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괴산 성도 연-아연 광상의 산출광물과 생성환경
Mineralogy and Genetic Environments of the Seongdo Pb-Zn deposit, Goesan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no.5, 2017년, pp.325 - 340  

안성열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신동복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도 연-아연광상은 옥천층군 화전리층의 석회암을 교대한 스카른광체와 모암내 열극을 충진한 열수맥상광체로 구분된다. 스카른광물은 헤덴버자이트(hedenbergite) 계열의 휘석이 대부분이며, 그로슐라(grossular)와 안드라다이트(andradite)가 진동누대구조를 보이는 석류석, 그리고 소량의 규회석, 투각섬석, 녹염석 등이 산출되어 환원환경에서 정출된 것으로 보인다. 스카른광체에서는 섬아연석 및 방연석이 우세하고 황철석, 자류철석, 황동석이 소량 수반되며, 열수맥상광체에서는 유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및 황철석과 더불어 방연석, 자연비스무스 및 황석석(stannite)이 소량 수반된다. 스카른광체에서 암회색 섬아연석의 FeS 함량은 평균 17.4 mole%, 적갈색 섬아연석은 3.6 mole%이고, 열수맥상광체에서는 10.3 mole%를 나타낸다. 이들을 국내 주요 금속광상의 FeS-MnS-CdS 함량비와 비교한 결과 스카른광체는 연-아연, 열수맥상광체는 금-은 광상 영역에 도시된다. 열수맥상광체에서 산출되는 유비철석의 As 함량은 초기 31.93~33.00 at.%에서 중기 29.58~30.21 at.%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며, 이에 따른 광화온도와 황분압은 초기 $441{\sim}490^{\circ}C$, $10^{-6}{\sim}10^{-4.5}atm.$와 중기 $330{\sim}364^{\circ}C$, <$10^{-8}atm.$에 해당한다. 섬아연석과 공생하는 황석석의 Fe와 Zn 조성비를 이용한 광물상 평형온도는 $236{\sim}254^{\circ}C$의 범위를 보인다. 스카른광체 황화광물의 황동위원소 조성은 5.4~7.2‰, 열수맥상광체는 5.4~8.4‰로서 화성기원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어 광상을 형성시킨 황이 대체로 마그마에서 유래되었으나 일부 모암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스카른광체와 열수맥상광체에서의 황동위원소평형온도가 각각 $549^{\circ}C$$487^{\circ}C$로서 상평형온도 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이들이 동위원소적으로 충분한 평형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ongdo Pb-Zn deposit,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consists of skarn ore replacing limestone within the Hwajeonri Formation of Ogcheon Group and hydrothermal vein ore filling the fracture of host rock. Skarn minerals comprise mostly hedenbergitic pyroxene,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도광상은 스카른 및 열극충진형 맥상광체가 함께 발달하는 연-아연 및 금-은 광상으로 알려져 있으나, KORES(1990)에 의한 주변지질 및 광상개요에 대한 간략한 보고만 있을 뿐 광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도광상의 지질, 광석광물의 종류와 산출양상, 광물화학 및 동위원소 특성을 통해 본 광상의 생성환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E-F). 상반맥에는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및 황동석이 포함되는 반면, 하반맥에는 별다른 광석광물이 확인되지 않는다. 상반맥의 균열대를 따라 부분적으로 방해석 세맥이 충진되기도 한다.
  • 3). 스카른 광화작용은 초기의 고온성 스카른광물 정출시기와 중기 및 후기의 황화광물 및 저온성 스카른광물이 정출하는 시기로 구분된다. 석회암을 교대하는 외성스카른으로 산출되는 스카른광물은 대부분 휘석과 석류석이며, 녹염석, 규회석 및 투각섬석 등이 수반된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카른광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성도 연-아연광상은 옥천층군 화전리층의 석회암을 교대한 스카른광체와 모암내 열극을 충진한 열수맥상광체로 구분된다. 스카른광물은 헤덴버자이트(hedenbergite) 계열의 휘석이 대부분이며, 그로슐라(grossular)와 안드라다이트(andradite)가 진동누대구조를 보이는 석류석, 그리고 소량의 규회석, 투각섬석, 녹염석 등이 산출되어 환원환경에서 정출된 것으로 보인다. 스카른광체에서는 섬아연석 및 방연석이 우세하고 황철석, 자류철석, 황동석이 소량 수반되며, 열수맥상광체에서는 유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및 황철석과 더불어 방연석, 자연비스무스 및 황석석(stannite)이 소량 수반된다.
성도광상이 위치한 옥천층군 중앙부의 상부에 상부에 이원리층과 황강리층이 순차적으로 발달한 이후에는 무엇이 발생되는가? 1). 이후 이들 지층을 관입하여 백악기 화성암체인 흑운모화강암, 우백질 반상화강암, 그리고 화강반암이 산출된다(Lee and Kim, 1972).
성도 연-아연광상을 무엇으로 구분 할수있는가? 성도 연-아연광상은 옥천층군 화전리층의 석회암을 교대한 스카른광체와 모암내 열극을 충진한 열수맥상광체로 구분된다. 스카른광물은 헤덴버자이트(hedenbergite) 계열의 휘석이 대부분이며, 그로슐라(grossular)와 안드라다이트(andradite)가 진동누대구조를 보이는 석류석, 그리고 소량의 규회석, 투각섬석, 녹염석 등이 산출되어 환원환경에서 정출된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e, Y.B. (1992) A study on the Bug-ap orebody in the Shinyemi mine. Jour. Korean Earth Sci. Soc., v.13, p.127-135. 

  2. Barton, P.B. and Bethke, P.M., Jr. (1987) Chalcopyrite disease in sphalerite: Pathology and epidemiology. Am. Mineral., v.72, p.451-467. 

  3. Bjorn, J., Roy, A.W. and Donal, G.F. (1993) Zonation patterns of skarn garnets: Records of hydrothermal system evolution. Geology, v.21, p.113-116. 

  4. Chakrabarti, A.K. (1967) On the trace element geochemistry of Zawar sulphides and its relation to metallogenesis. Can. Mineral., v.9, p.258-262. 

  5. Choi, B.K., Choi, S.G., Seo, J.U., Yoo, I.K., Kang, H.S. and Koo, M.H. (2010)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lgok-Seongok orebodies in the Gagok skarn deposit: their genetic implications. Econ. Environ. Geol., v.43, p.477-490. 

  6. Choi, J.B. and Kim, S.J. (1991) Mineralogy and iron chemistry of garnets and clinopyroxenes in the skarn deposits, the Hambaek geosyncline belt, Korea. Jour. Miner. Soc. Korea, v.4, p.119-128. 

  7. Choi, S.G. (1993) Compositional variations of sphalerite and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from gold and/or silver deposits in Central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6, p.135-144. 

  8. Choi, S.G., Choi, B.K., Ahn, Y.H. and Kim, T.H. (2009) Re-evaluation of genetic environments of zinc-lead deposits to predict hidden skarn orebody. Econ. Environ. Geol., v.29, p.1-9. 

  9. Choi, S.G., Pak, S.J., Lee, P.K. and Kim, C.S. (2004) An overview of geo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mineral deposits in Korea. Econ. Environ. Geol., v.37, p.1-19. 

  10. Chon, H.T. and Shimazaki, H. (1986) Iron, manganese and cadmium contents of sphalerites and their genetical implications to hydrothermal metallic ore deposits in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9, p.139-149. 

  11. Cook, N.j., Ciobanue, C.L., Pring, A., Skinner, W., Shimizu, M., Danyushevsky, L., Saini-Eidukat, B. and Melcher, F. (2009) Trace and minor elements in sphalerite: A LA-ICP-MS study. Geochim. Cosmochim. Acta., v.73, p.4761-4791. 

  12. Craig, J.R., Ljokjell, P. and Vokes, F.M. (1984) Sphalerite compositional variations in sulfide ores of the Norwegian Caledonides. Econ. Geol., v.79, p.1727-1735. 

  13. Faure, G. (1986) Principles of isotope geology. 2nd ed., John Wiley & Sons, 589p. 

  14. Gottesmann, W., Gottesmann, B. and Seifert, W. (2009) Sphalerite composition and ore genesis at the Tumurtijnovoo Fe-Mn-Zn skarn deposit, Mongolia. N. Jb. Miner. Abh., v.185, p.249-280. 

  15. Im, H.K., Shin, D.B. and Heo, S.H. (2014) Occurrenc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enam Pb-Zn skarn deposit. Econ. Environ Geol., v.47, p.363-379. 

  16. Ishihara, S., Jin, M.S. and Kajiwara, Y. (2002) Sulfur content and isotopic ratio of Cambro-Ordovician carbonate rocks from South Korea: a possible source for Mesozoic magmatic-hydrothermal ore sulfur. Resource Geol., v.52, p.41-48. 

  17. KIGAM(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2016) Geology and ore deposit survey, and origin study for securing potential orebody in the Taebaegsan metallogenic belt. KIGAM report, GP2015-032-2016(2), 250p. 

  18. Kim, K.H. and Nakai, N. (1980) Sulfur isotope composition and isotopic temperatures of some base metal ore deposits, South Korea. Jour. Geol. Soc. Korea, v.16, p.124-134. 

  19. Kim, K.H. and Nakai, N. (1982) Sulfur isotope composition and isotopic temperatures of the Shinyemi lead and zinc ore deposits, western Taebaegsan metallogenic belt,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5, p.155-166. 

  20. Kim, K.H., Nakai, N. and Kim, O.J. (1981) A mineralogical study of the skarn minerals from the Shinyemi lead-zinc ore deposits,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4, p.167-182. 

  21. Kim, K.H. and Shin, J.S. (1987) Stable isotope and fluid inclusion studies of the Manjang copper mine, South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0, p.169-177. 

  22. KORES(Korea Resources Corporation)(1990) Ore deposit of South Korea. v.12, p.144-145. 

  23. KORES(Korea Resources Corporation)(2013) Bulletin of mining 2012. 551p. 

  24. Kretschmar, U. and Scott S.D. (1976) Phase relations involving arsenopyrite in the system Fe-As-S and their application. Can. Mineral., v.14, p.364-386. 

  25. Kwak, J.Y., Kang, C.W., Joo, S.Y., Jeong, J.H. and Choi, J.B. (2015) Occurence of Zn-Pb Deposits in Danjang-Myeon, Milyang Area. Jour. Miner. Soc. Korea, v.28, p.279-292. 

  26. Lee, C.H., Lee, H.K. and Kim, S.J. (1998) Geochemistry and mineralization age of magnesian skarn-type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Mineral. Deposita, v.33, p.379-390. 

  27. Lee, H.K., Yoo, B.C. and Kim, S.J. (1992) Mineralogy and ore genesis of the Daebong gold-silver deposits, Chungnam,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5, p.297-316. 

  28. Lee, J.H. and Kim, J.H. (1972) Geological map of Korea (1:50,000), Goesan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v.27, 22p. 

  29. Lee, M.S. (1985) Sulfur and carbon isotope studies of principal metallic deposits is the metallogenic province of the Taebaeg Mt. Region,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18, p.247-251. 

  30. Lee, S.G., Shin, S.C., Kim, K,H., Lee, T., Koh, H. and Song, Y.S. (2010) Petrogenesis of three Cretaceous granite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Geochemical and Nd-Sr-Pb isotopic constraints. Gondwana Res., v.17, p.87-101. 

  31. Lim, E.D., Yoo, B.C. and Shin, D.B. (2016) Skarnization and Fe mineralization at the Western orebody in the Manjang deposit, Goesan. Jour. Miner. Soc. Korea, v.29, p.141-153. 

  32. Lim, O., Yu, J.H., Koh, S.M. and Heo, C.H. (2013)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Dangdu Pb-Zn deposit. Econ. Environ. Geol., v.46, p.123-140. 

  33. Mariko, T. and Yang, D.Y. (1993) Magnesian skarn-type magnetite deposits of the Shinyemi mine, Korea. In: Maurice Y.N. (ed.) Proceeding of the 8th IAGOD Symposium, Ottawa, Canada. p.255-269. 

  34. Meinert, L.D., Dipple, G.M. and Nicolescu, S. (2005) World skarn deposits. Econ. Geol. 100th anniversary volume, p.299-336. 

  35. Mizuta, T., Shimazaki, H., Kaneda, H. and Lee, M.S. (1984) Compositional variation of sphalerites from some Au-Ag ore deposits in South Korea. In: Tsusue, A. (ed.) Granitic provinces and associated ore deposits in South Korea, p.127-152. 

  36. Na, C.K. (1994) Genesis of granitoid batholiths of Okchon Zone,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crustal evolution. Ph. D. Thesis, Univ. Tsukuba, Japan. 

  37. Nakamura, Y. and Shima, H. (1982) Fe and Zn partitioning between sphalerite and stannite. In: Joint Meeting of Soc. Mining Geol. Japan, Assoc. Miner. Petro., Econ. Geol. and Miner. Soc. Japan. Abstracts A-8. 

  38. Newberry, R.J. (1991) Scheelite-bearing skarns in the Sierra Nevada region, California; Contrasts in zoning and mineral compositions and tests of infiltration metasomatism theory. In: Barto-Kyriakidis, A. (ed.), Skarns-their genesis and metallogeny: Athens, Greece. Theophrastus Publications S.A., p.343-384. 

  39. Ohmoto, H. and Rye, R.O. (1979) Isotopes of sulfur and carbon. In: Barnes, H.L. (e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s. John Wiley and Sons, p.509-567. 

  40. Palero-Fernandez, F.J., and Martin-Izard, A. (2005) Trace element contents in galena and sphalerite from ore deposits of the Alcudia valley mineral field (Eastern Sierra Morena, Spain). Jour. Geochem. Exp., v.86, p.1-25. 

  41. Park, H.I., Woo, Y.K. and Hwang, J. (1988) Polymetallic mineralizatioin in the Eunchi silver mine. Jour. Geol. Soc. Korea, v.24, p.431-449. 

  42. Petruk, W. (1973) Tin sulfides from the deposits of Brunswick tin mines. Can. Mineral., v.12, p.46-54. 

  43. Ray, G.E., Webster, I.C.L. and Ettlinger, A.D. (1995) The distribution of skarns in British Columbia and the chemistry and ages of their related plutonic rocks. Econ. Geol., v.90, p.920-937. 

  44.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45. Seal II, R.R. (2006) Sulfur isotope geochemistry of sulfide minerals. In: Vaughan, D.J. (ed.), Sulfide mineralogy and geochemistry. Reviews in Mineralogy & Geochemistry. Mineral. Soc. Am., v.61, p.633-677. 

  46. Seo, J.U., Choi, S.G., Kim, C.S., Park, J.W., Yoo, I.K. and Kim, N.H. (2007) The skarnification and Fe-Mo mineralization at lower part of western Shinyemi ore body in Taeback area. Jour. Miner. Soc. Korea, v.20, p.35-46. 

  47. So, C.S., Yun, S.T., Kim, S.H., Youm, S.J., Heo, C.H. and Choi, S.G. (1993) Meso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t the Bodeok mine, Boseong area: a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y.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6, p.433-444. 

  48. Sui, J.X., Li, J.W., Wen, G. and Jin, X.Y. (2017) The Dewulu reduced Au-Cu skarn deposit in the Xiahe-Hezuo district, West Qinling orogen, China: Implications for an intrusion-related gold system. Ore Geol. Rev., v.80, p.1230-1244. 

  49. Vaughan, D.J. and Craig, J.R. (1997) Sulfide ore mineral stabilities, morphologies, and intergrowth textures. In: Barnes, H.L. (e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367-434. 

  50. Yang, C.M. and Choi, J.B. (2010) Occurrence of the Pb-Zn skarn deposits in Gukjeon mine, Korea. Jour. Miner. Soc. Korea., v.23, p.413-428. 

  51. Yeom, T.S. and Shin, D.B. (2015) Ore minerals and genetic environments of the Seungryung Zn deposit, Muzu, Korea. Econ. Environ Geol., v.1, p.1-13. 

  52. Yoo, B.C., Lee, H.K. and Choi, S.G. (2002) Stable isotope, fluid inclusion and mineralogical studies of the Samkwang gold-silver deposits, Republic of Korea. Econ. Environ. Geol., v.35, p.299-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