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2, 2018년, pp.162 - 194  

한병우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  나혜련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  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 (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 ,  현진오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도군 진도의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48일, 22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34과 437속에 속하는 704종 11아종 60변종 7품종 등 78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끈끈이귀개, 지네발란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 1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III등급 이상 53분류군이 포함된다. 귀화식물은 73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9.3%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of Jindo Island in Jindo-gun, Jeollanam-do, Korea. A total of 22 field trips were carried out over the course of 48 days from May 2012 to October 2014. As a result, 782 taxa belong to 134 families, 437 genera, 704 species, 11 subspecies, 60 varieties and 7 form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증거표본에 근거하여 진도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주요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며,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식물상과 비교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도의 면적은? 진도는 전라남도 남서쪽 섬으로 북으로는 해남군과 진도대 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 면적은 440.129 ㎢이다. 행정구역은 1개 읍(진도읍), 6개 면(고군면, 군내면, 의신면, 임회면, 조도면, 지산면)으로서 45개의 유인도와 209개의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끈끈이귀개가 주로 관찰된 곳은? 끈끈이귀개는 진도 서부와 남부에 넓게 분포하는데, 광량이 풍부한 임도 사면과 무덤가 초지에서 관찰되었다. 지네발란은금골산과 접도에서 확인되었는데, 금골산 개체군은 국내 최대개체군으로 추정되며, 접도 개체군은 일부 개체들이 수간에 붙어 생육하고 있다.
진도가 포함하고 있는 섬의 갯수는? 129 ㎢이다. 행정구역은 1개 읍(진도읍), 6개 면(고군면, 군내면, 의신면, 임회면, 조도면, 지산면)으로서 45개의 유인도와 209개의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경·위도상 동쪽 끝은 고군면 와도로 동경 126 °23' 30", 서쪽 끝은 조도면 죽도로 동경 125 ° 53' 05", 북쪽 끝은 군내면 나리로 북위 34 ° 35' 20", 남쪽 끝은 조도면 병풍도로 34 ° 08' 29" 이다(Jindo County,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K. and Y.J. Yoon. 2012. Flora of Jindo (346101).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2. Bang, S.W. 2014. A Study for Mid to long term Management of Alien Specie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3. Chang, S.M., H.S. Chang and J.H. Kim. 1988. On Vegetation of Mt. Cheomchal in Jindo Island. J. Ecol. Environ. 11(3): 153-175 (in Korean). 

  4.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264-288. 

  5. Hoshino, T. and T. Masaki. 2011. Illustrated Sedges of Japan. Heibonsha, Tokyo, Japan. 

  6. Hwang H.S., S.S. Jung, J.C. Yang, S.H. Oh, K.S. Chang, S.Y. Jung, J.W. Jang, H.J. Lee, C.H. Lee and Y.M. Lee. 2012. Flora of Hajo Island, Jindo, Jeollanam-do, Korea. Proceedings of the Forest Science Joint Conference 2012:567-569. Korean Forest Society (in Korean). 

  7. Jindo County. 2016. Jindo Statistical Year Book. Jindo county, Korea (in Korean). 

  8. Jung, T.H. 1957. Report on the flora of Jindo Island. Sungkyun 8:69-95. Sungkyunkwan Univ., Suwon, Korea (in Korean). 

  9. Kim, C.H. and M.K. Han. 1998. Study on Natural Environment of Jindo County: Mt. Cheomchal-san(8-31).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10. Kim, H.H., D.B. Kim, C.H. Jeon, C.S. Kim, W.S. Kong. 2017.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J. Environ. Impact Assess. 26(4):272-289 (in Korean). 

  11. Kim, J.H. 1989.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in the Islands of Jindo County, Chollanamdo, Korea. Sunchon National University Bulletin 8:83-108.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Korea (in Korean). 

  12. Kim, J.H. and M.S. Park. 1988. A floristic study of Jindo archipelago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in the islands of Jindo county Chollanamdo, Korea. Sunchon National University Bulletin 7:261-302.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Korea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Korea (in Korean). 

  15. Lee, B.Y., G.H. Nam, J.H. Yun, G.Y. Cho, J.S. Lee, J.H. Kim, T.S. Park, K.G. Kim and K.H. Oh. 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202-207. 

  16. Lee, C.S. and H.T. Im. 1994. Glochidion chodoense C. Lee et Im (Euphobiaceae), a new species from Chodo Archipelago. Korean J. Pl. Taxon. 24(1):13-16.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8. Lee, W.S. 2012. A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in Kore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Korea (in Korean). 

  19.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20.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Korea (in Korean). 

  21. Lim, B.S. 1989. Degree of Green Naturality of Jeollanam-do (Mokpo-si, Haenam-gun, Yeongam-gun, Jindo-gun and Sinan-gun). National Survey of Natural Ecosystem (I-2):39-69.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22. Lim, Y.S., W.B. Seo, Y.M. Choi and J.O. Hyun. 2014. First record of naturalized species Trifolium resupinatum L. (Fabaceae)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7(4):333-336 (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Incheon, Korea. pp. 173-226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 Plants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2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7.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2016. from http://www.kbr.go.kr. 

  26. Oh, B.U., D.G. Jo, B.Y. Sun, B.H. Choi, J.H. Pak, H.T. Im, C.S. Chang, W.K. Paik, G.Y. Chung, K.R. Park, J.H. Kim and C.G. Jang. 2004.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I. South-Coast Provinc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7.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28.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29.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30. Park, S.H., Y.M. Lee, J.C. Yang, D.K. Cho, K.H. Lee, C.S. Jang, H.J. Lee, H.J. Choi, S.S. Jeong and J.H. Lee. 2008.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31. Park, S.H., Y.M. Lee, S.Y. Jeong, G.S. Jang, W.C. Kang, S.S. Jeong, S.H. Oh and J.C. Yang.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32. Yang, I.S. 1958. Report on the flora of Jindo Island, Korea. Journa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323-349. Kyungpook National Univ., Korea (in Korean). 

  33. Yoon, C.Y. and N.I. Cho. 2004. The flora of Jindo island area-Mt. Yeogwi-san and Mt. Jiryeok-san.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78-98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