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사회활동, 자아 효능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대전시 중구거주 노인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0, 2014년, pp.171 - 179  

전명수 (호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60세 이상 대전시 중구에 거주하는 노인들로부터 구조화된 39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신뢰성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사회활동은 교육문화활동, 사회단체활동, 그리고 가족공동체활동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참여빈도는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이 30%이고, 거의 참여하지 않음도 20%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시간은 한두 시간 정도가 40%로 나타나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활동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노년기의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ctivities,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394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elderly aged 60 plus who live in Joonggu, Dajeon City, and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바, 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다룬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그 영향변인으로 사회활동 유형 또는 활동기간이나 활동시간 등을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로 선택하고 있어 매우 단편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유형, 참여빈도, 참여시간 그리고 노인들의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을 그 영향변인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노인복지 정책에 대한 방향성과 개인의 사회활동참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 오늘의 노인문제를 소위 사고(四苦)라 하여 노인의 경제적 빈곤, 노인의 보건·의료문제, 노인의 무위(無爲)·무료(無聊), 그리고 노인의 사회적 소외를 들고 있는데, 이들 문제는 결국 노화에 따른 신체적 노쇠와 질병 그리고 사회생활로부터의 격리가 그 원인이라고 할수 있다. 이러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즉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지지한다[2].
사회적 활동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활동은 한 인간이 개인의 삶의 전 과정을 통해 자신의 행동반경을 가족이외의 다른 구성원들로 확산시키면서 자신의 관계망을 넓혀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면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몫을 담당하게 하는 것(Palmore)으로 간주될 수 있다[7]. 노년기의 사회활동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대외적인 관계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총칭하는 것으로 자신의 몸 관리와 집안일부터 이웃 방문, 종교 활동, 야외운동, 자원봉사나 경제적 활동에 참여 등 노인 자신의 생존과 독립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일컫는다.
노년기의 사회활동의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사회적 활동은 한 인간이 개인의 삶의 전 과정을 통해 자신의 행동반경을 가족이외의 다른 구성원들로 확산시키면서 자신의 관계망을 넓혀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면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몫을 담당하게 하는 것(Palmore)으로 간주될 수 있다[7]. 노년기의 사회활동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대외적인 관계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총칭하는 것으로 자신의 몸 관리와 집안일부터 이웃 방문, 종교 활동, 야외운동, 자원봉사나 경제적 활동에 참여 등 노인 자신의 생존과 독립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일컫는다. 특히 은퇴 후의 노인들은 자신의 역할을 매일 새롭게 하기 위한 노력으로 취미활동, 자기개발활동, 단체 활동, 종교 활동, 자원봉사 등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활동에 참여하기 때문에 노인들에게 있어서 사회활동은 그들의 생활 전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여가활동이 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정경희, "중.노년층의 삶의 질과 대응과제", 2014 년도 제 1차 인구포럼, 발표자료, 2014. 

  2. Mary Byrnes and Heather Dillaway, "Who is 'Successful' at aging- A critique of the literature and a call for more inclusive perspectives," Paper submission to the 2004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meetings in San Francisco, CA, 2004. 

  3. E. W. Burgess, "Social relations, activities, and personal adjust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59, pp.352-360, 1954. 

  4. B. W. Lemon, V. L. Begtston, and J. A. Peterson,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27, pp.51-523. 

  5. J. W. L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pp.433-440, 1997. 

  6. Verena H. Menec, "The relation between everyday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Vol.58B, No.2, pp.S74-S82, 2003. 

  7. E. B. Palmore, social pattern in normal aging, Durham, N. C. : duke University Press, 1981. 

  8.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22, pp.7-34, 2004. 

  9.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0. 윤순덕, 한경혜, "농촌 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55-77, 2004. 

  11. 장인협,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2. 김주현, 한경혜,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209-224, 2001. 

  13. 김영길, 노인의 종교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과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4. 유향숙, "종교활동 참여가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기독교인 중심으로," 한국상담치료학회지, Vol.3, No.1, pp.31-45, 2012, 

  15. 이진희, 김욱, "노인교육참여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28, No.4, pp.887-905, 2008. 

  16. 이종경, 이은주, "노인의 여가 스포츠활동 참가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Vol.34, No.3, pp.17-26, 2010, 

  17. 주경희,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성별과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pp.5-39, 2011. 

  18. 김미혜, 정진경,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54, pp.221-243, 2003 

  19. 현정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동향과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81-97, 1993. 

  20.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y, Vol.37, pp.122-147, 1982. 

  21. 추미애, 박아정,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 동기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아동교육, 제15권, 제2호, pp.271-288, 2006. 

  22. 구본용,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관계 에서 부모, 교사, 또래관계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347-373, 2012. 

  23. 황희숙, 주희진, "초등 영재아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연구, 제11권, 제4호, pp.525-545, 2011. 

  24.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and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134-143, 1961. 

  25. 남기빈,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 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25-348, 2011. 

  26. R. S. Weiss, "The provisions of social relationship," In Zick Rubin(Ed.), Doing unto other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 J, 1974. 

  27. 김수연, 도시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8. M. J. Mahony, "Psychological predictors of elite and non elite performance in olympic weightli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ychology, Vol.20, No.1, pp.1-12, 1988. 

  29. 서채원, 노인 생활채육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0. N. M. Bradbaum,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dine Pub Co. Chicao, IL. 1969. 

  31. 조민자, 노인 여가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