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례 운조루(雲鳥樓)의 건축적 특성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Unjoru House in Gury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5, 2014년, pp.83 - 91  

장선주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the problems, which existing letter-shape houses have, are solved in Unjoru which is one of the letter-shape houses. Furthermore, there is the secondary purpose which is to reali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Unjoru through the proc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설계적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운조루가 기존의 문자형태를 지닌 상류주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하며 당시 시대적 요구를 어떻게 수용하였는지를 파악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으며 더 나아가 실과 채의 구성에서 가구방식 및 지붕구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운조루가 지닌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이차적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례 운조루의 ‘占’자형의 평면형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첫째, 운조루의 ‘品’자형은 풍수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운조루는 외부공간의 모양을 문자화함으로써 기존의 풍수적 문자형태를 지닌 상류주택에서 나타나는 문제들 즉, 안마당의 협소함, 채광 및 쓰임의 문제 등을 해결하였으며, ‘ㄷ’자형 안채에 큰사랑채, 중간사랑채, 안사랑채 등을 전면부에 곁달음으로써 형성된 ‘占’자형 평면은 당시의 남녀별, 세대별 서열화 등의 시대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더 나아가 주요 실의 남향 배치와 개방적인 조망권 확보가 가능한 평면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운조루는 어떤 주택인가? 전남 구례군에 위치한 운조루는 18세기 살림집으로 ‘占’자형의 주건물을 행랑채와 담장으로 에워싸 ‘品’자형의 배치를 이루는1) 문자형(文字形) 주택에 속한다. 이는 중정을 중심으로 하는 ‘ㅁ’자형 주택이 확장된 것으로 기본적인 ‘ㅁ’자형 단위들이 ‘品’자형의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운조루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경향은 어떠한가? 운조루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첫째, 운조루의 가내에 소장되어 있는 중요 건축사료를 기초로 운조루의 창건배경 및 조영규모에 따른 조선조 후기 주택사적 특징을 고찰 한 것2), 둘째, 오미동가도(五美洞家圖)를 통해 관찰자의 시점과 시선 및 동선의 계시적(繼時的) 연속성 등 운조루의 공간구성을 고찰 한 것3), 셋째,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지리적, 자연환경적, 역사적 그리고 사회사상적인 배경의 차이가 영·호남 전통주택의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 것4) 등이 있다. 이 같은 운조루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주거사적 측면, 시지각적인 측면, 공간구문론의 측면에서 다루어진 경향이 있으며 배치, 평면 및 구조방식 등을 기본으로 한 설계적 측면에서 접근된 경우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광언(1998). 한국의 주거민속지. 서울: 민음사. 

  2. 김광현(1997). 오미동가도. 서울: (주)건축문화. 

  3. 국립민속박물관 전라남도(1988). 구례 운조루(민속박물관학술총서 4). 광주: 삼화문화사. 

  4. 국립목포대학박물관(1999). 구례군의 문화유적 전라남도 구례군. 목포: 국립목포대학. 

  5. 김왕직(2008). 구례 운조루의 창건과 변천에 관한 연구(자료). 건축역사연구, 17(4), 181-194. 

  6. 문화재청(2000). 안동 양진당 실측조사보고서(중요목조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제11호). 대전: 문화재청. 

  7. 문화재청(2001). 안동 충효당 실측조사보고서(중요목조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제23호). 대전: 문화재청. 

  8. 문화재청(2001). 관가정 실측보사보고서(중요목조문화재 실측 조사보고서 제21호). 대전: 문화재청. 

  9. 문화재청(2007). 구례운조루(중요민속자료 8호 한국의 전통 가옥 기록화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10. 문화재청(2008). 양동 서백당 기록화보고서(중요민속자료 제23 호 기록화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11. 박영순 외(1998). 우리 옛집이야기, 서울: 열화당. 

  12. 정인국(1997). 한국건축양식론. 서울: 일지사. 

  13. Ching, F.(1997). Architecture: Form.Space & Order. 황연숙(역). 건축의 형태공간.규범. 서울: 도서출판국제(원저 1979 출판), 299. 

  14. Chang, D. G. (2002). Decoding Korean Traditional Highclass Houses in Youngnam and Honam Regio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11), 125-132. 

  15. Choi, S. Y., Kim, K. H., & Hong, D. H. (2001).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Unjoru showed in The Family hereditary Drawing. Oh-Mi-Dong-Ga-Do.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11), 133-140. 

  16. Chong, S. H. (1987). Geomantic principles of site design in upper-class houses of Chos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Yonsei, Seoul, 30. 

  17. Jang, B. K., & Cho, S. K. (2001). A Study on the Meaning of Letter-Shaped House plan and the Housing principles of the Imchonggak in Ando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10(3), 26. 

  18. Kim, S. M., & Yoon, C. S. (2007).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Numaru built on the Upper-Class Houses in Chosun Dynasty: Focused on Youngnam Region.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1), 375. 

  19. Klaus-Peter Gast(1998). Louis I. Kahn The Idea of Oder. Boston: Birkhauser, 7. 

  20. Park, I. S. (1998). A Study on the History of House in Gurye: Mainiy the literature related to establishment and changes of the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2), 195-2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