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ul subway plays an important part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 Seoul metropolitan area. As the subway system is typically a closed environment, frequent air pollution problems occurred and passengers get malhealth impact. Especially particulate matters (PM) is well known as one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하철 시스템 내 근로자 및 이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PM의 농도 특성 및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시 지하철 4호선 M역사를 선정하여 승강장, 터널, 외기 3개 지점에서 PM10과 PM2.5 농도를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총 60일간 측정하였다.
  • 또한 본선터널의 미세먼지 저감시스템 설치 및 운전에 따른 PM 저감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저감시스템 운전 전·후 PM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자료는 서울시민의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 중 하나인 지하철시스템의 공기질 관리 및 환경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철 시스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오염물질은 무엇인가? 지하역사 및 지하철은 자연환기가 어렵고, 밀폐된 좁은 공간에 다수의 이용객이 밀집되어 있어 공기질이 악화되는 특성이 있다. 지하철 시스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오염물질은 열차의 운행, 지하철 이용 승객들의 이동,환기를 위해 도입되는 외부 공기 속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s)이 대표적 오염물질이라 할 수 있다(Choi et al., 2004).
지하역사 및 지하철의 대기 특성은 무엇인가? 현재에도 노선 확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유동인구가 지하역사 및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으나 지하역사의 폐쇄성, 내∙외부 오염물질 발생 등의 요인으로 인한 실내공기 오염으로 시민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지하역사 및 지하철은 자연환기가 어렵고, 밀폐된 좁은 공간에 다수의 이용객이 밀집되어 있어 공기질이 악화되는 특성이 있다. 지하철 시스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오염물질은 열차의 운행, 지하철 이용 승객들의 이동,환기를 위해 도입되는 외부 공기 속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s)이 대표적 오염물질이라 할 수 있다(Choi et al.
전기집진기 설치 후 오염도 분석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지하철 본선터널에 전기집진기를 설치 운영한 후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전기집진기 가동 시 외기의 오염도에 영향을 받지않았으며, 내부 오염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따라서 지하철 터널에 미세먼지 저감장치 설치 및 운전은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오염도 역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arnio, P., T. Yli-Tuomi, A. Kousa, T. Makela, A. Hirsikko, K. Hammeri, M. Raisanen, R. Hillamo, T. Koskentalo, and M. Jantunen (2005) The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 of and exposure to fine particles ( $PM_{2.5}$ ) in the Helsinki subway system, Atmos. Environ., 39(28), 5059-5066. 

  2. Awad, A.H.A. (2002) Environmental Study in subway metro stations in Cairo, Egypt, J. Occup. Health, 44(2), 112-118. 

  3. Birmili, W., A. Allen, F. Bary, and R. Harrison (2006) Trace metal concentrations and water solubility in size-Fractionated. Atmospheric particles and influence of road traffic, Environ. Sci. Technol., 40, 1144-1153. 

  4. Branis, M. (2006) The contribution of ambient sources to particulate pollution in spaces and trains of the Prague underground transport system, Atmos. Environ., 40(2), 348-356. 

  5. Cheng, Y.H., Y.L. Lin, and C.C. Liu (2008) Levels of $PM_{10}$ and $PM_{2.5}$ in Taipei Rapid transit system, Atmos. Environ., 42(31), 7242-7249. 

  6. Chillrud, S.N., D. Epstein, J.M. Ross, S.N., Sax, D., Pederson, J.D. Spengler, and P. Kinney (2004) Elevated airborne exposures to manganese, chromium and iron of teenagers from steel dust and New York City's subway system, Environ. Sci. Technol., 38(3), 732-737. 

  7. Choi, H.W., I.J. Hwang, S.D. Kim, and D.S. Kim (2004) Determination of Source Contribution Based on Aerosol Number and Mass Concentration in the Seoul Subway Station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 17-31. 

  8. Fujii, R., P. Oyola, J.C.R. Pereira, A.S. Nedel, and R. Cacavallo (2007) Air pollution in two Sao Paulo subway stations. In: Morrison, G., S. Rauch (Eds.), Highway and Urban Environment. Springer, ISBN 978-1-4020-6010-6, 181-190. 

  9. Johansson, C. and P.A. Johansson (2003) Particulate matter in the underground of Stockholm, Atmos. Environ., 37(1), 3-9. 

  10. Kam, W., K. Cheung, N. Daher, and C. Sioutas (2011)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s in underground and ground-level rail systems of the Los Angeles Metro, Atmos. Environ., 45, 1506-1516. 

  11. Kim, K.H., D.X. Ho, J.S. Jeon, and J.C. Kim (2012) A noticeable shift in particulate matter levels after platform screen door installation in a Korean subway station, Atmos. Environ., 49(1), 219-223. 

  12. Kim, K.Y., Y.S. Kim, Y.M. Roh, C.M. Lee, and C.Y. Kim (2008)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 ( $PM_{10}$ and $PM_{2.5}$ )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J. Hazard. Materials, 154(1-3), 440-443. 

  13. Lee, T.J., J.S. Jeon, S.D. Kim, and D.S. K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PM_{10}$ Source Contributions in a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 Before/After Installing Platform Screen Door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6(5), 543-553. 

  14. Mugica-Alvarez, V., J. Figueroa-Lara, M. Romero-Romoa, J. Sepulveda-Sanchez, T. Lopez-Moreno (2012) Concentrations and properties of airborne particles in the Mexico City subway system, Atmos. Environ., 49, 284-293. 

  15. Nieuwenhuijsen, M.J., J.E. Gomez-Perales, and R.N. Colvile (2007) Level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its elemental composition, determinants and health effects in metro systems, Atmos. Environ., 41(37), 7995-8006. 

  16. Park, S.B.S.N., T.J. Lee, H.K. Ko, S.J. Bae, S.D. Kim, D. Park, J.R. Sohn, and D.S. Kim (2013) Identification of $PM_{10}$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ources and Estimation of their Contributions in a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1), 74-85. 

  17. Pfeifer, G.D., R.M ,Harrison, and D.R. Lynam (1999) Personal exposure to airborne metals in London taxi drivers and office workers in 1995 and 1996, Sci. Total Environ., 235(1-3), 253-260. 

  18. Raut, J.C., P. Chazette, and A. Fortain (2009) Link between aerosol optical, microphysical and chemical measurements in an underground railway station in Paris, Atmos. Environ., 43, 860-868. 

  19. Ripanucci, G., M. Grana, L. Vicentini, A. Magrini, and A. Bergamaschi (2006) Dust in the underground railway tunnels of an Italian town, J. Occup. Environ. Hyg., 3(1), 16-25. 

  20. Seaton, A., J. Cherrie, M. Dennekamp, K. Donaldson, J.F. Hurley, and C.L. Tran (2005) The London underground: dust and hazards to health, Occup. Environ. Med., 62(6), 355-362. 

  21. Sitzmann, B., M. Kendall, J. Watt, and I. Williams (1999) Characterisation of airborne particles in London by computer-controll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ci. Total Environ., 241(1-3), 63-73. 

  22. Trattner, R.B., A.J. Perna, H.S. Kimmel, and R. Birch (1975) Respirable Dust Content of Subway Air, Environ. Lett., 10(3), 347-252. 

  23. Zhao, W. and P.K. Hopke (2004) Source apportionment for ambient particles in the San Gorgonio wildness, Atmos. Environ., 38, 5901-59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