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역해석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 예측 Evaluation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Scheme원문보기
복합재료 구성성분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험을 통한 정확한 물성 측정이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역해석을 이용하여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복합재료에 대한 등가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Mori-Tanaka 기법과 결합된 역해석기법을 이용하면, 라미나 수준의 목적함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glass fiber, P75, P100, M55J)에 대한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이를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라미나와 기지 물성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섬유 물성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복합재료 구성성분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험을 통한 정확한 물성 측정이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역해석을 이용하여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복합재료에 대한 등가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Mori-Tanaka 기법과 결합된 역해석기법을 이용하면, 라미나 수준의 목적함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glass fiber, P75, P100, M55J)에 대한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이를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라미나와 기지 물성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섬유 물성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scheme of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CTE)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The size of constituents typically is about a few micrometers, which makes the identification of material properties difficult as well as th...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scheme of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CTE)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The size of constituents typically is about a few micrometers, which makes the identification of material properties difficult as well as the measurement results inaccurate. The proposed inverse analysis scheme, which is combined with the Mori-Tanaka method for predicting an equivalent CTE of composite materials, provides the CTE of the constituents in a straightforward manner by minimizing the cost function defined in lamina scale with the steepest descent metho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scheme, the CTEs of several fibers (glass fiber, P75, P100, and M55J) embedded in matrix a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Furthermore, we discuss the effects of uncertainty of laminar and matrix properties on the prediction of fiber proper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scheme of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CTE)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The size of constituents typically is about a few micrometers, which makes the identification of material properties difficult as well as the measurement results inaccurate. The proposed inverse analysis scheme, which is combined with the Mori-Tanaka method for predicting an equivalent CTE of composite materials, provides the CTE of the constituents in a straightforward manner by minimizing the cost function defined in lamina scale with the steepest descent metho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scheme, the CTEs of several fibers (glass fiber, P75, P100, and M55J) embedded in matrix a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Furthermore, we discuss the effects of uncertainty of laminar and matrix properties on the prediction of fiber propert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역해석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성요소의 열팽창계수 예측기법을 제안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해석이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 3장에서는 복합재료 라미나와 구성요소의 물성이 정확히 알려진 문제를 다루어 방법론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현재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 공개되어 있는 탄소섬유 M55J의 열팽창계수를 두 가지 복합재료 샘플데이터 M55J/M18과 M55J/RS12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라미나 또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지는 섬유 열팽창계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2절에서는 재료물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M55J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두 종류의 복합 재료 M55J/M18, M55J/RS12B로부터 각각 도출하고 그 값을 서로 비교해 보았다. 또한 수치예제를 통하여 복합재료의 물성 또는 기지의 물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역해석기법 정확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역해석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Glass/Epoxy, P75/Epoxy930, P100/Aluminum2024 복합재료를 대상으로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앞서 2.
현재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공개되어 있는 탄소섬유 M55J의 열팽창계수를 2가지 복합재료 시편 M55J/M18(Sample #1)과 M55J/RS12B(Sample #2)의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라미나 또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이 M55J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였다.
45 사이의 값을 산정하였다. 즉,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뿐만 아니라 기지재료의 포와송비를 다양하게 가정하고, 이와 같은 불확실성이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Mori-Tanaka 기법과 역해석기법을 결합하여 복합재료 구성재료의 열팽창계수를 예측기법을 제안하고, 재료의 물성이 잘 알려진 복합재료 구성성분(glass P75, P100)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함으로써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알려진 M55J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라미나 스케일의 열팽창계수는 일반적으로 이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재료의 탄성계수, 열팽창계수의 함수이나 본 연구에서는 구성재료의 탄성계수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였고 그러므로 식 (2)와 같이 독립변수는 열팽창계수 3개와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수(Nmat)의 곱(Nmat×3)으로 나타내어 진다.
역해석기법을 이용해서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도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1% 내외로 존재하는 기공(void)을 무시하였으며 섬유와 기지의 성질이 선형 탄성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섬유와 기지가 완전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박리, 슬립 등의 계면의 결함을 무시하였고, 섬유의 단면 형상이 완전한 원형이라고 가정하였다.
역해석기법을 이용해서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도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1% 내외로 존재하는 기공(void)을 무시하였으며 섬유와 기지의 성질이 선형 탄성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섬유와 기지가 완전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박리, 슬립 등의 계면의 결함을 무시하였고, 섬유의 단면 형상이 완전한 원형이라고 가정하였다. 아울러 섬유의 구부러짐(kink)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섬유와 기지가 완전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박리, 슬립 등의 계면의 결함을 무시하였고, 섬유의 단면 형상이 완전한 원형이라고 가정하였다. 아울러 섬유의 구부러짐(kink)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제안 방법
통상적으로 복합재료에 대한 열팽창계수는 TMA(Thermo Mechanical Analyzer) 또는 간섭계(interferometer)를 활용한 시편시험을 통해 측정한다. 대부분의 경우, 복합재료는 라미나(lamina)로 구성된 롤(roll)단위 형태로 구매하기 때문에 섬유(fiber)와 기지(matrix)가 결합된 상태의 열팽창계수는 알 수 있으나, 섬유와 기지 자체의 열팽창계수에 대해서는 별도로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해석이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 3장에서는 복합재료 라미나와 구성요소의 물성이 정확히 알려진 문제를 다루어 방법론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현재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 공개되어 있는 탄소섬유 M55J의 열팽창계수를 두 가지 복합재료 샘플데이터 M55J/M18과 M55J/RS12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라미나 또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지는 섬유 열팽창계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등가열팽창계수를 찾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그 중 Schapery 기법(Schapery, 1968; Strife et al., 1979), Mori-Tanaka 기법(Rupnowski et al., 2005), 전산균질화 기법(Islam et al., 2001; Karadeniz et al., 2007; Yu et al., 2007)이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역해석기법의 적용에 앞서 3가지 방법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앞서 2.2.1절에서 설명한 3가지의 등가팽창계수 예측 모델(Schapery, Mori-Tanaka, 전산균질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양한 섬유체적비에 따른 복합재료의 열팽창계수를 계산하고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산에 사용된 복합재료는 유리섬유 복합재료 Glass/Epoxy와 탄소섬유 복합재료 P75/Epoxy930, 탄소섬유/금속 복합재료(MMC: Metal Matrix Composite) P100/Aluminum2024이며, 섬유와 기지의 물성치는 Table 2와 Table 3에 나타내었다.
축차를 위한 증분 #은 1ppm/℃으로 설정하였고 수렴점 근방에서는 증분에 대한 황금분할(golden section)을 수행하여 수렴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수렴 판정조건(tolerance)으로 목적함수를 사용하여 그 크기가 10-12 이하가 될 때까지 축차를 진행하였다.
1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서 복합재료와 그 구성재료의 재료물성이 잘 알려진 재료를 대상으로 역해석기법을 이용해서 구성재료의 열팽창계수의 값을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3.2절에서는 재료물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M55J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두 종류의 복합 재료 M55J/M18, M55J/RS12B로부터 각각 도출하고 그 값을 서로 비교해 보았다. 또한 수치예제를 통하여 복합재료의 물성 또는 기지의 물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역해석기법 정확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기지의 물성은 Table 3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복합재료 라미나에 대한 물성은 Table 4와 같이 측정치(평균)와 복합재료 열팽창계수의 통상적인 변동계수(COV: coefficient of variance,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 5%를 고려하였다. 이를 이용해 복합재료 열팽창계수의 불확실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공개되어 있는 탄소섬유 M55J의 열팽창계수를 2가지 복합재료 시편 M55J/M18(Sample #1)과 M55J/RS12B(Sample #2)의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라미나 또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이 M55J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였다.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는 Romeo와 Frulla(1995)가 8개의 시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들을 사용하여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하였다. 즉, 라미나의 열팽창계수 변화에 따른 섬유의 열팽창계수 변화를 평가하였다. Table 6에 함께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에 대한 열팽창계수는 각각 길이방향 -1.
다음으로, 섬유체적비가 0.56인 M55J/RS12B 복합재료를 대상으로 하여 M55J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해 보았다. 역해석기법에 사용된 라미나와 기지의 물성치는 Table 7과 같다.
위의 M55J/M18 라미나에 대한 해석과 마찬가지로 M55J/RS12B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는 Lee(2010)가 9개의 시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기지재료 RS12B 에 대한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는 참고문헌(TenCate, 2014)에 기술된 값을 사용하였지만, RS12B의 포와송비는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전형적인 기지재료의 포와송비를 고려하여 0.35~0.45 사이의 값을 산정하였다. 즉,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뿐만 아니라 기지재료의 포와송비를 다양하게 가정하고, 이와 같은 불확실성이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평가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기지의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의 불확실성에 의한 COV를 각각 5% 이하 수준인 ±0.2GPa, ±2.0ppm/℃로 산정하였다.
섬유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앞서 3.
섬유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에 대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앞서 3.2.1절에서 다룬 포와송비 0.43인 경우의 M55J/RS12B 복합재료를 기준으로 하여, RS12B 기지의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의 불확실성이 섬유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기지의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의 불확실성에 의한 COV를 각각 5% 이하 수준인 ±0.
본 연구에서는 Mori-Tanaka 기법과 역해석기법을 결합하여 복합재료 구성재료의 열팽창계수를 예측기법을 제안하고, 재료의 물성이 잘 알려진 복합재료 구성성분(glass P75, P100)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함으로써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알려진 M55J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복합재료 구성성분인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인 라미나의 열팽창계수, 기지의 포와송비, 기지의 탄성계수 및 열팽창계수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을 때, 섬유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알려진 M55J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복합재료 구성성분인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인 라미나의 열팽창계수, 기지의 포와송비, 기지의 탄성계수 및 열팽창계수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을 때, 섬유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섬유의 길이방향 물성은 기지 재료물성의 불확실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로방향 열팽창계수는 기지의 물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1절에서 설명한 3가지의 등가팽창계수 예측 모델(Schapery, Mori-Tanaka, 전산균질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양한 섬유체적비에 따른 복합재료의 열팽창계수를 계산하고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산에 사용된 복합재료는 유리섬유 복합재료 Glass/Epoxy와 탄소섬유 복합재료 P75/Epoxy930, 탄소섬유/금속 복합재료(MMC: Metal Matrix Composite) P100/Aluminum2024이며, 섬유와 기지의 물성치는 Table 2와 Table 3에 나타내었다.
P100/Aluminum2024도 P75/Epoxy930와 마찬가지로 가로등방성/등방성을 띄지만 기지가 금속재료인 MMC이다. 길이방향 열팽창계수는 재료에 상관없이 예측 결과가 모두 시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역해석기법에 사용된 라미나와 기지의 물성치는 Table 7과 같다. 위의 M55J/M18 라미나에 대한 해석과 마찬가지로 M55J/RS12B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는 Lee(2010)가 9개의 시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기지재료 RS12B 에 대한 탄성계수와 열팽창계수는 참고문헌(TenCate, 2014)에 기술된 값을 사용하였지만, RS12B의 포와송비는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전형적인 기지재료의 포와송비를 고려하여 0.
데이터처리
먼저 3.1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서 복합재료와 그 구성재료의 재료물성이 잘 알려진 재료를 대상으로 역해석기법을 이용해서 구성재료의 열팽창계수의 값을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3.
또한 두 가지 시편에 대하여 역해석으로 얻은 M55J의 열팽창계수의 유사성을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고찰하였다. 유의수준 5%(신뢰도 95%)를 사용하였으며, Sample #2의 포와송비를 0.
이론/모형
, 2003).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열팽창계수 예측에 있어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Mori-Tanaka 기법을 사용하였다.
앞서 2.1절에서 언급한 목적함수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Fig. 6과 같은 형태로 최대경사하강법(Steepest Descent Method)을 사용하였다. 최대경사를 구하기 위해서 식 (9)와 같은 수치미분치를 사용하였다.
M55J/M18 라미나에 대한 탄성계수는 Table 6에서의 평균값 μ(Romeo et al., 1995)으로 일정하게 사용하였으며, M55J 섬유의 탄성계수 예측에는 Rupnowski 등(2005)가 제안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Table 6과 같이 참고문헌에 기술된 M55J/M18 라미나의 탄성계수 및 열팽창계수를 역해석기법에 적용해서 섬유의 탄성계수 및 열팽창계수를 도출하였다. M55J/M18의 섬유 체적비는 0.
, 1995)으로 일정하게 사용하였으며, M55J 섬유의 탄성계수 예측에는 Rupnowski 등(2005)가 제안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는 Romeo와 Frulla(1995)가 8개의 시편에 대해서 측정한 값들을 사용하여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하였다. 즉, 라미나의 열팽창계수 변화에 따른 섬유의 열팽창계수 변화를 평가하였다.
성능/효과
P100/Aluminum2024도 P75/Epoxy930와 마찬가지로 가로등방성/등방성을 띄지만 기지가 금속재료인 MMC이다. 길이방향 열팽창계수는 재료에 상관없이 예측 결과가 모두 시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에 나타나듯이 모든 예측결과가 시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P100/Aluminum 2024 복합재료의 경우에는 Fig. 5와 같이 전산균질화 기법과 Mori-Tanaka 기법의 예측결과만이 시험결과와 잘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측된 섬유의 길이방향 열팽창계수 #의 표준편차는 라미나 열팽창계수의 표준편차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지만, 가로방향 열팽창계수 #의 표준편차는 2~3배 수준으로 더 증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두 번째 시편에서 길이 방향 열팽창계수는 포와송비 변화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가로방향 열팽창계수는 평균 및 표준편차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복합재료에서 섬유의 가로방향 열팽창계수는 기지의 포와송비에 매우 민감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M55J의 길이방향 열팽창계수 #의 경우, 평균의 동일성 유의확률이 0%로 기준인 5%보다 작으므로 Sample #1보다 Sample #2의 결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두 결과의 분산은 Levene의 등분산검정 유의확률 20% 수준으로 기준인 5%보다 크므로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55의 가로방향 열팽창계수 #의 경우, Sample #2에서 포와송비가 0.
45 범주에 있을 때 Sample #1과의 평균의 동일성 유의확률이 26%이상으로 5%보다 크므로 평균값이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분산의 경우에도 Levene의 등분산 검정 유의확률 60%이상 수준이기 때문에 분산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두 가지 종류의 시편에 대한 결과는 길이방향 열팽창계수 평균치에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동일한 표준 편차분포를 갖고 있으며, 가로방향 열팽창계수는 포와송비가 0.43~0.45일 때 평균 및 표준편차가 95% 신뢰도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10에 나타냈다. 섬유의 길이방향 열팽창계수의 경우에는 기지재료의 물성 변화에 따라 COV가 3.2%에서 5.6%로 2.4% 증가를 보였으나, 가로 방향 열팽창계수의 COV는 99.4%에서 185.8%로 86.4%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기지의 물성치도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섬유의 길이방향 물성은 기지 재료물성의 불확실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로방향 열팽창계수는 기지의 물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예측에 필요한 자료에 포함된 불확실성 편차 수준보다 2~3배 가량 증폭된 편차를 갖는 결과를 보였다. 섬유의 가로방향 열팽창계수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라미나 또는 기지의 물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후속연구
한편, 위의 식 (4)~(8)에서 열팽창계수 α, 탄성계수 E, 포와송비 ν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여기에서는 특정 온도 근방에서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온도 근방에서의 물성치는 일정한 값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물성치 확보가 수월한 상온 근처에서의 열팽창계수 예측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임의의 온도에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본 절에서 다룬 등가열팽창계수 예측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45ppm/℃로 COV 1125%에 해당하는 매우 큰 변화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지재료 Aluminum 2024이 높은 강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P100/Aluminum2024과 같은 MMC 재료의 섬유 물성을 역해석을 이용해서 예측하는 경우에는 복합재료 라미나의 열팽창계수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Mori-Tanaka 기법에 근거한 단순한 예측모델과 많은 가정(기공 및 계면 영향 무시, 완전결합 등)을 사용했지만, 제안된 기법을 정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상세한 RVE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재료물성 측정장비와 정밀계측기술의 발전, Micro CT 및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복합재료 해석기술의 발전 추세를 감안할 때 실제적인 섬유 분포, 중간상(interphase)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된 역해석기법을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있는 구성성분의 물성치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Mori-Tanaka 기법에 근거한 단순한 예측모델과 많은 가정(기공 및 계면 영향 무시, 완전결합 등)을 사용했지만, 제안된 기법을 정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상세한 RVE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재료물성 측정장비와 정밀계측기술의 발전, Micro CT 및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복합재료 해석기술의 발전 추세를 감안할 때 실제적인 섬유 분포, 중간상(interphase)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된 역해석기법을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있는 구성성분의 물성치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MoriTanaka 기법 외에 전산균질화 기법을 도입하면 기지 내의 임의적인 섬유 분포, 중간상, 결함 등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역해석이 가능해질 것이다.
현재 재료물성 측정장비와 정밀계측기술의 발전, Micro CT 및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복합재료 해석기술의 발전 추세를 감안할 때 실제적인 섬유 분포, 중간상(interphase)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된 역해석기법을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있는 구성성분의 물성치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MoriTanaka 기법 외에 전산균질화 기법을 도입하면 기지 내의 임의적인 섬유 분포, 중간상, 결함 등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역해석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편 물성치에 대한 제한된 정보로 인하여 8개 또는 9개 수준의 시편에 대한 통계적인 접근을 시도했으나, 다수의 시편에 대한 물성치를 토대로 하여 구성성분 물성치에 대한 일반화된 경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MoriTanaka 기법 외에 전산균질화 기법을 도입하면 기지 내의 임의적인 섬유 분포, 중간상, 결함 등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역해석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편 물성치에 대한 제한된 정보로 인하여 8개 또는 9개 수준의 시편에 대한 통계적인 접근을 시도했으나, 다수의 시편에 대한 물성치를 토대로 하여 구성성분 물성치에 대한 일반화된 경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재료에 대한 열팽창계수는 어떠한 경우 알 수 있고, 어떠한 경우 별도로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가?
통상적으로 복합재료에 대한 열팽창계수는 TMA(Thermo Mechanical Analyzer) 또는 간섭계(interferometer)를 활용한 시편시험을 통해 측정한다. 대부분의 경우, 복합재료는 라미나(lamina)로 구성된 롤(roll)단위 형태로 구매하기때문에 섬유(fiber)와 기지(matrix)가 결합된 상태의 열팽창 계수는 알 수 있으나, 섬유와 기지 자체의 열팽창계수에 대해서는 별도로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복합재료의 섬유 또는 개재물의 경우 그 크기가 통상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이기 때문에 물성을 측정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어렵다.
복합재료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복합재료는 비강성 및 비강도의 우수성 때문에 자전거, 테니스 라켓과 같은 생활용품부터 항공기, 인공위성, 스포츠카등 고사양 대형 구조물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복합재료는 Table 1에서 나타나듯이 열팽창계 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금속재 료에 대비하여 현저히 작다.
복합재료를 활용하면 어떠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
이뿐만 아니라, 복합재료는 Table 1에서 나타나듯이 열팽창계 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금속재 료에 대비하여 현저히 작다. 그러므로 복합재료를 활용하면 하루에 14번 가량 온도 -100℃~100℃의 열주기 환경을 겪는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의 별추적기, 탑재체에 부여되는 엄격한 열지향오차(thermal pointing error) 및 길이안정성 (dimensional stability) 요구조건을 손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최근 Geoeye-1(해상도: 0.
참고문헌 (18)
Benedikt, B., Kumosa, M., Predecki, P. (2005) An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es in Graphite/PMR-15 Composites by X-ray Diffraction, Acta Mater., 53, pp.4531-4543.
Benedikt, B., Rupnowski, P., Kumosa, M. (2003) Visco-elastic Stress Distributions and Elastic Properties in Unidirectional Composites with Large Volume Fractions of Fibers. Acta Mater., 51, pp.3483-3493.
Islam, MD.R. Sjolind, S.G., Pramila, A. (2001) Finite Element Analysis of Linea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Unidirectional Cracked Composites, J. Compo. Mater., 35, pp.1762-1776.
Karadeniz, Z.H., Kumlutas, D. (2007) A Numerical Study on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Compos. Struct., 78, pp.1-10.
Kulkarni, R., Ochoa, O. (2006)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TE Measurements of Carbon Fibers and their Impact on Interfacial Residual Stresses in Composites, J. Compo. Mater., 40, pp.733-754.
Romeo, G., Frulla, G. (1995)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High-Modulus Graphite-Epoxy Materials, J. Compo. Mater., 29, pp.751-765.
Rupnowski, P., Gentz, M., Sutter, J.K., Kumosa, M. (2005) An Evaluation of the Elastic Properties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Medium and High Modulus Graphite Fibers, Compos. Part A, 36, pp.327-338.
Shin, H., Yang, S., Yu, S., Chang, S., Cho, M. (2012) A Study on the Sequential Multiscale Homogenization Method to Predic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Nanocomposites with Kapitza Thermal Resistance,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5, pp.315-322.
Strife, J.R., Prewo, K.M. (1979) The Thermal Expansion Behavior of Un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Kevlar/Epoxy Composites, J. Compo. Mater., 13, pp.264-277.
Toray Industries, Inc. http://www.torayca.com/en/index.html (accessed 2014)
Yang, S., Yu, S., Ryu, J., Cho, M. (2013)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Elastoplastic Behavior of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6, pp.423-430.
Yu, W., Tang, T. (2007) A Variational Asymptotic Micromechanics Model for Predicting Thermoelastic Properties of Heterogeneous Material, Int. J. Solid & Struct., 44, pp.7510-752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