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내 1급 응급구조사의 폭력경험과 대처 및 반응
Violence experiences, coping, and response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2 no.2, 2018년, pp.51 - 65  

한승은 (아주대학교병원) ,  이경열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violence with patients or family members by paramedics working at emergency room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rom June 1 to 31, 2017 to 225 paramedics working at 27 emergency medical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급 응급구조사가 응급실 내에서 얼마나 많은 폭력에 노출되어있고, 어떻게 대처하고 반응하는지를 파악하여 추후 폭력으로부터의 예방과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 구는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 조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폭력의 가해자는 환자와 보호자로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1급 응급구조사가 응급실에 근무하던중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경험한 폭력과 폭력경험 이후의 반응을 알아보고, 대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가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경험한 폭력의 유형과 폭력 상황 시 대처방법, 폭력 경험 후의 반응을 파악하여 1급 응급구조사의 안전을 도모하고 응급실 내에서의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의 유형별 폭력경험을 파악하고 폭력상황 시 대처 방법과 폭력경험 후 반응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에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가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경험한 폭력의 유형, 폭력상황 시 대처방법, 폭력 경험 후의 반응을 파악하여 1급 응급구조사의 안전을 도모하고 응급실 내에서의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가해자별 폭력 유발원인을 고려한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급격한 사회의 발달과 식습관 및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심혈관·뇌혈관 질환과 산업재해, 교통 사고 등의 손상이 증가하고, 사회복지와 건강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응급실을 찾는 환자 수가 증가하고, 응급환자들의 종합 병원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비 응급환자의 증가 및 응급실에서의 체류시간의 증가 뿐 아니라 응급의료진이 부족해지면서 응급실 과밀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폭력의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폭력의 유형은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 성폭력으로 구분하여 총 26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중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에 관한 폭력유형 및 횟수에 관한 내용은 Son[15]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Yun[16]이 사용한 설문지를 Yang과 Jung[17]이 수정·보완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1급 응급구조사의 실정에 맞게 응급의료센터에 근무 중인 경력 2년 이상의 1급 응급구조사 3인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폭력의 횟수 문항 등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응급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각종 스트레스 상황과 폭력의 환경에 노출되는 이유는? 그에 따라 응급실을 찾는 환자 수가 증가하고, 응급환자들의 종합 병원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비 응급환자의 증가 및 응급실에서의 체류시간의 증가 뿐 아니라 응급의료진이 부족해지면서 응급실 과밀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응급실을 찾는 환자나 보호자들은 뜻하지 않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대부분 신경이 예민한 상태로 내원하며, 일부는 약물중독이나 술에 취한 상태로 내원하기도 한다[1]. 이러한 응급실의 특수성으로 인해 응급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은 각종 스트레스 상황과 폭력의 환경에 노출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SY, Um MR, Oh HY, An HY.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7;14(4):446-56. 

  2. Krug EG, Mercy JA, Dahlberg LL, Zwi AB. World report on violence and health. The Lancet 2002;360(9339):1083-8. 

  3. Bae YH. Relationship of hospital nurses violence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4, Seoul, Korea. 

  4. Shin MY. Viole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1, Seoul, Korea. 

  5. SBS news. Where will emergency room violence end?. Indiscriminate violence towards a full-term pregnant paramedic. 2017,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147660 

  6. Choi UJ, Joe SH, Joe NS, Kim GS.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5;16(2):221-8. 

  7. Park EY.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to violent situations in the emergency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2006, Busan, Korea. 

  8. Choi ES, Kim HJ, Joe WM, Kang DH. Current status of 119 EMT to violence experiences. J Emerg Med 2009;13(3):91-105. 

  9. Shin SY.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119 rescue party's experiences for violence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fiel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09;10(12):3870-8. 

  10. Kim JH, Um DC, Kim EA.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burn-out, and self-esteem of 119 rescu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11(11):4433-40. 

  11. Lee SH. A study on job stress of 119 members of emergency by patients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3, Daegu, Korea. 

  12.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rticle 36.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6452#0000 

  13. Kim MY, Ha TU, Hwang Y, Kang JS. Violence respons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violence episode of emergency room work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406-16. https://doi.org/10.5762/KAIS.2017.18.1.406 

  14. Hong MJ. A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2009, Daejeon, Korea. 

  15. Son M. Phenomenological study on patient and caregiver violence experienced by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997, Seoul, Korea. 

  16. Yun JS. A study of violence experience from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2004, Ulsan, Korea. 

  17. Yang JH, Jung HY.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1):103-11. 

  18. Park HJ, Kang HS, Kim KH, Kwon HJ.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al Health Nurs 2011;20(3):291 -301.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3.291 

  19. Lanza ML.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 Issue in Mental Health Nursing 1988;9(2):17-29. 

  20. Jang SJ.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experiences of patient violence in psychiatric war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Seoul, Korea. 

  21. Kim MY, Kim SH, Lim SH. A study of workplace violence by nurses. Health & Nursing 2005;17(2):33-44. 

  22. Kwon MH. Violence and its response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0, Seoul, Korea. 

  23. Kang SH. Workplace violence, respons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6, Seoul, Korea. 

  24. National Medical Center. Analysis of survey on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Korea.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