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흑산도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Daeheuksando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5, 2014년, pp.518 - 533  

장창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양선규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장현도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로영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 ,  박민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연구과) ,  김기홍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흑산도 지역(북위 $34^{\circ}37^{\prime}{\sim}34^{\circ}42^{\prime}$, 동경 $125^{\circ}23^{\prime}{\sim}125^{\circ}38^{\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3과 316속 446종 4아종 43변종 3품종의 총 496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24분류군이었다. 대흑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6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47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특히 특산식물 중 떡조팝나무, 흑산도비비추, 홍도원추리, 홍도서덜취 등 4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대흑산도를 포함하는 흑산면 도서지역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ra in the region of Daeheuksando ($N34^{\circ}37^{\prime}{\sim}34^{\circ}42^{\prime}$, $E125^{\circ}23^{\prime}{\sim}125^{\circ}38^{\prime}$) was surveyed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22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of 496 taxa: 113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대흑산도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증거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증거표본에 기초하여 작성된 관속식물상을 바탕으로 조사지역의 정확한 자생식물상을 확인함은 물론 식물지리학적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특산식물, 희귀식물, 멸종위기식물 등 주요 분류군의 분포를 파악하여 대흑산도의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흑산도는 특징은? 대흑산도는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92.7 ㎞ 떨어져 있으며, 지리적으로 북위 34°37′~34°42′, 동경 125°23′~125°38′ 사이에 위치한다. 행정구역상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며, 면적 18.0 ㎢, 해안선 연장길이 59 ㎞, 인구수 2,207명으로 흑산면에 포함된 11개 유인도서 중 가장 큰 섬이다(Kim, 1993; Shinangun, 2012). 본 섬을 중심으로 인근의 홍도, 장도, 영산도, 다물도, 대둔도 등은 흑산군도로 불려지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흑산-홍도지구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대흑산도의 지질과 구성은 어떠한가? 대흑산도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퇴적된 규암 및 변질사암이 주를 이루며,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반과 제4기 고결된 역층, 충적층, 해빈의 자갈과 모래로 구성되어있다(Kim, 1993). 기후는 온대성의 해안성 기후대에 속하며, 30년간 연평균 기온 13.
대흑산도의 식생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식생학적으로는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에 포함되고, 세계 식물구계 구분에서 중일구계, 한국구에 속하며,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해안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ang, C.S., H. Kim and G.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 510 (in Korean). 

  2. Chung, M.G. and H.G. Chung. 1994. Allozyme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Korean endemic plant species:II. Hosta yingeri (Liliaceae). Korean J. Bot. 37: 141-149. 

  3. Chung, M.G. and S.S. Kang. 1994a. Hemerocallis hongdoensis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Novon 4:94-97. 

  4. Chung, M.G. and S.S. Kang. 1994b.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Genus Hemericallis L. (Liliaceae) in Korea. J. Plant. Res. 107:165-175. 

  5. Hwang, Y. and M.Y. Kim.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2:294-306 (in Korean). 

  6. Jeon, E.S. and S.G. Kwon. 2004. Flora: In Lee, M.H. (ed.),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cosystem in Jangdo Wetl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30-57 (in Korean). 

  7. Jones, S.B. 1989. Hosta yingeri (Liliaceae/Funk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Ann. Mo. Bot. Gard. 76:602-604. 

  8.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163-198 (in Korean). 

  9. Kim, C.H. and M.K. Han. 1997. Flora of Daeheuksando (Sinangun, Jeollanam-do). In Report of the 2nd Nation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35-59 (in Korean). 

  10. Kim, C.S. 1984. The flora of Huksan-do Archipelago(I), Survey in Taehuksan-do.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Biota Mokpo National College 1:67-91 (in Korean). 

  11. Kim, C.S. and Y.S. Jang. 1989.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tation of Daehuksan island. Korean J. Ecol. 12:145-160 (in Korean). 

  12. Kim, C.S., J.G. Koh, M.O. Moon, G.P. Song, S.Y. Kim, J. Kim, D.S. Kim. J.H. Tho and K.M. Song. 2008. Rare Plants of Jeju Isl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403 (in Korean). 

  13. Kim, H.S. and J.G. Oh. 201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park. Korean J. Plant Res. 23:187-196 (in Korean). 

  14. Kim, J.H., G.H. Nam and J.S. Kim. 2012. The vascular plants in Is. Gageo (Jeollanam-do).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437-450 (in Korean). 

  15. Kim, J.Y. 1993.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tratigraphy of sedimentary rocks distributed in Daeheuksan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4:25-31 (in Korean). 

  16. Kim, W. 1974. On the distribu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Daeheugsando island. Theses Colle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5:211-216 (in Korean). 

  17. Kim, Y.H. 2010. Phylogenetic Study of trbe Spiraeeae Maxim. (Rosaceae). Ph.D. Thesis, Daejeon University, Korea. p. 214 (in Korean).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19.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20. Lee, B.C.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21. Lee, J.S. and C.S. Kim. 1987. Vegetation of Huksan archipelago:In Lee, M.D. (ed.),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Vol. 6. The Korean National Council for Conservation of Nature, Seoul, Korea. pp. 135-167 (in Korean). 

  22. Lee, S.M. 1999. Vascular plant flora of the Dadohae Haesang national park in Korea. In The Report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Vol. 26: Study on the Biota of the Dadohae Haesang National Park in Korea. National Science Museum, Daejeon, Korea. pp. 118-175 (in Korean). 

  23.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p. 914, 910 (in Korean). 

  24.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Appendix):1-33 (in Korean). 

  25.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6.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27.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28. Lee, Y.N. 1998. Flora of Korea, 3rd ed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1246 (Korean).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73-220 (in Korean). 

  30. Nakai, T. 1928. Notulae and plantas Japonae & Koreae 36. Bot. Mag. Tokyo. 42:451-479. 

  31. Nakai, T. 1931. Contributio ad cognitionem generis Saussureae Japono-Koreanae. Bot. Mag. Tokyo. 45:513-524. 

  32.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3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75 (in Korean). 

  34. Park, Y.K. 2004. Flora of Islands in West and South Regions of Korea. Ms thesis, Honam University, Korea. p. 121 (in Korean). 

  35. Shinangun. 2012. Shinan Statistical Year Book. Shinangun Office, Shinan, Korea. pp. 47-59 (in Korean). 

  36. Yang, I.S. and W. Kim. 1972. Conspectus 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nd the climatic factor in southern area of Korea. J. Korean Pl. Taxon 4:11-1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