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yesian Network (BN)를 활용한 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Model Using Bayesian Network (B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0, 2015년, pp.781 - 791  

김진영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  김진국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  최병한 (농어촌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험도 해석시 수문학적 변량(강수, 유출 및 수위)들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분석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댐 위험도 해석 연구에서는 변량간의 체계적인 관계 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 수문학적 변량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고자 Bayesian Network 기반의 댐 위험도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실제 댐에 대해서 제안된 모형을 적용한 결과 파괴인자간의 상호관계 규명 및 불확실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존 연구보다 쉽게 가장 큰 파괴인자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댐의 안정성을 파괴확률 및 예상피해의 함수인 위험도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기존 댐 위험도 기법으로 수행한 결과에서는 월류 확률이 도출 되지 않았지만, Copula 함수를 도입하여 댐 초기수위를 고려한 결과 댐 월류 확률이 발생하였으며, 피해결과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댐의 보수보강 등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 risk analysis requires a systematic process to ensure that hydrologic variables (e.g. precipitation, discharge and water surface level) contribute to each other. However, the existing dam risk approach showed a limitation in assessing the interdependencies across the variables. This study aim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위험도 분석에서는 수문변량간의 관계를 독립적으로 간주하여 해석하는 단편적인 모형이므로 실제 수문현상을 재현하는데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BN 기법을 도입하여 수문학적 관점에서 각 파괴인자들이 모두 연관성을 가지고 댐 위험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BN 모형은 2변량 이상의 다변량 파괴인자들이 가지는 관계를 규명하고 각 변량 간의 조건부 확률을 추정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BN 모형 기반의 댐 위험도 적용을 위해 실증댐에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장에서는 댐파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 파괴인자를 도출하고 도출된 수문학적 변량을 이용하여 BN 모형을 구축한 이론적인 배경을 수록하였다.
  •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시 각 변량에 대한 해석기법은 다수 존재하였으나, 이들 관계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은 상대적으로 미비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BN 모형기반의 댐 위험도 해석기법을 개발하여 수문학적 파괴 인자간 인과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기존 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다시 말해서 대부분의 위험도 해석과정에서 요구되는 매개변수들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는 점과 각 매개변수들의 불확실성이 전체 해석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신뢰성을 저해시키는 복합적인 위험요소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BN 모형 기반 댐 위험도 해석 모형을 활용한 댐 위험도 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수문학적 변량들의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Bayesian Network (BN) 개념의 위험도 해석 모형을 개발하고, 국내 댐에 대해서 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그러나 기존 댐 위험도 해석시 수문학적 변량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며, 댐 초기수위는 상시만수위 혹은 홍수기 제한수위로 가정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etwork 기반의 댐 위험도 해석 기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변량간의 불확실성 정량화와 함께 수문학적 변량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해석을 위해 BN 모형을 구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00El.m (b)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 댐 수위는 각각 204 ± 0.
  • 이중 댐의 초기수위와 강수간의 상관성을 예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댐 운영모의 분석시 초기수위는 상시만수위 혹은 홍수기 제한수위로 가정하여 댐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PMF (probability maximum flood)를 댐 최대유입량으로 가정하고, 댐 초기수위는 홍수기 제한수위로 고정하여 댐 운영룰을 기준으로 월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pula 함수를 이용하여 사전강수특성에 따른 초기수위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HEC-5 모형의 초기수위로 가정하여 댐 월류 수위를 산정하였다. 즉, 연구대상 댐의 연 최대 강우사상을 추출하고, 다음날의 댐수위 값을 추출하였다.
  • 기존 댐 운영모의 분석시 초기수위는 상시만수위 혹은 홍수기 제한수위로 가정하여 댐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PMF (probability maximum flood)를 댐 최대유입량으로 가정하고, 댐 초기수위는 홍수기 제한수위로 고정하여 댐 운영룰을 기준으로 월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홍수기 댐 운영 상황과는 상당히 괴리감이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공구조물의 치수능력부족은 무엇으로 직결되는가?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치수능력부족은 구조물의 파손이나 붕괴로 직결되며, 대규모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불가피하다(Sin et al., 2007).
댐 위험도 해석에 있어 신뢰성 있는 수문학적 변량 선정 및 해석 기법의 선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댐 위험도 해석에 있어 신뢰성 있는 수문학적 변량 선정및 해석 기법의 선정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이유는 예상치 못한 댐 파괴시 하류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수 있으며, 이는 댐 붕괴로 그치는 것이 아닌 2차, 3차 피해가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댐 위험도 해석시 수문학적 변량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며, 댐 초기수위는 상시만수위 혹은 홍수기 제한수위로 가정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위험도 해석 평가 수행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위험도는 확률과 파괴결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위험도 해석은 시스템의 기능 또는 재난과 재난을 유발시키는 요소들에 대한 잠재성을 검증하고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수단을 찾기 위한 일환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위험도 해석 평가 수행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위험요소를 인지하고 각 위험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즉, 발생 위험도를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전체적인 위험도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며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조사·분석을 통해 파괴인자를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wles, D.S. (1988). "Verde River Risk Assessment: an Interim Solution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8th annual USCOLD Meeting, Phoenix, AZ, January. 

  2. Digest DG471 (2002). "Low-rise building foundations on soft ground,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 

  3. Gelman, A., Carlin, J.B., Stern, H.S., and Rubin, D.B. (2004). Bayesian Data Analysis. CHAPMAN&HALL/CRC. 

  4. Haimes, Y.Y. (1988). "Alternatives to the precommensuration of costs, benefits, risk. and time."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New York. 

  5. Hsu, Y.C., Tung, Y.K., and Kuo, J.T. (2011). "Evaluation of dam overtopping probability induced by flood and wind."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5, No. 1, pp. 35-49. 

  6. Jan C. Grygier, and Jery R. Stedinger (1985). "Algorithms for Optimizing Hydropower System Operation." Journal of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 No. 1, pp. 1-10. 

  7. Jensen, J. (2001). "Genetic Evaluation of Dairy Cattle Using Test-Day Models." Journal of Dairy Science, Vol. 84, No. 12, pp. 2803-2812. 

  8. Karlsson, P., and Haimes, Y. (1989). "Risk Assessment of Extreme Events: Application." J. Water Resour. Plann. Manage., Vol. 115, No. 3, pp. 299-320. 

  9. Kreuzer, H., and Bury, K. (1984). "A probability based evaluation of the safety and risk of existing dam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afety of Dams." Coimbra, April 23-28, Edited by J. Laginha Serafim, University of Coimbra, Portugal. 

  10. Kuo, J.T., Hsu, Y.C., Tung, Y.K., Yeh, K.C., and Wu, J.D. (2008). "Dam overtopping risk assessment considering inspection program."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2, No. 3, pp. 303-313. 

  11. Kwon, H.H., and Moon, Y.I. (2006). "Improvement of Overtopping Risk Evaluations Using Probabilistic Concepts for Existing Dam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Springer-Verlag, Vol. 20, No. 4, pp. 223-237. 

  12. Kwon, H.H., Moon, Y.I., and Khalil, A.F. (2007). "Nonparametric Monte Carlo Simulation for Flood Frequency Curve Derivation: An Application to a KOREAN Watershed." Journal of the American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No. 5, pp. 1316-1328. 

  13. Kwon, H.-H., Kim, J.-G., Lee, J.-S., and Na, B.-K. (2012). "Uncertainty Assessment of Single Event Rainfall-Runoff Model Using Bayesia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5, pp. 505-516. 

  14. Lee, J.Y., Lee, J.S., and Kim, K.Y. (2014). "Prediction of Loss of Life in Downstream due to Dam Break Flo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10, pp. 879-889. 

  15. Na, B.K., Kim, J.Y., Kwon, H.H., and Lim, J.Y. (2014). "Improvement of Hydrologic Dam Risk Analysis Model Considering Uncertainty of Hydrologic Analysis Proces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10, pp. 853-865. 

  16. Nelsen, R.B. (2006). "An Introduction to copulas." Springer, New York, pp. 109-155. 

  17. Pearl, J. (1988). "Probabilistic Reasoning in Intelligence Systems." Morgan Kaufmann, San Mateo, CA, 1988 

  18. Prendergast, J.D. (1979). "Probabilistic Concept for Gravity Dam Analysis." Special Rep, M-265, Construction Engineering Research Lab, U.S. Army Corps of Engineers, Champaign. 

  19. Sin, C.S., Ryu, G.J., Jo, K.S., and Bae, B.W. (2007). "Improve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Gideline for Existing Dam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10, pp. 44-52. 

  20. Sklar, K. (1959). "Fontions de reprartition a n dimensions et leurs marge." Publ. Inst. Statis. Univ. Paris 8, pp. 11. 

  21. Srivastava, A. (2008). "Generalized event tree algorithm and software for dam safety risk analysis." Utah State University. 

  22. Thompson, K.D., Stedinger, J.R., and Heath, D.C. (1997). "Evaluation and presentation of dam failure and flood ris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3. No. 4, pp. 216-2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