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Replacing Sucrose with Different Sugar Substan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5, 2014년, pp.888 - 896  

황은선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뉴안도티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28.4~29.5%)은 유사하였고, 올리고당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의 수분 함량(31.6~32.3%)은 높게 나타났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당의 종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고당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아로니아잼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한 당류의 종류와 관계없이 아로니아잼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미 및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이 비교적 높은 관능적인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리스리톨은 색, 맛, 질감, 향미,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잼을 제조할 때 자일리톨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당류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sugar substances (oligosaccharide, xylitol and erythritol) as alternative ingredients to sucros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were evaluated. The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did not influence the pH, total acidity and sugar contents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아로니아를 이용하여 건강 지향적인 저칼로리 잼을 제조할 목적으로 설탕 및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잼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관능적 특성과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저칼로리잼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잼이란? 잼은 과일을 으깨 펄프상태로 만든 과육질에 당, 유기산, 펙틴 등을 첨가하여 가열 농축하여 젤리화한 식품이다(Kim JU 1993). 대부분의 과일은 유기산과 펙틴을 함유하고 있으 므로 사과, 딸기, 유자, 블루베리, 머루 등의 과육에 50% 정도 의 당을 첨가하여 가열 농축하는 방법이 시판되는 잼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Kim 등 2006; Kim 등 2008; Cho 등 2010; Kim 등 2010; Kim 등 2013).
설탕 대체 감미료의 장점은? 최근 들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등에 대한 대체 감미료 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Lee & Kim 2004; Song 등 2004; Park MK 2007; Na 등 2012). 설탕 대체 감미료는 칼로리가 낮고, 소량으로도 설탕의 단맛을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나, 적용하는 식품에 따라서는 설탕에 비해 기호성이 떨어 질 수 있어 다양한 식품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Kim & Lee 2012).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올리고당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설탕 대체 감미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올리고당(oligo- saccharide)은 체내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아 칼로리가 낮으며, 체내에 유익한 비피더스균을 증가시켜 변비를 예방 한다(Modler 1994).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및 혈압을 낮추고, 칼슘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Kawaguchi 등 1993; Modler 등 1994). 최근 설탕대체 물질로 당알코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설탕과 비교하여 열량이 낮아 저열량 또는 무설탕 식품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Choi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ition. pp. 1017-1918.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Bridle P, Timberlake CF. 1997. Anthocyanins as natural food colors-selected aspects. Food Chem 58:103-109 

  3. Byun SH, Lee CH. 1997. Stud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rythritol, substitute su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089-1093 

  4. Byun SH, Lee CH. 1998. Dental caries suppression effect and other physiological properties of erythrit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46-449 

  5. Cheung LM, Cheung PC, Ooi VE. 2003.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81:249-255 

  6. Cho WJ, Song BS, Lee JY, Kim JK, Kim JH, Yoon YH, Choi JI, Kim GS, Lee JW. 2010. Composition analysi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manufacture of blueberry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19-323 

  7. Choi HS, Kim MK, Park HS, Shin DH.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itics of Bokbunja (Rubu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74-578 

  8. Choi IS, Mood YS, Kwak EJ. 2012. Composition of resveratrol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30:301-307 

  9. Choi YS, Kim HW, Hwang KE, Kim CJ, Lee HM, Kim OK, Choi KS. 2013. Effects of replacing sugar with xylitol and sorbitol on the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injeolmi. Korean J Food Cookery Sci 29:825-831 

  10. Chung YS, Kwak YH, Lee MN, Kim D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erythrit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606-1611 

  11. Cock P, Bechert CL. 2002. Erythritol: Functionality in noncaloric functional beverages. Pure Appl Chem 74:1281-1289 

  12. Girones-Vilaplana A, Valentao P, Andrade PB, Ferreres F, Moreno DA, Garcia-Viguera C. 2012. Phytochemical profile of a blend of black chokeberry and lemon juice with 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potential. Food Chem 134:2090-2096 

  13. Giusti MM, Wrolstad RE. 2001. Handbook of Food Analytical Chemistry. pp. 19-31. New Jersey: John Wiley & Sons 

  14. Goncalves NC, Cury AA, Simoes GS, Hara AT, Rosalen PL, Cury JA. 2006. Effect of xylitol:sorbitol on fluoride enamel demineralization reduction in situ. J Dent 34:662-667 

  15. Goossen J, Roeper H. 1996. Erythritol: a new sweetener. Confect Prod 62:44-47 

  16. Kawaguchi M, Tashiro Y, Adachi T, Tamura Z. 1993. Changes in intestinal condition, fecal microflora and composition of rectal gas after administr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lactulose at different doses. Bifidobacteria Microflora 12:57-67 

  17. Kim H, Kim J, Seok Y, Seo S, Kim S, Sung G. 2012. The effect of citric acid and enzyme inactivation treatment on C3G stabil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fruit jam. J Seric Entomol Sci 50:82-86 

  18. Kim JS, Kang EJ, Chang YE, Lee JH, Kim GC, Kim KM. 2013.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trawberry puree. Korean J Food Cookery Sci 29:726-731 

  19. Kim JU. 1993. Agricultural Food Processing (in Korean). Munundang, pp. 357-375 

  20. Kim JW, Lee GH, Hur JW.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on jam made with frozen citron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97-201 

  21. Kim M, Yoon S, Jung M, Choe E. 2008. Effects of sugars and pect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ugar wild vine (Vitis coignetiea) jam.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06-211 

  22. Kim MH, Kim MH, Yun S, Lee BY, Lee C, Kim BA, Jang KH, Lee JC, Surh J. 2012.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zation of apple jam with Rosa rugosa Thunb. frui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367-380 

  23. Kim MH, Son CW, Kim MY, Kim MR. 2008. Physicochemic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am prepared with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32-1639 

  24. Kulling SE, Rawel HM. 2008.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A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Planta Med 74:1625-1634 

  25. Lee KJ, Kim MR. 2004. Quality evaluation of pumpkin jam replaced sucrose with sugar alcohols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123-130 

  26. Modler HW, McKellar RC, Yaguchi M. 1990. Bifidobacteria and bifidogenic factors. Canadian Ins Food Sci Technol J 23: 29-41 

  27. Modler HW. 1994. Bifidogenic factors-sources, metabolism and applications. Int Dairy J 4:383-407 

  28. Na YM, Lee YJ, Chun S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jam add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227-232 

  29. Park M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ugar alcoh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9:44-49 

  3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31. Singleton VL,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 Enzymol 299:152-178 

  32. Slimestad R, Torskangerpoll K, Nateland HS, Johannessen T, Giske NH. 2005.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J Food Composit Anal 18:61-68 

  33.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279-286 

  34. Strigl AW, Leitner E, Pfannhauser W. 1995.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nthocyanins in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Michx Ell.) by TLC, HPLC, and UV/VIS-spectrometry. Zeitschrift fuer Lebensmittel-Untersuchung und-Forschung 91:177-180 

  35. Woisky R, Salatino A. 1998. Analysis of propolis: some parameters 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J Apicul Res 37:99-105 

  36. Wu X, Gu L, Prior RL, McKay S.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v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7846-78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