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역해석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 예측
Evaluation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Scheme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7 no.5, 2014년, pp.393 - 401  

임재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구조팀) ,  손동우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에너지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합재료 구성성분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험을 통한 정확한 물성 측정이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역해석을 이용하여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복합재료에 대한 등가 열팽창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Mori-Tanaka 기법과 결합된 역해석기법을 이용하면, 라미나 수준의 목적함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성성분의 열팽창계수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glass fiber, P75, P100, M55J)에 대한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이를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라미나와 기지 물성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섬유 물성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scheme of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CTE) of constituents in composite materials using an inverse analysis. The size of constituents typically is about a few micrometers, which makes the identification of material properties difficult as well as 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역해석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구성요소의 열팽창계수 예측기법을 제안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해석이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 3장에서는 복합재료 라미나와 구성요소의 물성이 정확히 알려진 문제를 다루어 방법론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 또한 현재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 공개되어 있는 탄소섬유 M55J의 열팽창계수를 두 가지 복합재료 샘플데이터 M55J/M18과 M55J/RS12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라미나 또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지는 섬유 열팽창계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 2절에서는 재료물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M55J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두 종류의 복합 재료 M55J/M18, M55J/RS12B로부터 각각 도출하고 그 값을 서로 비교해 보았다. 또한 수치예제를 통하여 복합재료의 물성 또는 기지의 물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역해석기법 정확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역해석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Glass/Epoxy, P75/Epoxy930, P100/Aluminum2024 복합재료를 대상으로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앞서 2.
  • 현재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공개되어 있는 탄소섬유 M55J의 열팽창계수를 2가지 복합재료 시편 M55J/M18(Sample #1)과 M55J/RS12B(Sample #2)의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라미나 또는 기지 물성의 불확실성이 M55J의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였다.
  • 45 사이의 값을 산정하였다. 즉, 라미나의 열팽창계수뿐만 아니라 기지재료의 포와송비를 다양하게 가정하고, 이와 같은 불확실성이 열팽창계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평가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Mori-Tanaka 기법과 역해석기법을 결합하여 복합재료 구성재료의 열팽창계수를 예측기법을 제안하고, 재료의 물성이 잘 알려진 복합재료 구성성분(glass P75, P100)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함으로써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재료물성이 부분적으로만 알려진 M55J의 열팽창계수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라미나 스케일의 열팽창계수는 일반적으로 이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재료의 탄성계수, 열팽창계수의 함수이나 본 연구에서는 구성재료의 탄성계수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였고 그러므로 식 (2)와 같이 독립변수는 열팽창계수 3개와 복합재료 구성성분의 수(Nmat)의 곱(Nmat×3)으로 나타내어 진다.
  • 역해석기법을 이용해서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도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1% 내외로 존재하는 기공(void)을 무시하였으며 섬유와 기지의 성질이 선형 탄성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섬유와 기지가 완전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박리, 슬립 등의 계면의 결함을 무시하였고, 섬유의 단면 형상이 완전한 원형이라고 가정하였다.
  • 역해석기법을 이용해서 섬유의 열팽창계수를 도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1% 내외로 존재하는 기공(void)을 무시하였으며 섬유와 기지의 성질이 선형 탄성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섬유와 기지가 완전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박리, 슬립 등의 계면의 결함을 무시하였고, 섬유의 단면 형상이 완전한 원형이라고 가정하였다. 아울러 섬유의 구부러짐(kink)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 또한 섬유와 기지가 완전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박리, 슬립 등의 계면의 결함을 무시하였고, 섬유의 단면 형상이 완전한 원형이라고 가정하였다. 아울러 섬유의 구부러짐(kink)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재료에 대한 열팽창계수는 어떠한 경우 알 수 있고, 어떠한 경우 별도로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가? 통상적으로 복합재료에 대한 열팽창계수는 TMA(Thermo Mechanical Analyzer) 또는 간섭계(interferometer)를 활용한 시편시험을 통해 측정한다. 대부분의 경우, 복합재료는 라미나(lamina)로 구성된 롤(roll)단위 형태로 구매하기때문에 섬유(fiber)와 기지(matrix)가 결합된 상태의 열팽창 계수는 알 수 있으나, 섬유와 기지 자체의 열팽창계수에 대해서는 별도로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복합재료의 섬유 또는 개재물의 경우 그 크기가 통상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이기 때문에 물성을 측정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어렵다.
복합재료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복합재료는 비강성 및 비강도의 우수성 때문에 자전거, 테니스 라켓과 같은 생활용품부터 항공기, 인공위성, 스포츠카등 고사양 대형 구조물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복합재료는 Table 1에서 나타나듯이 열팽창계 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금속재 료에 대비하여 현저히 작다.
복합재료를 활용하면 어떠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 이뿐만 아니라, 복합재료는 Table 1에서 나타나듯이 열팽창계 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금속재 료에 대비하여 현저히 작다. 그러므로 복합재료를 활용하면 하루에 14번 가량 온도 -100℃~100℃의 열주기 환경을 겪는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의 별추적기, 탑재체에 부여되는 엄격한 열지향오차(thermal pointing error) 및 길이안정성 (dimensional stability) 요구조건을 손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최근 Geoeye-1(해상도: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nedikt, B., Kumosa, M., Predecki, P. (2005) An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es in Graphite/PMR-15 Composites by X-ray Diffraction, Acta Mater., 53, pp.4531-4543. 

  2. Benedikt, B., Rupnowski, P., Kumosa, M. (2003) Visco-elastic Stress Distributions and Elastic Properties in Unidirectional Composites with Large Volume Fractions of Fibers. Acta Mater., 51, pp.3483-3493. 

  3. Daniel, I.M., Ishai, O. (2006) Engineering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4. Hexcel Corporation http://www.hexcel.com (accessed 2014) 

  5. Islam, MD.R. Sjolind, S.G., Pramila, A. (2001) Finite Element Analysis of Linea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Unidirectional Cracked Composites, J. Compo. Mater., 35, pp.1762-1776. 

  6. Karadeniz, Z.H., Kumlutas, D. (2007) A Numerical Study on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Compos. Struct., 78, pp.1-10. 

  7. Kulkarni, R., Ochoa, O. (2006)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TE Measurements of Carbon Fibers and their Impact on Interfacial Residual Stresses in Composites, J. Compo. Mater., 40, pp.733-754. 

  8. Lee, D.-H. (2010) Precise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of Composite Materials for Space Applications, Master's Thesis, KAIST, Daejeon, Korea. 

  9. Miyagawa, H., Mase, T., Sato, C., Drown, E., Drzal, L.T., et al. (2006)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Transverse Elastic Modulus of Carbon Fibers, Carbon, 44, pp.2002-2008. 

  10. Romeo, G., Frulla, G. (1995)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High-Modulus Graphite-Epoxy Materials, J. Compo. Mater., 29, pp.751-765. 

  11. Rupnowski, P., Gentz, M., Sutter, J.K., Kumosa, M. (2005) An Evaluation of the Elastic Properties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Medium and High Modulus Graphite Fibers, Compos. Part A, 36, pp.327-338. 

  12. Schapery, R.A. (1968)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Energy Principles, J. Compo. Mater., 2, pp.380-404. 

  13. Shin, H., Yang, S., Yu, S., Chang, S., Cho, M. (2012) A Study on the Sequential Multiscale Homogenization Method to Predic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Nanocomposites with Kapitza Thermal Resistance,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5, pp.315-322. 

  14. Strife, J.R., Prewo, K.M. (1979) The Thermal Expansion Behavior of Un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Kevlar/Epoxy Composites, J. Compo. Mater., 13, pp.264-277. 

  15. TenCate http://www.tencate.com (accessed 2014) 

  16. Toray Industries, Inc. http://www.torayca.com/en/index.html (accessed 2014) 

  17. Yang, S., Yu, S., Ryu, J., Cho, M. (2013)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Elastoplastic Behavior of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6, pp.423-430. 

  18. Yu, W., Tang, T. (2007) A Variational Asymptotic Micromechanics Model for Predicting Thermoelastic Properties of Heterogeneous Material, Int. J. Solid & Struct., 44, pp.7510-75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