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 발달군 영아의 어머니와 일반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 비교연구: 한국 아동 패널 3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Comparative Research on Ego, Marriage and Parenting-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Normal Infants and Mothers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Risk: Focus on the 3rd Year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5, 2014년, pp.211 - 228  

유승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임지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김연하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 발달을 보이는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일반 영아 어머니의 특성과 비교 분석 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분석,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2010)자료의 총 표본 1802가구 중 한국형 Denver II 아동발달 검사결과 정상 범주로 구분된 1584명의 영아와 의심스런 발달로 구분된 186명의 영아의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결혼관련 심리적 특성 중 결혼 만족도와 남편의 양육참여,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 중 양육지식, 양육스타일, 양육스트레스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자아관련 심리적 특성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반 영아 어머니가 위험 발달군 영아 어머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육스트레스를 덜 갖고, 건강한 자아심리와 양육실제, 부부관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여 지며, 위험 발달 영아를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ego, marriage and parenting-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risk, as well a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ose of mothers of normal infants. For this purpose,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영아기에는 아동의 발달 변화의 속도가 개인마다 다르고 개인의 행동 양상이나 기능의 발달 속도가 각각 다른 것이 특징이므로 이 시기에 아동 위험발달의 조기 판단과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 및 선별검사를 통해 검사상 발달지연과 정상으로 진단된 영아들의 환경적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만을 살펴보겠다. 이를 위해 위험 발달을 보이는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을 일반 영아 어머니와 비교함으로써 위험 발달군 영아의 발달과 환경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위험 발달군 영아 어머니와 일반 영아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위험발달을 보이는 아동의 발달 및 중재를 위한 예방적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영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 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위험 발달군 영아 어머니와 일반 영아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위험발달을 보이는 아동의 발달 및 중재를 위한 예방적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영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 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아의 발달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어머니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형 DenverⅡ 발달검사를 통해 판명된 위험 발달군 영아의 어머니와 일반 영아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연령, 가계소득, 학력) 및 심리적 특성(우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남편의 양육참여, 양육지식, 양육스타일, 양육스트레스)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 부부관계의 질은 아동양육행동이나 부모자녀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침으로써, 아동의 애착행동이나 아동의 능력발달 수준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박성연, 199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남편의 양육참여도를 결혼관련 심리적 특성으로 규정하고 위험 발달군 영아를 둔 어머니와 일반 영아의 어머니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험 발달군 영아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들을 파악하고 이를 일반 영아 어머니의 특성과 비교·분석 하고자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 및 선별검사를 통해 검사상 발달지연과 정상으로 진단된 영아들의 환경적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만을 살펴보겠다. 이를 위해 위험 발달을 보이는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을 일반 영아 어머니와 비교함으로써 위험 발달군 영아의 발달과 환경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험 발달군 영아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들을 파악하고 이를 일반 영아 어머니의 특성과 비교·분석 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영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어머니를 위한 교육적 지원과 위험 발달을 보일 수 있는 영아의 조기 선별 및 중재를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바라는 결과를 얻기 위해 어떤 과제를 해낼 때 스스로 성공적 인 수행을 할 수 있다는 자기 신념이나 기대를 말하며(Bandura, 1997), 난관에 직면했을 때 저항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Lerner와 Galambos(1985)는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낮으면 자녀의 요구에 회피적인 반응이나 거부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녀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 었다고 보고하였다.
영아기에 장애아동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특히 아동 발달적 관점에서 출생부터 36개월 사이에 있는 영아기는 그 어느 때보다 발달속도가 빠르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기이다(유수옥, 2005). 이 시기에 선천적 요인이나 후천적 요인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지 못할 가능성을 가진 위험 발달 수준의 영아를 조기에 선별하여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발달지연이 가속화되어 이후 장애아동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장혜성, 서소정, 하지영, 2008). 
영아기의 특징은? 그러나 영아기에는 아동의 발달 변화의 속도가 개인마다 다르고 개인의 행동 양상이나 기능의 발달 속도가 각각 다른 것이 특징이므로 이 시기에 아동 위험발달의 조기 판단과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 및 선별검사를 통해 검사상 발달지연과 정상으로 진단된 영아들의 환경적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만을 살펴보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7)

  1. 강희경, 조복희 (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 41-55. 

  2. 김광웅, 이인수 (1998).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능력. 아동학회지, 19(2), 65-75. 

  3.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4. 김민정, 도현심 (2001).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149-166. 

  5. 김윤정 (1996). 자폐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활동 중심 집단 상담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설, 도남희 (2012). 가구소득에 따른 양육특성, 양육환경 및 아동발달의 관계: 한국아동패널연구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6, 73-88. 

  7. 김은지, 박성연 (2002). 아버지의 사회화신념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23(3), 187-203. 

  8. 김정란 (2004).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자녀학대 및 자녀의 우울.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38-690. 

  9. 김종훈, 이지영, 성지현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이 2세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의 매개적 역할. 한국아동학회지, 34(6), 77-96. 

  10. 김헤라, 김진경 (2012).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53-67. 

  11. 김현정 (2002). 어머니의 우울성향이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노명희, 이숙 (199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성취동기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9(4), 181-206. 

  13. 문경주, 오경자 (2002).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1(1), 29-43. 

  14. 문영경, 민현숙 (2010).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변인 연구. 제1회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139-155. 

  15. 박성연 (199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능력발달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61(2), 305-329. 

  16.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오진주, 하미나 (2002). 한국형 Denver II 검사. 서울: 현문사. 

  17. 엄경아 (1992). 아동의 성격 특성에 관한 일 연구: 형제수, 출생순위 및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와 관련시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오정순 (2012).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2(2), 51-65. 

  19. 오혜영 (1981). 성취결과에 대한 인과적 귀속과정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20. 우정희, 이미숙, 전춘애 (2003).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2), 91-101. 

  21. 유수옥 (2005). 유아특수교육론. 서울: 학지사. 

  22. 윤형주, 조복희 (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련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23. 이순복, 김문숙 (2011).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2), 171-186. 

  24. 이윤주 (2004).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부모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급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2), 435-449. 

  25. 임현주, 최항준, 최선녀 (2012).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부특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 양육특성에 미치는 변인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83-106. 

  26. 임현주, 최항준, 최선녀 (2012).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2), 91-108. 

  27. 임희수, 박성연 (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28. 장재홍, 김태성 (2002).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태도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0(2), 123-139. 

  29. 장혜성, 서소정, 하지영 (2008). 영아선별 교육진단검사. 서울: 학지사. 

  30. 정은희, 이미숙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 괴롭힘 가해 및 피해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115-126. 

  31. 정현숙 (2004). 결혼 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91-101. 

  32. 통계청 (2011). 주제별통계 복지-장애유형별 출현 통계. 국가통계포털. 

  33. 허보윤, 한경자 (200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 우울.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2(2), 131-146. 

  34. 홍성례 (1995). 30대 남편의 가족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황정해, 백경임 (2005).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남성의 부성경험에 관한 일 연구. 아동학회지, 26(3), 61-76. 

  36.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7.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38.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39. Belsky, J., & Isabella, R. A. (1985).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hange following the birth of a baby: A retrospective analysis. Child Development, 56(2), 342-349. 

  40. Bornstein, M. H. (1989). Between caretakers and their young: Two modes of interaction and their consequences for cognitive growth. In M. J. Bornstein & J. S. Bruner (Eds.), Interaction in human development: Behavioral and biological perspective (pp. 147-17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1.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42. Buehler, C., & Gerard, J. M. (2002). Marital conflict, ineff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and adolescents' mal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78-92. 

  43.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with korean couples 1. Psychological Reports, 95(3), 1015-1022. 

  44. Conrad, B., Gross, D., Fogg, L., & Ruchala, P. (1992). Maternal confidence, knowledge, and quality of mother-toddler interactions: A preliminary stud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3(4), 353-362. 

  45. Cr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46. Felker, D. W., & Stanwyck, D. J. (1971). General self-concept and specific self-evaluations after an academic task. Psychological Reports, 29(1), 60-62. 

  47. Frankel, K. A., & Bates, J. E. (1990). Mother-toddler problem-solving, antecedents in attachment, home behavior, and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1(3), 810-819. 

  48. Grych, J. H., & Fincham, F. D. (199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2), 267-290. 

  49. Hofferth, S. L., Davis-Kean, P., Davis. J., & Finkelstein, J. (1998). Child development supplement to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1997: User guide. http://www.isr.umich.edu/src/ childdevelopment/home.html에서 2006년 11월 11일에 출력. 

  50. Humphry, R., & Wakeford, L. (2006). An occupation-centered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3), 258-267. 

  51. Hunt, J. M., & Paraskevopoulos, J. (1980).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he inaccuracy of their mothers' knowledge of their abilitie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6(2), 285-298. 

  52. Jenkins, J. M., & Smith, M. A. (1990). Factors protecting children living in disharmonious homes: Maternal repor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9(1), 60-69. 

  53. Jenkins, J. M., & Smith, M. A. (1991). Marital disharmony and children's behaviour problems: aspects of a poor marriage that affect children adversel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2(5), 793-810. 

  54. Johnston, J. R., Gonzalez, R., & Campbell, L. E. (1987). Ongoing postdivorce conflict and child disturba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5(4), 493-509. 

  55. Kessler, R. C., Andrews,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 Normand, S. L., et al.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56. Kim, H. M., & Do, H.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279-298. 

  57. Kim, H. N., & Seo, S. J.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infan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307-329. 

  58. Kitzmann, K. M. (2000).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subsequent triadic family interactions and parenting. Development Psychology, 36(1), 3-13. 

  59. Klein, H. A., & Cordell, A. S. (1987). The adolescent as mother: Early risk identific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1), 47-58. 

  60. Landry, S. H., Smith, K. E., Swank, P. R., & Miller-Loncar, C. L. (2000). Early maternal and child influences on children's later independent cognitive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1(2), 358-375. 

  61. Lee, H. M. (2006).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ensitivity on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2. Lee, K. H. (2009).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on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63. Lerner, J. V., & Galambos, N. L. (1985). Mother role satisfac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temperament: A process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157-1164. 

  64. MacDonald, K., & Parke, R. D. (1984).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5(4), 1265-1277. 

  65. MacPhee, D. (1984). The pediatrician of as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9(1), 87-100. 

  66.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s & manual (2nd ed.). Unpublished manuscript, Colorado State University. 

  67. Mainieri, T. (2006).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 child development supplement: User guide for CDS-II. http://psidonline.isr.umich.edu/CDS/cdsii_UserGd.pdf에서 2007년 2월 11일에 출력. 

  68.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1994). Fighting for your marriag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69.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New and Revis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70.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285. 

  71. Parke, R. D. (2000). Father involvement: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 Marriage & Family Review, 29(2-3), 43-58. 

  72. Radke-Yarrow. M., Cummings, E. M., Kuczynski, L., & Chapman, M. (1985). Patterns of attachment in two-and three-year olds in normal families and families with parental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6(4), 884-893. 

  73. Rosenberg, M.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Revised Edition.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http://www.bsos.umd.edu/socy/research/rosenberg.htm에서 2006년 11월 11일에 출력. 

  74. Schumm, W., Nicols, C., Schectman, K., & Grigsby, C. (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s, 53(2), 567-572. 

  75. Stigler, J. W., Smith, S., & Mao, L. W. (1985). The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by chinese children. Child Development, 56(5), 1259-1270. 

  76. Welner, Z., Welner, A., McCrary, M. D., & Leonard, M. A. (1977). Psychopathology in children of inpatients with depression: A controlled stud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4(6), 408-413. 

  77. Yoon, H. J., & Cho, B. H. (2004). Maternal knowledge of child-rear home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5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