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풍속과 초기 토양수분에 따른 평면형 바이오필터 내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식물 생육반응 평가
Evaluation for Soil Moisture Stabilization and Plant Growth Response in Horizontal Biofiltration System Depending on Wind Speed and Initial Soil Moistur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5, 2014년, pp.546 - 555  

최봄 (한경대학교 원예학과) ,  천만영 (한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창희 (한경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실내의 공간과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실내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녹화와 바이오필터를 통합한 시스템의 개발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적절한 공기정화량에 대한 용량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일정한 압력손실량과 토양수분 함량과 같은 여러 가지 요구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초 연구는 바이오필터의 토양 내 균일한 분포를 갖는 토양수분 함량과 압력손실량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식물 생장 특히 바람에 의한 근권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풍속을 적절히 조절하고, 바이오필터 내 초기 토양수분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평면형 바이오필터 모델을 설계하여 제작하고 세 가지 풍속(1, 2, $3cm{\cdot}sec^{-1}$)에 따른 바이오필터의 공기정화량, 공기체류시간, 기액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세가지 풍속에 따라 바이오필터 내 토양층을 통과하여 배출된 가습공기의 상대습도, 압력손실량, 토양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이 바이오필터 내에서 자란 상추와 더 피고사리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풍속 실험의 결과, 풍속 $3cm{\cdot}sec^{-1}$가 상대습도, 토양수분 함량, 식물생육을 유지하기에 가장 적절하였다. 따라서 다음 실험에서는 풍속을 $3cm{\cdot}sec^{-1}$로 고정하고 두 가지 수준의 초기 토양수분 함량(저수준 18.5%, 고수준 28.7%) 조건에서 바이오필터를 가동한 처리구와 바이오필터를 가동하지 않은 대조구(초기 토양수분 함량 29.7%)를 설정하고, 바이오필터 내 토양층을 통과하여 배출된 가습공기의 상대습도, 압력손실량, 토양수분 함량과 바이오필터 내에서 자란 상록넉줄고사리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이 실험 결과는 첫 번째 실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상대습도, 토양수분 함량, 압력손실량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세 가지 초기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상록넉줄고사리의 생육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두 가지의 바이오필터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건물중이 다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요 물리적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과 압력손실량을 유지할 수 있는 본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안정성은 가까운 미래에 보다 발전된 일체형 바이오필터 모델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nal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iofiltration system integrated with plant vegetation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effectively depending on indoor spac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o approach this final goal, several requirements such as constant pressure drops (PDs) and soil mo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적절한 공기정화량에 대한 용량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일정한 압력손실량과 토양수분 함량과 같은 여러 가지 요구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초 연구는 바이오필터의 토양 내 균일한 분포를 갖는 토양수분 함량과 압력손실량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식물 생장 특히 바람에 의한 근권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풍속을 적절히 조절하고, 바이오필터 내 초기 토양수분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평면형 바이오필터 모델을 설계하여 제작하고 세 가지 풍속(1, 2, 3 ㎝·sec-1)에 따른 바이오필터의 공기정화량, 공기체류시간, 기 액비를 산출하였다.
  • 본 실험의 목적은 제작된 바이오필터 용기 내 식물을 식재하고, 풍속을 달리하여 식물 생육기간 동안의 용기 내 식물 생육, 공중습도, 토양수분 함량 그리고 압력손실량을 조사하여 바이오필터의 기능과 식물 생육에 적절한 바이오필터 풍속을 구명하고 초기 토양수분을 달리 하여 바이오필터의 수분 안정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공간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식물 녹화용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기초로 필요한 부분이 일정한 압력 손실량과 토양수분 함량이기에 안정된 바이오필터의 토양 내 수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풍속에 의한 식물 생장 저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실내의 공간과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실내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녹화와 바이오필터를 통합한 시스템의 개발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적절한 공기정화량에 대한 용량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일정한 압력손실량과 토양수분 함량과 같은 여러 가지 요구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식재용 토양 내 수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일정한 공기 정화량, 압력 손실량, 송풍기 용량, 공기체류시간 등을 산출하고 실내 식물의 공기정화능력과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실내 대기오염물질 제거 능력이 강화된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개발해 실내공간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 실내녹화용 공기정화 시스템의 용량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는 가습된 공기를 배지의 지하부로 공급하는 자동관수 방법이며, 송풍기를 통하여 들어온 외부공기가 가습하는 장치(흡수탑)로 흡입된 후 바이오필터의 미생물 배양공간인 식물 식재용 토양하부에서 토양 상부로 통과하면서 식물체의 지하부와 지상부에 수분과 습도를 공급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Chun and Lee, 2014; Fig.
  • 앞의 실험으로 토양수분과 대기습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풍속으로 판단되는 3 ㎝·sec-1 풍속을 적용하고 추가실험을 실시하여 초기 토양 수분함량(SMC)이 다를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토양수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o Green Wall System란 무엇인가? 이처럼 충분한 환기를 통해 일부 오염공기의 배출이 가능하지만 최근 우리나라 대기의 경우 NO2, O3, PM10 등, 소위 선진국형 오염물질은 환경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MOE, 2012) 이와 같은 대기오염은 환기를 통해 정화되는 실내 공기 오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실질적인 환기의 의미가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근본적인 오염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아닌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정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으로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2차 오염원 발생이 없는 실내 녹화기술로 식물에 의한 공기정화와 탄소봉에 의한 2차 공기정화가 가능한 ‘Bio Green Wall System’과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개선용 바이오필터 시스템 등의 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공기정화장치가 개발되고 있다(Bang et al., 2013; Lee and Joe, 2008).
실내 녹화에 있어 실내 식물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013; Lee and Joe, 2008). 일반적으로 흔히 이용되고 있는 실내 식물은 매우 효과적인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내공기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효과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공간별 실내 녹화에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Hong et al., 2005; Kill et al.
안정된 바이오필터의 토양 내수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풍속에 의한 식물 생장 저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개발하기 위해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이러한 연구의 기초로 필요한 부분이 일정한 압력 손실량과 토양수분 함량이기에 안정된 바이오필터의 토양 내수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풍속에 의한 식물 생장 저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용기 내 식물을 식재하고 풍속과 초기 수분양을 달리하여 토양수분함량과 대기습도, 압력손실량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식물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 식재에 적합한 풍속은 3 ㎝·sec−1로 설정한 경우 생육에 적합한 토양 수분 함량과 실내 습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식물의 수분 요구도에 맞추어 초기 토양 수분을 조절하여 식물을 식재할 경우 식물 생장과 관리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e, Y.M., E.J. Jung., Y.S. Kim and J.D. Chang. 2012.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indoor landscaping methods in foreign buildings. J. KIAEBS. 6:151-158 (in Korean). 

  2. Bang, S.W. 2013. Development of the 'Bio green wall system' for air pu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MS Thesis, Konkuk Univ., Korea. 

  3. Bang, S.W., J.Y. Kim, J.E. Song, K.J. Kim and D.H. Kim. 2013. Effect of the bio green wall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415-420 (in Korean). 

  4. Chun, M.Y, and C.H. Lee. 2014. Water supply system for biofilter flowerpot. Patent serial No. 10-1418679. 

  5. Hong, J., J.S. Lee and C.H. Pak. 2005. Selection of indigenous plants tolerant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ir purifying mechanisms in indoor environment. Korean J. Hort. Sci. Technol. 23:97-103 (in Korean). 

  6. Jang, H.S., S.K. Shin, J.H. Song and S.J. Hwang. 2006. Biodegradation of VOC mixtures using a bioactive foam reactor II. J. KSCE. 26(6B):695-701 (in Korean). 

  7. Kill, M.J., K.J. Kim, J.K. Cho and C.H. Park. 2008. Formaldehyde gas removal effect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atsia japonica and Epipremnum aureum according to various light intensity. Korean J. Hort. Sci. Technol. 26:189-196 (in Korean). 

  8. Kim, K.J., M.I. Jung, D.W. Lee, H.D. Kim, E.H. Yoo, S.J. Jung, S.W. Han and S.Y. Lee. 2009. Water absorption and water diffusion by irrigation system in the planters for indoor plants.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12:57-63 (in Korean). 

  9. Lee, B.S. and J.K. Pack. 2006. Comparison about time serial change of carbon dioxide's concentration and ventilation at apartment room. J. Korean Soc. Environ. Administration 12:27-36 (in Korean). 

  10. Lee, C.H., M.Y. Chun, M.K. Kim, H.J. Lim, H.D. Shim and H.S. Lee. 2012. Pressure drop pattern of floricultural media for biofiltration system. Korean J. Hort. Sci. Technol. 30(SUPPL. II):164-164 (in Korean). 

  11. Lee, J.H. 2006. System of phyto-filter for removing indoor air pollutants. Interior Landscape 8:9-16. 

  12. Lee, J.H. and I.S. Joe.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biofilter system for removing indoor air pollution used by pla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1:33-46 (in Korean).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Environment white paper. Ministry of Environment. 

  14. Oh, K.S., J.H. Koo and C.J. Cho. 2005. The effects of urban spatial elements on local air pollution. J. Korean Planners Association 40:159-170 (in Korean). 

  15. Park, S.A., M.G. Kim, M.H. Yoo, M.M. Oh and K.C. Son. 2010. Comparison of Indoor $CO_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864-870 (in Korean). 

  16. Shin, S.H., M. Yoo and Y.M. Kim. 2012. A proposal for indoor greening standard type, through a survey of the users preferences in working space.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5:477-483 (in Korean). 

  17. Sohn, J.R., M.B. Jang and K.M. Cho. 2004. The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tion for VOCs in unsaturated soil by bio-filter. Korean J. Sanitation 19:19-2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