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병원 폭력 대처 유형: Q-방법론적 접근
Coping Styles toward Hospital Violence in Clinical Nurses: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3, 2013년, pp.263 - 274  

하은호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조진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linical nurses are at high risk of incurring hospital violence during their working life. Hospital violence and its outcomes have an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nurses as well as the quality of care delivered to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내 일개부서가 아닌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등 폭력의 주요 발생 지역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점, 기존의 언어, 신체적 폭력 등과 같은 부분적 주관성을 분석한 선행연구와 달리 폭력 대처에 대한 현실적인 주관적 견해를 유형별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간호사들의 과거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유형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폭력대처 유형의 변화를 도출한 부분도 본 연구의 의의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인의 내면에 산재된 주관성을 확인함으로써 감성적 접근으로 대상자를 간호하기에 적합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잠재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간호학에서 유용한 Q-방법론(Akhtar-Danesh, Baumann, & Cordingley, 2008)을 적용하였으나, Q-방법론의 소수의 비확률 표본으로 인한 제한점을 극복하지 못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와 상이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집단에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병원 폭력 대처에 대한 유형별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유형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병원 폭력 대처와 관련된 주관성을 파악한 후 유형화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병원 폭력에 대한 주관적 대처 양상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별 맞춤 전략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임상간호사의 병원 폭력 대처에 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유형의 특성을 규명하여 대처 유형에 따른 맞춤형 폭력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병원 폭력 대처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알아봄으로써 이를 토대로 각 유형에 맞는 맞춤형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폭력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간호사의 폭력 경험은 화남, 공포, 우울감, 흥분, 수면장애, 외상 후 증후군 등과 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병가와 소진으로 인한 업무생산성 감소, 이직률 증가 등은 간호인력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병원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Cho et al., 2011; Estryn-Behar et al.
병원 폭력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가? 병원 폭력은 언어적 ․ 신체적 폭력, 공격, 협박, 따돌림, 스토킹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Estryn-Behar et al., 2008).
외국의 병원 폭력 사례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 2008). 외국의 폭력 사례를 살펴보면 호주 퀸즈랜드 요양시설 간호사의 50%가 폭력을 경험하였고(Hegney, Plank, & Parker, 2003), 미국은 병원 간호사의 91%가 언어적 폭력을 경험하였으며(Sofield & Salmond, 2003), 태국의 경우 간호사가 환자 및 환자가족으로부터 가해를 당한 경우는 62%(Lin & Liu, 2005) 정도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임상간호사의 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khtar-Danesh, N., Baumann, A., & Cordingley, L. (2008). Qmethodology in nursing research: A promising method for the study of subjectivit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0 (6), 759-773. http://dx.doi.org/10.1177/0193945907312979 

  2. Antai-Otong, D. (2001).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A health promotion model for workplace violence.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37 (4), 125-132. http://dx.doi.org/10.1111/j.1744-6163.2001.tb00644.x 

  3. Arnetz, J. E., & Arnetz, B. B. (2001). Violence towards health care staff and possible effects on the quality of patient care. Social Science & Medicine, 52 (3), 417-427. http://dx.doi.org/10.1016/S0277-9536 (00)00146-5 

  4. Atawneh, F. A., Zahid, M. A., Al-Sahlawi, K. S., Shahid, A. A., & Al-Farrah, M. H. (2003). Violence against nurses in hospital: Prevalence and effect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2 (2), 102-107. 

  5. Chen, K. P., Ku, Y. C., & Yang, H. F. (2013). Violence in the nursing workplace -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in a public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 798-80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251.x 

  6. Cho, J. Y., Lee, Y. W., Kim, H. S., & Kim, S. H. (2011).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5), 494-502. 

  7. Cho, Y. H., Hong, Y. R., Lee, A. M., Kim, M. K., Lee, H, J., Han, A. K., et al. (2011).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3), 270-278.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3.270 

  8. Erickson, L., & Williams-Evans, S. A. (2000). Attitudes of emergency nurses regarding patient assault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6 (3), 210-215. http://dx.doi.org/10.1016/S0099-1767(00)90092-8 

  9. Estryn-Behar, M., van der Heijden, B., Camerino, D., Fry, C., Le Nezet, O., Conway, P. M., et al. (2008). Violence risks in nursing-results from the European 'NEXT' study, Occupational Medicine, 58 (2), 107-114. http://dx.doi.org/10.1093/occmed/kqm142 

  10. Fernandes, C. M., Raboud, J. M., Christenson, J. M., Bouthillette, F., Bullock, L., Ouellet, L., et al. (2002).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39 (1), 47-55. http://dx.doi.org/10.1067/mem.2002.121202 

  11. Gacki-Smith, J., Juarez, A. M., Boyett, L., Homeyer, C., Robinson, L., & MacLean, S. L. (2009). Violence against nurses working in US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9 (7-8), 340-349. 

  12. Hegney, D., Plank, A., & Parker, V. (2003). Workplace violence in nursing in Queensland, Australia: A self-report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9 (4), 261-268.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3.00431.x 

  13. Hegney, D., Tuckett, A., Parker, D., & Eley, R. M. (2010). Workplace violenc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ursing work between those exposed and those not exposed: A cross-sector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6 (2), 188-202.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10.01 829.x. 

  14. Hesketh, K. L., Duncan, S. M., Estabrooks, C. A., Reimer, M. A., Giovannetti, P., Hyndman, K., et al. (2003). Workplace violence in Alberta and British Columbia hospitals. Health Policy, 63 (3), 311-321. http://dx.doi.org/10.1016/S0168-8510(02)00142-2 

  15. Hills, D. (2008).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management training, perceived self-efficacy and rural general hospital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aggression. Contemporary Nurse, 31 (1), 20-31. http://dx.doi.org/10.5172/conu.673.31.1.20 

  16. Hoff, L. A., & Slatin, C. (2006). Workplace health and safety: Report of PHASE/MNA focus groups. Massachusetts Nurse, 77 (8), 6. 

  17. Kim, H. K.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Books. 

  18. Kim, H. S., Yim, H. W., Jeong, S. H., & Jo, S. J. (2009). An association among verbal abuse, social supports and turnover intention for special units nurses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 (4), 388-395. 

  19. Kim, M. Y., Kim, S. H., & Lim, S. H. (2005). A study of workplace violence by nurses. Nursing Science, 17 (2), 33-44. 

  20. Kim, T. S., & Kim, J. I. (2004). Violence episodes and turnover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0 (4), 427-436. 

  21. Kwon, H. J., Kim, H. S., Choe, K. S., Lee, K. S., & Sung, Y. H. (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2), 113-124. 

  22. Lin, Y. H., & Liu, H. (2005). The impact of workplace violence on nurses in South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 (7), 773-778. 

  23. Park, E. O., Kang, S. J., Lee, E. K., Ji, E. J., Kang, L. H., & Back, C. H. (2001).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 (2), 187-202. 

  24. Park, E. O., & Kim, J. H. (2011).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toward nurses in hospitals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2), 212-220.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212 

  25. Park, E. Y., Seo, J. M., Ju, H. O., & Lee, E. N. (2007). The Reac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o violence: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 762-771. 

  26. Park, H. J., Kang, H. S., Kim, K. H., & Kwon, H. J. (2011).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 (3), 291-301. 

  27. Shields, M., & Wilkins, K. (2009). Factors related to on-the-job abuse of nurses by patients. Health Reports, 20 (2), 7-19. 

  28. Smith, R., Dobbins, S., Evans, A., Balhotra, K., & Dicker, R. A. (2013). Hospital-based violence intervention: Risk reduction resources that are essential for success.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74 (4), 976-982. http://dx.doi.org/10.1097/TA.0b013e31828586c9 

  29. Sofield, L., & Salmond, S. W. (2003). Workplace violence. A focus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pedic Nursing, 22 (4), 274-283. 

  30.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04). Guidelines for preventing workplace violence for healthcare & social service workers. Retrieved December 24, 2012. from http://www.osha.gov/Publications/OSHA3148/osha3148.html#text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