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6, 2016년, pp.103 - 121  

민미희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  김정민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s,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ers. For this purpose, we crea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부갈등은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부부갈등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하는 정교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부부갈등의 특성이 부모의 양육행동, 유아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에서 2012년에 수집한 만 4세 유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정적 부부관계,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유아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한국아동패널 데이터가 아동기를 포함하게 되면 후속연구에서는 유아 및 아동기를 거치면서 종단적으로 부모 및 가족관계 변인이 자녀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 2003), 가족 환경이 유아의 공격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장미연, 최미경,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안/우울, 공격행동을 중심으로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환경 변인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이들 변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려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변인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어머니가 인식하는 부정적 부부관계 및 양육스트레스가 유아행동문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부정적 부부관계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문제의 관계에서 양육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효과를 밝히기 위해〔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다양한 경로를 연구모형과 비교하기 위해서 직·간접 경로를 달리한 경쟁모형을〔그림 2〕와〔그림 3〕에서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에 주목하여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을 포함하는 부부관계,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부정적 부부관계,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표본크기에 민감하지 않고 간명성을 고려하며 적합도 지수의 기준이 확립된 RMSEA, TLI, CFI, SRMR을 통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Hu & Bentler, 1999).
  • 연구모형의 모형추정가능성과 부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추정가능성 확인절차(Kline, 2001)에 따라 최대우도측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절차에 의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부합도를 측정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잠재변수로 사용한 부부관계와 유아행동문제 지표들이 이론적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크기에 민감하지 않고 간명성을 고려하며 적합도 지수의 기준이 확립된 RMSEA, TLI, CFI, SRMR을 통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Hu & Bentler, 199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동문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유아기는 넓어진 인적 관계의 폭 만큼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시 갈등과 문제행동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시기이다(Lutz, Fantuzzo, & McDermott, 2002). 행동문제는 사회적 기대와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나타내거나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좋지 못한 행동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데(정문자, 김문정, 2004; Achenbach, 1991; Mash & Dozois, 1996), 불안, 우울, 위축 등의 내재화 행동문제와 공격성, 과잉행동 등의 외현화 행동문제로 구분된다(Achenbach, 1991; Achenbach & Rescorla, 2000). 유아기에 사회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잘 극복하지 못하고 행동문제로 발전하게 되면 발달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아동기 및 청소년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mond, Ormel, Veenstra, & Oldehikel, 2007; Mazza et al.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이 같은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아,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이후 많은 선행연구들(김염춘, 장영애, 2013; 김종훈, 이지영, 성지현, 2013;김현령, 류수민, 2015; 이인학 등, 2013; 이희정, 2015; 임선아, 임효진, 2015)에서는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을 보고하였는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이 같은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야기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부부관계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을 매개로 영유아의 문제행동이나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일은 궁극적으로 긍정적 양육행동을 지원하고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아기란 어떤 시기인가? 유아기는 넓어진 인적 관계의 폭 만큼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 시 갈등과 문제행동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시기이다(Lutz, Fantuzzo, & McDermott, 2002). 행동문제는 사회적 기대와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나타내거나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좋지 못한 행동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데(정문자, 김문정, 2004; Achenbach, 1991; Mash & Dozois, 1996), 불안, 우울, 위축 등의 내재화 행동문제와 공격성, 과잉행동 등의 외현화 행동문제로 구분된다(Achenbach, 1991; Achenbach & Rescorla,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7)

  1. 강은진, 이예진, 이정림 (2016).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8, 29-49. 

  2. 고윤희, 김숙령 (2013).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및 영유아 탄력성이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과 연령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2), 27-51. 

  3. 국선민 (2008). 부모의 양육스타일 및 결혼만족도가 자녀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정윤, 안혜준, 송승민, 권희경 (2013). 유아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5. 김경중, 이찬숙, 조은주 (2008). 유아 개인, 가정환경, 지역변인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2), 353-373. 

  6.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7. 김기현, 조복희 (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8. 김미성, 전귀연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1(12), 207-228. 

  9. 김염춘, 장영애 (2013).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4(1), 99-118. 

  10. 김정란 (2004).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자녀 학대 및 자녀 우울.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83-690. 

  11. 김종훈, 성지현 (2014).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 개인차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391-410. 

  12. 김종훈, 이지영, 성지현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이 2세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의 매개적 역할. 아동학회지, 34(6), 77-96. 

  13. 김지현, 박경자 (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아동학회지, 27(3), 149-168. 

  14. 김현령, 류수민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2), 193-209. 

  15. 도현심, 신나나, 박보경, 김민정, 김혜인 (2014).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5(4), 179-198. 

  16. 민하영 (2010). 어머니가 보고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행동조절 및 정서조절 관계에서 애정-거부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1-12. 

  17. 민하영 (2015).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부부갈등과 부부갈등에 대한 회피적 대처행동의 영향: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6(2), 131-143. 

  18. 민하영, 이영미 (2009). 어머니의 집단주의적 양육가치가 유아의 공격 및 불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가족과 문화, 21(4), 21-39. 

  19. 박경자, 권연희 (2002). 문제 해결을 위한 모-자 상호작용 시 어머니 행동과 관련된 변인: 결혼만족도, 자녀양육 스트레스, 애착 안정성. 아동학회지, 23(4), 53-70. 

  20. 박미진, 강지현 (2012). 유아의 기질, 부부갈등, 부모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8(4), 331-352. 

  21.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22. 송진숙 (2003).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및 부모의 양육태도. 한국영유아보육학, 35, 143-161. 

  23. 송진영, 김규수 (2012).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유아, 교사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345-365. 

  24. 신나나, 도현심, 최미경, 김미정 (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적 역할. 아동과 권리, 17(1), 109-135. 

  25. 연은모, 윤해옥, 최효식 (2016).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태도 간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1-28. 

  26. 예남희, 민하영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67-74. 

  27.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 서울: (주) 휴노컨설팅. 

  28. 옥경희, 천희영 (2012). 가구소득에 따른 부부관계와 자녀가치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33(1), 2015-221. 

  29. 윤혜미, 최문정 (2006). 어머니 우울과 부부갈등이 방임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7, 21-44. 

  30. 이경님 (2004). 한국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행동문제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63-73. 

  31. 이민식, 오경자 (2000).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4), 727-745. 

  32. 이인학, 최성열, 송희원 (201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 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2(1), 69-81. 

  33. 이희정 (2014). 저소득층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변인: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46, 115-141. 

  34. 이희정 (2015).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예측변인과 종단적 변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6(4), 209-227. 

  35. 임미지, 문혁준 (2014). 유아의 의도적 통제, 부부갈등,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문제행동. 인간발달연구, 21(1), 159-179. 

  36. 임선아, 임효진 (2015).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과 유아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90, 159-184. 

  37. 임정하, 윤정진 (2010). 부부갈등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인간발달연구, 17(1), 263-284. 

  38. 임현주 (2016).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변인 군집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차이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6(1), 37-55. 

  39. 장미연, 최미경 (2015). 부부갈등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동양육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3(5), 567-580. 

  40. 장성오, 김용미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발도르프교육연구, 3(1), 91-111. 

  41. 장영애, 이영자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183-205. 

  42. 장진아, 신희천 (2006).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569-592. 

  43. 장진영, 김진희, 김영희 (2011).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2(2), 79-107. 

  44. 정문자, 김문정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5), 11-27. 

  45. 정미경, 김영희 (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지, 41(8), 123-137. 

  46. 정옥분 (2013). 아동발달의 이해. 파주: 양서원. 

  47. 조미영, 정미경, 김영희 (2010).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 정서조절, 그리고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211-237. 

  48. 최혜리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홍세희 (2012, 12).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모형과 최신발전. 2012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50. 황성온 (2014). 어머니 결혼 특성, 심리적 특성, 양육스타일이 유아기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3), 355-378. 

  51.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52.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142. 

  53. Achenbach, T. M. (1991). Child behavior checklist/4-18.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54.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55.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56. Asuquo, P. N., & Maliki, A. E. (2007). Values orientation and marital conflict resolution: Implication for marriage counselling Stud. Tribes Tribals, 5(1), 59-63. 

  57.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58. Barnett, M. A., & Scaramella, L. V. (2013). Mothers' parenting and child sex differences in behavior problems among African American preschoole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7(5), 773-783. 

  59. Belsky, J., & Rovine, M. (1990). Pattern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1), 5-19. 

  60. Bornstein, M. H., Hahn, C. S., & Haynes, O. M. (2011). Maternal personality, parenting cognition, and parenting practices. Psychology, 47(3), 658-675. 

  61.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O. M., Painter, K., Galperin, C., et al.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62. Bradbury, T., Fincham, F., & Beach, S. (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ies, 62(4), 964-980. 

  63. Broidy, L. M., Nagin, D. S., Tremblay, R. E., Bates, J. E., Brame, B., & Dodge, K. A. (2003).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hood disruptive behaviors and adolescent deliquency: A six-site, cross-natio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9(2), 222-245. 

  64. Bugental, D. B., & Grusec, J. E. (2006). Socialization processes. In W. Damon, R.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pp. 366-428). NY: Wiley. 

  65. Calkins, S. D., Smith, C. L., Gill, K. L., & Johnson, M. C. (1998). Maternal interactive style across contexts: Relations to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gulation during toddlerhood. Social Development, 73(3), 350-369. 

  66. Campbell, S. B. (2000).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Clin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2nd ed.). NY: Guilford Press. 

  67. Chronis, A. M., Lahey, B. B., Pelham, W. E., Williams, S. H., Baumann, B. L., & Kipp, H. (2007). Maternal depression and early positive parenting predict future conduct problems in y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Developmental Psychology, 46(1), 70-82. 

  68.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3), 1015-1022. 

  69. Cui, M., & Conger, R. D. (2008). Parenting behavior as mediator and moderator of th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problems and adolescent maladjust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8(2), 261-284. 

  70. Cummings, E. M., & Davies, P. T. (2002).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 Recent advances and emerging themes in process-oriented research.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 43(3), 31-63. 

  71. Cummings, E. M., Davies, P. T., & Campbell, S. B. (2000).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nd family process: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NY: Guliford. 

  72. Davies, P. T., &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3), 387-411. 

  73.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i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3), 314-332. 

  74. Erel, O., & Burman, B. (1995). Interrelatedness of marit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8(1), 108-132. 

  75. Emond, A., Ormel, J., Veenstra, R., & Oldehikel, A. J. (2007). Preschool behavior and social-cognitive problem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disruptive behavior. Child Psychiatry of Human Behavior, 38(3), 221-236. 

  76. Essex, M. J., Klein, M. H., Cho, E., & Kraemer, H. C. (2003). Exposure to maternal depression and marital conflict: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later mental health symptom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2(6), 728-737. 

  77.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78. Grusec, J. E. (2011). Socialization processes in the family: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2(2), 43-69. 

  79. Grych, J. H., Seid, M., & Finchan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3), 558-572. 

  80. Grych, J., & Fincham, F. D. (199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2), 267-290. 

  81. Holtzworth-Munroe, A., Rehman, U., & Herron, K. (2000). General and spouse-specific anger and hostility in subtypes of martially violent men and nonviolent men. Behavior Therapy, 31(4), 603-630. 

  82. Hu, L. T., & Bentler, P.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83. Kaczynski, K. J., Lindahl, K. M., Malik, N. M., & Laurenceau, J. P. (2006). Marital conflict,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nd child adjustment: A test of mediation and modera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2), 199-208. 

  84. Katz, R. F., & Gottman, J. M. (1993). Patterns of marital conflict predict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29(6), 940-950. 

  85. Kishnakumar, A., & Buehler, C. (2000). Inter-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Family Relations, 49(1), 25-44. 

  86. Kitzmann, K. M. (2000).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subsequent triadic family interactions and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6(1), 3-13. 

  87. Kline, R. B. (200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Y: Guilford Press. 

  88. Kouros, C. D., Merrilees, C. E., & Cummings, E. M. (2008).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motional security in the context of parental depress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0(3), 684-697. 

  89. Lutz, M. N., Fantuzzo, J., & McDermott, P. (2002).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 adjustment problems of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3), 338-355. 

  90.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New & Revis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91. Martin, S. E., & Clements, M. L. (2002). Young children's responding to interparental conflict : Associations with marital aggression and child adjust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1(2), 231-244. 

  92. Mash, E. J., & Dozois, D. J. (1996). Child psychopathology: A developmental-systemic perspective. In E. J. Mash & R. A. Barkly (Eds.). Child psychopathology (pp. 3-62). NY: Guilford Press. 

  93. Mazza, J. J., Abbott, R. D., Fleming, C. B., Huarache, T. W., Cortes, R. C., Park, J., et al., (2008). Early predictors of adolescent depression: A 7-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10), 1-29. 

  94. Mulsow, M., Caldera, Y., Pursley, M., & Reifman, A.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d Family, 64(4), 944-956. 

  95. Volling, B. L., Blandon, A. Y., & Kolak, A. M. (2006). Marrige, parenting, and the emergence of early self-regulation in the family system.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5(4), 493-506. 

  96. Webster-Stratton, C., & Herbert, M. (1994). Troubled families-problem children: Working with parents: A collaborative process. Chichester, UK: Wiley. 

  97. Yu, T., Pettit, G. S., Lansford, J. e., Dodge, K. A., & Bates, J. E. (2010). The interactiv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divorce on parent-Adult children's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2), 282-2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