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악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과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Flavonoid Profiles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Seorak, Korea: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10 = no.174, 2014년, pp.1092 - 1101  

박진희 (경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설악산 지역을 중심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중부지방인 설악산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남부지방인 지리산에서와는 차이가 난다. 설악산의 경우, 해발 100 m 이상 거의 전 고도에서 신갈나무가 나타나나 졸참나무는 해발 500 m 이상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며 500 m 이하에서 신갈나무와 혼생한다. 지리산의 경우, 졸참나무의 수직 분포 범위는 해발 0-1,200 m로 설악산에 비해 훨씬 넓으며, 신갈나무는 높은 해발고도에서는 순림을 이루지만 해발 1,000 m 이하에서는 고도가 낮아질수록 빈도가 낮아지고 해발 300 m 이하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신갈나무는 높은 고도에서, 졸참나무는 낮은 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설악산 지역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32개체와 지리산 고지대 및 저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각 1개체 등 총 34개체를 대상으로 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들로부터 총 24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모두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이 중 5개는 acylated flavonoid compound이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나타나고,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는 특징을 가진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고 또한 이들 compound가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두 종간에는 이러한 정량 정성적인 플라보노이드 조성 차이와 함께 소량으로 분포하는 몇몇 compound들에 있어서 정성적인 차이도 나타나 두 종은 플라보노이드 조성에 있어 뚜렷이 구분된다. 한편, 두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 개체들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대체로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Quercus mongolica and Q. serrata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the possibility of introgressive hybridization and gene flow between Q. mongolica and Q. serrata in Mt. Seorak was inferred by flavonoid analyse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vertica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에 분포하는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개체들을 대상으로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 두 종간에 다양한 형태의 중간형이 보고되어 잡종화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두 종 간의 잡종화에 의한 교잡이입 가능성을 고도에 따른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 변이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주 대상인 설악산 지역의 고도 별로 분포하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2종 32개체 및 두 종의 지역간 플라보노이드 조성 변이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 남부지방인 지리산의 고지대 신갈나무 및 저지대 졸참나무 각 1개체 등 총 34개체에 대해 그 flavonoid 조성을 two-Dimentional Thin Layer Chromatography (2-D TLC)와 paper Chromatography (1-D P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Fig. 1). 이들 개체 중 2종에 속하는 2개체의 재료는 flavonoid의 구조 동정을 위해 사용하였으며(full analysis), 나머지 개체들은 2-D TLC와 HPLC profile을 사용하여 그 flavonoid 조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나무속은 어떤 특징에 의해, 과내 다른 속 식물들과 구분되나? )은 너도밤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상록성 또는 낙엽성의 교목 및 관목으로 북반구 온대지역을 중심으로 약 450종이 널리 분포한다[12, 19, 30, 39]. 본 속 식물은 엽액에 달리면서 늘어지는 미상화서인 웅화서, 반구형인 각두, 횡단면이 원형이며 각두 당 1개인 견과 등의 특징에 의해 과내 다른 속 식물들과 구분된다[3, 12, 13, 19, 33, 35, 38, 44].
참나무속의 교잡이입으로 인한 문제는? 참나무속에 있어 이런 잡종화 현상은 본 속 종들이 x=12, 2n=24로 모두 동일한 염색체수를 가져 핵형적인 장벽이 없으며, 이들의 개화기가 비슷하고, 풍매화인 점 등에 의해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20, 21, 23]. 참나무속은 잡종개체들과 그 부모종 개체들간에도 교잡이 일어나며, 이러한 교잡이입(introgressive hybridization)으로 인해 각 분류군의 변이의 폭 및 잡종분류군의 인식에 있어 많은 혼란과 어려움이 있어 왔다[11, 22, 23, 40].
참나무속이란? 참나무속(Quercus L.)은 너도밤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상록성 또는 낙엽성의 교목 및 관목으로 북반구 온대지역을 중심으로 약 450종이 널리 분포한다[12, 19, 30, 39]. 본 속 식물은 엽액에 달리면서 늘어지는 미상화서인 웅화서, 반구형인 각두, 횡단면이 원형이며 각두 당 1개인 견과 등의 특징에 의해 과내 다른 속 식물들과 구분된다[3, 12, 13, 19, 33, 35, 38, 4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lston, R. E. and Turner, B. L. 1963. Natural hybridization among four species of Baptisia (Leguminosae). Am J Bot 50, 159-173. 

  2. Bacilieri, R., Ducousso, A., Petit, R. J. and Kremer, A. 1996. Mating system and asymmetric hybridization in a mixed stand of European oaks. Evolution 50, 900-908. 

  3. Camus, A. 1936-1954. Les chenes. Monographie du genre Quercus (et Lithocarpus). Encyclopedie Economique de Sylviculture. Vols. 6-8, Paul Lechevalier: Paris. (in French). 

  4. Chang, C. S. 2007. Fagaceae, pp. 268-274. In: Park, C.-W. (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 Seoul. 

  5. Chang, J. S. and Lee, T. 1984. A biosystematic study on natural populations of Quercus mongolica Fisch. in Korea and Japan. Korean J Pl Taxon 14, 71-85. 

  6. Chung, T. H. 1957. Korean Flora, Vol. 1. Woody Plants, pp. 87-106, Sinjisa: Seoul. (in Korean). 

  7. Chybicki, I. J. and Burczyk, J. 2010. Realized gene flow within mixed stands of Quercus robur L. and Q. petraea (Matt.) L. revealed at the stage of naturally established seedling. Mol Ecol 19, 2137-2151. 

  8. Ducousso, A., Michaud, H. and Lumaret, R. 1993. Reproduction and gene flow in the genus Quercus L. Ann For Sci 50, 91-106. 

  9. Gornall, R. J. and Bohm, B. A. 1978. Angiosperm flavonoid evolution: A reappraisal. Syst Bot 3, 353-368. 

  10. Grant, V. 1981. Plant Speciation, Ed. 2., Columbia Univ. Press:New York. 

  11. Hardin, J. W. 1975. Hybridization and introgression in Quercus alba. J Arnold Arbor 56, 336-363. 

  12. Huang, C., Zhang, Y. and Bartholomew, B. 1999. Fagaceae, pp. 314-400. In: Wu, Z. Y. and Raven, P. H. (eds.), Flora of China, Vol. 4. Cycadaceae through Fagaceae.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13. Hutchinson, J. 1967. The genera of flowering plants, vol. 2, pp. 126-132, Clarendon press: Oxford. 

  14. Ishida, T., Hattori, K., Sato, H. and Kimura, M. 2003. Differentiation and hybridization between Quercus crispula and Q. dentata (Fagaceae): insights from morphological traits,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and leafminer composition. Amer J Bot 90(5), 769-776. 

  15. Isobe, T., Ito, N. and Noda, Y. 1980. Minor flavonoids of Polygonum nodosum. Phytochemistry 19, 1987. 

  16.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enna, Vienna. (in English with Korean, Japanese, Chinese, and German summary). 

  17. Kim, M. H., Park, J. H. and Park, C. W. 2000. Flavonoid chemistry of Fallopia sect. Fallopia (Polygonaceae). Biochem Syst Ecol 28, 433-441. 

  18. Kim, Y. H. 2013.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seven summer-green Quercus species in Korea. M.S. Thesis, Keimyung Univ., Daegu, Korea. (in Korean). 

  19. Kubitzki, K. 1993. Fagaceae, pp. 301-309. In: Kubitzki, K., Rohwer, J. G. and Bittrich, V. (eds.),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II.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Mongoliid, Hamamelid and Caryophyllid familie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y. 

  20. Lee, J. H. and Hashizume, H. 2004. Currence of trees of the Quercus fabri type in open-pollinated families of Quercus dentata. J Korean Forest Soc 93, 471-476. 

  21. Lee, T. B. 1956. Chromosome numbers in Quercus. Commemoration Theses, Fiftieth Anniversar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l Univ 35-41. 

  22. Lee, T. B. 1961a. Phylogenetic study of the subgenus Lepidobalanus of the genus Quercus in Korea (1). Res Bull Korean Agr Soc 7, 87-108. 

  23. Lee, T. B. 1961b. Phylogenetic study of the subgenus Lepidobalanus of the genus Quercus in Korea (2). Seoul Univ J Biol Ser 10, 97-141. 

  24. Lee, T. B. 1961c. Triple hybrid of the oak in Korea. Korean J Bot 4, 16-20. 

  25. Lee, T. B. 1964. Trichome types of Q. acutissima x Q. variabilis Nakai. J Suwon For Soc 5, 12-14. 

  26.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pp. 274-280, Hyangmunsa:Seoul. 

  27.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Vol. 1, pp. 172-181, Academy Publishing Co.: Seoul. 

  28. Lee, Y. N. 1996. Flora of Korea, pp. 66-70, Kyohak Publishing Co.: Seoul. 

  29. Levy, M. and Levin, D. A. 1971. The origin of novel flavonoids in Phlox allotetraploids. Proc Natl Acad Sci USA 68, 1627-1630. 

  30. Mabberley, D. J. 1987. The plant book, Cambridge Univ. Press:Cambridge. 

  31. Mabry, T. J., Markham, K. R. and Thomas, M. B. 1970.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Springer-Verlag: New York. 

  32. MacDougal, D. T. 1907. Hybridization of wild plants. Bot Gaz 43, 45-58. 

  33. Maleev, V. P. 1985. Genus 367. Quercus L., pp. 254-279. In: Komarov, V. L. (ed.), Flora of the U.S.S.R. Vol. 5. Koeltz Scientific Books: Koenigstein, Germany. 

  34. Markham, K. R. 1982. Techniques of Flavonoid Identification, Academic Press: New York. 

  35. Melchior, H. 1964. Reihe Fagales, pp. 44-51. In: Melchior, H. (ed.),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vol. 2. Angiospermen, 12th ed.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n German). 

  36. Mun, J. H. and Park, C. -W. 1995. Flavonoid chemistry of Polygonum sect. Tovara (Polygonaceae): A systematic survey. Pl Syst Evol 196, 153-159. 

  37. Nakai, T. 1926.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Coreae. 31. Bot Mag (Tokyo) 40, 161-171. 

  38. Nixon, K. C. 1993.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Quercus (Fagaceae) and typification of sectional names. Ann For Sci 50, 25-34. 

  39. Nixon, K. C. 1997. Fagaceae, pp. 436-506.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Flora of North America, Vol. 3. Magnoliophyta: Magnoliidae and Hamamelidae. Oxford Univ. Press: New York. 

  40. Palmer, E. J. 1948. Hybrid oaks of North America. J Arnold Arbor 29, 1-48. 

  41. Park, C. -W. 1987. Flavonoid chemistry of Polygonum sect. Echinocaulon: A systematic survey. Syst Bot 12, 167-179. 

  42. Park, J. H. 2009. A systematic study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Analyses of morphological variation and flavonoid chemistr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3. Park, J. H., Chung, M. G., Sun, B. Y., Kim, K. J., Pak, J. H. and Park, C. -W. 2005. Numerical analysis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5, 57-80. 

  44. Prantl, K. 1889. Fagaceae, pp. 47-58. In: Engler, A and Prantl, K. (eds.), Die naturlichen Pflanzenfamilien nebst ihren Gattungen und wichtigeren Arten insbesondere den Nutzpflanzen, bearbeitet unter Mitwirkung zahlreicher hervorragender Fachge lehrten, III. Teil. 1. Abteilung. Verlag von Wilhelm Engelmann: Leipzig. (in German). 

  45. Schneider, C. K. 1906. Illustriertes handbuch der Laubholzkunde, pp. 161-211, Verlag von Gustav Fischer: Jena, Germany. (in German). 

  46. Swain, T. 1975. Evolution of flavonoid compounds, pp. 1096-1129. In: Harborne, J. B., Mabry, T. J. and Mabry, H. (eds.), The Flavonoids Part 2. Academic Press: New York. 

  47. Trelease, W. 1917. Naming American hybrid oaks. Proc Am Philos Soc 56, 44-52. 

  48. Uyeki, H. 1932. Cupuliferae novae Koreanae. Acta Phytotax Geobot 1, 253-257. 

  49. Whittemore, A. T., and Schaal, B. A. 1991. Interspecific gene flow in sympatric oaks. Proc Natl Acad Sci USA 88, 2540-2544. 

  50. Wyatt, R. and Hunt, D. M. 1991. Hybridization in North American Asclepias. II. Flavonoid evidence. Syst Bot 16, 132-1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