (1975) Sedimentary Rocks. (3rd ed), New York, Harper, 628p. 

  21. Shultz, A.W. (1984) Subaqueous debris-flow deposition in the Upper Paleozoic Culter Formation, western Colorado.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54, p.759-772. 

  22. Song, K.Y., Park, S.-I. and Cho, D.-L. (2011) Geological report of the Sokcho-Yangyang sheet (1:50,000). Dajeon,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68p. 

  23. Taesung Kim, Chang Whan Oh, Jeongmin Kim (2011) The Characteristic of Mangerite and Gabbro in the Odaesan Area and its Meaning to the Triassic Tectonics of Korea Peninsula. Jour. Petrol. Soc. Korea, v.20, n.2. p.77-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