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문해석과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 기법 개선
Improvement of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Model Considering Uncertainty of Hydrologic Analysis Proce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10, 2014년, pp.853 - 865  

나봉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사업처 수자원계획) ,  김진영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  임정열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기반시설연구소 지반구조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은 복잡한 수문분석과 연계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수문분석 과정과 모형에 사용되는 입력자료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체계적인 불확실성 분석 과정을 통한 댐 위험도 분석 절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해서 2가지 주요 개선점을 도출하여 댐 위험도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강우 분석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이 가능한 Bayesian 모형 기반의 지역빈도해석 절차를 수립하였다. 둘째,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Bayesian 모형과 연계한 HEC-1모형을도입하였다. 도출된 유입 시나리오를 댐의 수위로 환산하기 위하여 기존 저수지 운영기준에 근거하여 저수지 추적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실행함수를 통하여 수문학적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실제 댐에 대해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초기수위 가정에 따른 수문학적 위험도에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depends on complex hydrologic analyses in that probabilistic relationship need to be established to quantify various uncertainties associated modeling process and inputs. However,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uncertainty analysis for hydrologic risk analysis have not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Bayesian 지역빈도해석 모형을 활용하여 댐 위험도 분석을 위한 강우시나리오를 도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댐 안전성 평가 시에는 유역내외에 존재하는 강우관측소를 개별적으로 빈도해석을 실시하고 Thiessen 가중법을 이용하여 면적강우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을 통해 댐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강우시나리오를 도출하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Kwon and Moon (2006)이 제시한 수리·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 기법을 개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2012)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Bayesian 기법을 HEC-1 모형에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위험도 평가 시 요구되는 유출시나리오 산정을 위해서 Bayesian HEC-1 모형을 도입하여 강수로부터 유출까지 일련의 강우-유출 분석 단계에서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 마지막으로, 댐 모의 운영시 댐 수문의 작동여부, 초기수위 조건, 여수로 방류능력 여부 즉, 댐 현재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댐 안전성 평가를 수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3가지 문제점 중 확률강우량의 불확실성과 강우-유출 분석의 불확실성 등 2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국내 댐에 적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수위의 변동에 따른 위험도 해석 모형결과의 민감도를 검토하였다. 초기수위는 댐 위험도 분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1번째 및 2번째 문제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 수리·수문학적 댐 월류 위험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즉, 댐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위험인자의 수리·수문학적 해석시 모형 및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Bayesian 지역빈도해석 모형 및 Bayesian HEC-1 모형을 활용하여 수문해석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문학적 댐 위험도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 시 불확실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였으며, 기존 해석방법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하는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국내외에서 댐 모의 운영 시 초기수위는 대체적으로 상시만수위 혹은 홍수기 제한수위로 가정한 보수적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향후 연구로서 사전강수와 수위와의 관계 등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과의 연계모의기법을 정립하고자 한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Bayesian 지역빈도해석 모형 및 Bayesian HEC-1 모형을 활용하여 수문해석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문학적 댐 위험도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 시 불확실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였으며, 기존 해석방법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하는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n= 1,2,3)를 최적화 대상으로 HEC-1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9개의 매개변수는 정규분포로 가정하였으며 총 9개의 매개변수에 대한 결합확률은 Eq. (8)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은 무엇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한가?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은 복잡한 수문분석과 연계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수문분석 과정과 모형에 사용되는 입력자료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체계적인 불확실성 분석 과정을 통한 댐 위험도 분석 절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다.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은 무엇과 연계되어 있는가? 수문학적 댐 위험도 분석은 복잡한 수문분석과 연계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수문분석 과정과 모형에 사용되는 입력자료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체계적인 불확실성 분석 과정을 통한 댐 위험도 분석 절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다.
댐 붕괴를 위협하는 다양한 위험인자에 대한 대비로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댐 하류부의 급격한 도시화 및 발전으로 인해 댐 붕괴시 막대한 예산 소요 및 하류부에 과도한 불안감을 야기할 수 있다.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밀안전진단은 현장조사, 상세외관조사, 내구성조사,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의 접근으로 댐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안전성평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밀안전진단의 경우 특정 수문학적 빈도와 가정조건을 기준으로 댐의 안전을 판단하고 있으며 댐 파괴의 결과를 단순히 재해로 규정하는 등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해석 절차를 따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an, K.Y., Lee, J.S., and Kim, S.H. (1997). "Risk Model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Dam and Levee: II.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0, No. 6, pp. 691-698. 

  2. Kim, S.U., and Lee, K.S. (2008). "Regional Low 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Bayesian Multiple Regress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1, No. 3, pp. 325-340. 

  3. Kuo, J.-T., Hsu, Y.-C., Tung, Y.-K., Yeh, K.-C., and Wu, J.-D. (2008). "Dam overtopping risk assessment considering inspection program."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2, pp. 303-313. 

  4. Kwon, H.-H., and Moon, Y.-I. (2006). "Improvement of overtopping risk evaluations using probabilistic concepts for existing dam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0, pp. 223-237. 

  5. Kwon, H.-H., and Lee, J.-J. (2011). "Seasonal rainfall outlook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model and climate information." Journal ofKorea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5, pp. 339-350. 

  6. Kwon, H.-H., Kim, J.-G., Lee, J.-S., and Na, B.-K. (2012). "Uncertainty assessment of single event rainfall-runoff model using bayesia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5, pp. 505-516. 

  7. Kwon, H.-H., Kim, J.-Y., Kim, O.-K., and Lee, J.-J. (2013a). "A development of regional frequency model based on hierarchical bayesia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1, pp. 13-24. 

  8. Kwon, H.-H., Kim, J.-G., and Park, S.-H. (2013b). "Derivation of flood frequency curve with uncertainty of rainfall and rainfall-runoff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 pp. 59-71. 

  9. Lee, J.S. (2002). "Application of risk analysis for dam safety assess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5, No. 6, pp. 651-664. 

  10. Melching, C.S., Wenzel, H., and Yen, B.C. (1987). Application of system reliability analysis to flood forecasting, Application of Frequency and Risk inWater Resources. V.P. Singh, ed, Reidel Publishing Company. 

  11. Moon, Y.-I., and Kwon, H.-H. (2004a). "Hydraulic and Hydrologic Dam Risk Anlysis ( I )-Development of Dam Risk Analysis Methodology Using Nonparametric LHS-Monte Carlo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KSCE, Vol. 24, No. 5B, pp. 477-487. 

  12. Moon, Y.-I., and Kwon, H.-H. (2004b). "Hydraulic and Hydrologic Dam Risk Anlysis (II) -Application of Dam Risk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KSCE, Vol. 24, No. 5B, pp. 489-500. 

  13. Willmott, C.J. (1981). "On the validation of models." Physical Geograph, 2, pp. 184-1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