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Breeding Migration of the Gori Salamander (Hynobius yangi) and Climate Factor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3, 2014년, pp.194 - 201  

김자경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박대식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헌주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정수민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김일훈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번식 시작 전 어느 기간의 어떠한 기후요소가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부산시 기장군 봉대산 일대에서 고리도롱뇽의 자연번식지와 인접한 대체번식지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의 번식기 동안 날짜에 따라 번식지에 출현한 개체들을 기록한 개체군 모니터링 자료와 조사지로부터 약 25 km 떨어진 기상대에서 획득한 기후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번식 시작 전 약 1달 동안의 평균기온 및 평균최저기온은 대체번식지 내 암컷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번식 전 2~4달 동안의 겨울철 평균일교차와 평균강수량은 각각 자연번식지의 수컷과 자연번식지와 대체번식지의 암컷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쳤다. 번식이주 시기와 기후 요소와의 관련성은 수컷보다 암컷에서, 자연번식지에서보다는 대체번식지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년도에 걸친 단순한 평균온도의 상승보다는 겨울철을 포함하는 기간 동안의 평균강수량과 평균일교차의 변동이 유미양서류 번식이주 시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더불어 암컷의 번식이주 시기가 수컷에 비하여 기후요소에 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며, 특별히 이주된 유미양서류의 개체군들에서 이주시기는 기후요소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lucidate which climate factors and what periods affect the time of breeding migration of Gori salamanders (Hynobius yangi), we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5-years breeding monitoring data from 2006 to 2010 which had obtained in both natural and translocated breeding sites at B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번식 시작 전 어느 시기의 어떠한 기후요소가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대체번식지와 자연번식지 두 곳에서 5년간의 고리도롱뇽 모니터링 자료와 기후요소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번식지 출현이 부분적으로 번식 시작 이전 20~45일 동안의 기후요소에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주로 겨울을 포함하는 번식 시작 이전 65~120일 동안의 기후조건이 주요하게 봄철 번식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고리도롱뇽을 이주시킨 대체번식지와 이에 인접한 자연번식지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의 번식기 동안 날짜에 따라 출현한 개체들의 수를 조사한 개체군 모니터링 자료와 조사지로부터 약 25 km 떨어진 부산 기상대에서 획득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번식 시작 전 어느 시기에 어떠한 기후요소가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첫 번째 도롱뇽이 출현한 날과 번식기 동안 번식지에 출현한 전체 개체수의 30%가 도달한 날을 각각 365일 단위로 일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식이주의 시작에 미치는 기후요소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번식 시작일과 30% 도달 일의 두 변수와 기후요소와의 관련성만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리도롱뇽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은 2003년 등재된 한국고유종으로, 현재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을 중심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남 양산시, 부산광역시를 비롯한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Kim et al., 2003).
양서류의 번식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 2006). 양서류의 번식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들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여전히 논쟁으로 남아 있지만(Reading, 1998; Hartel, 2008), 다양한 요인들 중 온도와 강수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rnfield et al., 2012).
양서류의 번식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 2012). 비록 이러한 최근의 기후변동이 양서류의 번식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기후 요소와 양서류 번식이주 시기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aujo, M.B., W. Thuiller and R.G. Pearson. 2006. Climate warming and the decline of amphibians and reptiles in Europe. Journal of Biogeography 33(10): 1712-1728. 

  2. Arnfield, H., R. Grant, C. Monk and T. Uller.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timing of spring migration in common toads (Bufo bufo). Journal of Zoology 288(2): 112-118. 

  3. Beebee, T.J.C. 1995. Amphibian breeding and climate. Nature 374: 219-220. 

  4. Bodinof, C.M., J.T. Briggler, R.E. Junge, J. Berninger, M.D. Wanner, C.D. Schuette, J. Ettling and J.J. Millspaugh. 2012a. Habitat attributes associated with short-term settlement of Ozark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bishopi) salamanders following translocation to the wild. Freshwater Biology 57(1): 178-192. 

  5. Bodinof, C.M., J.T. Briggler, R.E. Junge, T. Mong, J., Beringer, M.D. Wanner, C.D. Schuette, J. Ettling and J.J. Millspaugh. 2012b. Survival and body condition of captive-reared juvenile Ozark hellbenders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bishopi) following translocation to the wild. Copeia 2012(1): 150-159. 

  6. Brenner, F.J. 1969. The role of temperature and fat deposition in hibernation and reproduction in two species of frogs. Herpetologica 25(2): 105-113. 

  7. Caldwell, J.P. 1987. Demography and life history of two species of chorus frog (Anura: Hylidae) in South Carolina. Copeia 1987(1): 114-127. 

  8. Carey, C. and M.A. Alexander. 2003. Climate change and amphibian declines: is there a link? Diversity and Distributions 9(2): 111-121. 

  9. Dodd, C.K. Jr and R.A. Seigel. 1991. Relocation, repatriation, and translocation of amphibians and reptiles: are they conservation strategies that work? Herpetologica 47(3): 336-350. 

  10. Harte, J., A. Ostling, J.L. Green and A. Kinzig. 2004. Climate change and extinction risk. Nature 427: 145-148. 

  11. Hartel, T. 2008. Weather conditions, breeding data and population fluctuation in Rana dalmatina from central Romania. Journal of Herpetology 18(1): 40-44. 

  12. Hasumi, M. 1996. Seasonal fluctuations of female reproductive organs in the salamander Hynobius nigrescens. Herpetologica 52(4): 598-605. 

  13. Hurlbert, S.H. 1969. The breeding migrations and interhabitat wandering of the vermilion-spotted newt Notophthalmus viridescens. Ecological Monograph 39(4): 465-488. 

  14.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p. 996. 

  15. Johnson, D.C., C.T. Burt, W.C. Perng and B.M. Hitzig. 1993. Effects of temperature on muscle pHi and phosphate metabolism in newts and lungless salamander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65: R1162-R1167. 

  16. Kim, J.B., M.S. Min and M. Matsui. 2003. A new species of lentic breeding Korean salamander of the genus Hynobius (Amphibia, Urodela). Zoological Science 20(9): 1163-1169. 

  17. Kusano, T. and M. Inoue. 2008. Long-term trends toward earlier breeding of Japanese amphibians. Journal of Herpetology 42(4): 608-614. 

  18. Lee, J.H., T.H. Kim, H.J. Baek, M.S. Min, D. Park and J.K. Kim. 2010. Monitoring of the relocated population of Hynobius yangi over five years.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2: 35-44. 

  19. McCain, C. and R.K. Colwell. 2011. Assessing the threat to montane biodiversity from discordant shift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a changing climate. Ecology Letters 14(12): 1236-1245. 

  20. Miwa, T. 2007. Conditions controlling the onset of breeding migration of the Japanese mountain stream frog, Rana sakuraii. Naturwissenschaften 94(7): 551-560. 

  21. Park, H.W. 2010. Mating Behavior of Hynobius yangi: A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Different Male Size.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2. Parmesan, C. and G. Yohe. 2003. A globally coherent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impacts across natural system. Nature 421: 37-42. 

  23. Preacher, K.J. 2001. Calculation for the chi-square test: An interactive calculation tool for chi-square tests of goodness of fit and independence [Computer software]. Available from http://quantpsy.org. 

  24. Reading, C.J. 1998. The effect of winter temperatures on the timing of breeding activity in the common toad Bufo bufo. Oecologia 117(4): 469-475. 

  25. Semlitsch, R.D. 1985.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influencing migrations of the salamander Ambystoma talpoideum. Copeia 1985(2): 477-489. 

  26. Sexton, O.J., C. Phillips and J.E. Bramble. 1990.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the breeding migration of the Spotted salamander (Ambystoma maculatum). Copeia 1990(3): 781-787. 

  27. Sung, H.C., J.H. Lee and D. Park. 2005. Entering and exiting routes of Hynobius leechii to a breeding site and staying time within the site. Korean Journal of Ecology 28(5): 237-243. 

  28. Todd, B.D. and C.T. Winne. 2006. Ontogenetic and interspecific variation in timing of movement and responses to climatic factors during migrations by pond-breeding amphibians. Canadian Journal of Zoology 84(5): 715-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