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환자 및 보호자의 폭력행위 예측요인
Predictors of Violent Behavior by Patient or Caregiver of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5, 2014년, pp.500 - 511  

박은영 (대동대학교 간호과) ,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violent behavior by patient or caregiver of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Subjects of the study were 447 residents who have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in community P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ast yea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응급실 폭력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응급실을 방문한 보호자에 대한 구체적인 구분을 하지 않고 환자의 가족, 친지 및 친구를 모두 보호자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보호자에 대한 구분을 구체적으로 하여 환자와의 관계 규명을 한 후 어떠한 관계에서 폭력행위를 더 많이 하는지 조사하였다. 환자와 친구 관계인 경우에 친구가 아닌 경우보다 폭력행위의 위험도가 6.
  •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의 폭력행위를 예측하기 위해 사회폭력의 영향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생태학적 통합체계로 분류한 Moser와 Shrader (1999)의 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방문경험이 있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폭력행위 예측요인을 개인적 요인, 개인 간 요인, 제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서 향후 응급실 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환자 및 보호자의 폭력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상관성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의 폭력행위를 예측하기 위해 사회폭력의 영향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생태학적 통합체계로 분류한 Moser와 Shrader (1999)의 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방문경험이 있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폭력행위 예측요인을 개인적 요인, 개인 간 요인, 제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서 향후 응급실 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에서의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폭력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의료서비스의 개념이 강조되면서 대상자의 요구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 바쁘고 혼잡한 응급실 상황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요구도는 충족되지 못하여 응급실에서의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폭력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응급실 폭력의 피해자는 주로 의사와 간호사이며, 의료인은 응급실에서 발생할수 있는 잠재적 폭력에 대해 많은 불안을 느끼게 된다(Sung, 2008).
폭력이란? 폭력은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에게 의도적으로 상처를 입히고 언어적, 신체적, 물리적으로 상해를 입히는 것이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실태에 관한 연구(Hong, 2009)에서 언어적인 폭력을 포함하여 1년 동안 한번이라도 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간호사는 97.
폭력행위를 당한 의료인들이 겪는 문제점은? 폭력상황의 경험으로 의료인들은 위기감, 심리적 위축, 두려움, 지속적인 위협감, 수치심을 느끼게 되고, 환자에 대한 적대감, 공포감 같은 심리적인 증상을 느끼게 되며, 신체적 증상으로는 두통과 수면장애 등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업무에 대한 사기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폭력에 대한 스트레스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잦은 부서이동이나 이직을 고려하기도 한다(Kim & Kim, 2004; Normandale & Davis,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atlette, M. A. (2005). Descrip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workplace violence and safety strategies of nurses working in level I trauma center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1 (6), 519-525. http://dx.doi.org/10.1016/j.jen.2005.07.008 

  2. Choi, W. J., Cho, S. H., Cho, N. S., & Kim, K. S. (2005).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 (2), 221-228. 

  3. Crilly, J., Chaboyer, W., & Creedy, D. (2004). Violence towards emergency department nurses by patient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2, 67-73. http://dx.doi.org/10.1016/j.aaen.2003.11.003 

  4. Gates, D. M., Ross, C. S., & McQueen, L. (2006). Violence against emergency department workers.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31, 331-337. http://dx.doi.org/10.1016/j.jemermed.2005.12.028 

  5. Hesketh, K. L., Duncan, S. M., Estabrooks, C. A., Reimer, M. A., Giovannetti, P., Hyndman, K., et al. (2003). Workplace violence in Alberta and British Columbia hospitals. Health Policy, 63, 311-321. http://dx.doi.org/10.1016/s0168-8510(02)00142-2 

  6. Hong, M. J. (2009). A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7. Jessica, G. S., Altair, J., Lara, B., Cathy, H., Linda, R., & Susan, M. (2009). Violence against nurses working in US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9 , 340-349.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ae97db 

  8. Jung, E. H. (2011).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related to violence in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Jung, H. S. (1998).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services in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0. Kim, G. H., Lee, S. D., & Choi, Y. S. (1999). Violence predictors in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6), 1305-1314. 

  11. Kim, J. C., Seol, Y. M., & Song, H. S. (2003). Survey of emergency department viol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4 (3), 309-313. 

  12. Kim, M. Y., Kim, S. H., & Lim, S. H. (2005). A study of workplace violence by nurses. Nursing Science, 17 (2), 33-44. 

  13. Kim, S. J., Jang, S. J., & Lee, H. S. (1992). Emergency department viol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3 (2), 67-74. 

  14. Kim, S. Y., Eom, M. R., Oh, H. Y., & Ahn, H. Y. (2007).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4), 446-456. 

  15. Kim, T. S., & Kim, J. I. (2004). Violence episodes and turnove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 (4), 427-436. 

  16. Kwon, H. J., Kim, H. S., Choi, K. S., Lee, K. S., & Sung, Y. H. (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2), 113-124. 

  17. Lau, J. B. C., & Magarey, J. (2006). Review of research methods used to investigate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4 , 111-116. http://dx.doi.org/10.1016/j.aaen.2006.02.003 

  18. May, D. D., & Grubbs, L. M. (2002). The extent, nature, and precipitating factors of nurse assault among three groups of registered nurses in a regional medical center. Th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8, 11-17. http://dx.doi.org/10.1067/men.2002.121835 

  19. Moser, C., & Shrader, E. (1999). A conceptual framework for violence reduction. Latin America and Caribbean region sustainable development working paper (No.2). Washington: The World Bank. 

  20. Normandale, S., & Davies, J. (2002). Bullying at work. Community Practitioner, 75 (12), 474-477. 

  21. Park, E. O., Kang, S. J., Lee, E. K., Ji, E. J., Kang, L. H., & Baek, C. H. (2001).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 (2), 187-201. 

  22. Park, E. Y., Seo, J. M., Ju, H. O., & Lee, E. N. (2007). The reac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o violence: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 762-771. 

  23. Park, J. K., You, Y. H., Park, J. S., Park, S. S., Chung, S. P., Kim, S. W., et al. (2004). Current status of violence in the emergency centers: Frequency and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5 (6), 575-579. 

  24. Sung, M. H. (2008).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2), 83-92. 

  25. Unal, A. (2005). Violence toward health care workers in emergency departments in west Turkey.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8, 361-365. http://dx.doi.org/10.1016/j.jemermed.2004.11.018 

  26. Winstanley, S., & Whittington, R. (2004). Aggression towards health care staff in a UK general hospital: Variation among professions and departm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3-1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4.00807.x 

  27. Yeon, S. J., Kim, W. B., Won, Y. S., Lee, K. Y., & Hong, Y. O. (2008). The structure and culture of violence in school sports, hospitals and workplaces of foreign employees. Series of Research of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1, 1-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