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NSS 정지측량을 통한 표고 산출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Orthometric Heights Based on GNSS Static Survey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2 no.5, 2014년, pp.527 - 537  

신광수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  한중희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  권재현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합성 지오이드 모델 KNGeoid13(Korean National Geoid Model 2013)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GNSS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높이측량을 적용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NSS 정지측량 및 KNGeoid13을 이용하여 지역적인 수직기준과 부합하는 GNSS 기반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기지점의 타원체고 성과를 직접수준측량 성과와 모델 지오이드고를 더하여 계산된 보정타원체고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정타원체고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약 3cm 수준의 편의가 나타나는 반면 보정타원체고를 이용하면, 오차의 평균이 0.5cm 이하로 지역적인 편의가 제거되었다. GNSS 기반 표고의 정밀도를 관측시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 1일 4시간씩 2일간 관측할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의 95%가 4cm 미만의 오차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일 4시간 및 2시간 관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5cm 이하의 오차를 보였다. 30분 관측하여 모호수가 고정될 경우, 전체 데이터의 95%가 10cm 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표고를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측량에 GNSS 높이측량 도입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3,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developed and provided the KNGeoid13(Korean National Geoid Model 2013) to support the fundamental computation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In this study, the adjusted ellipsoidal height, the sum of geoidal height and height by th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cm 수준이다 (IGS, 2009). GNSS 데이터 처리 시에 어떤 위성궤도력을 이용 하는지에 따라 계산되는 위성의 위치 오차가 달라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궤도력 종류에 따른 타원체고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성궤도력에 따른 타원체고 정확도 분석은 “3.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NGeoid13과 GNSS 정지측량을 통해 신뢰성 있는 GNSS 기반 표고를 산출하기 위해 타원체고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여 안정적인 타원체고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과 지오이드 모델의 기준면과 지역적인 수직기준면 간에 편의를 제거하기 위해 보정타원체고를 이용하는 한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성과 차이를 직접수준측량 성과와 비교함으로서 GNSS 기반 표고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GNSS 기반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관측시간, 위성궤도력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타원 체고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타원체고를 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을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취득한 GNSS 정지측량 데이터와 국토지리정 보원의 최신 합성 지오이드 모델인 KNGeoid13을 이용하였을 때 관측시간에 따라 산출 가능한 GNSS 기반 표고 정확 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NSS 기반 표고를 계산 시 주의할 점은? 이상의 연구에서 GNSS 기반 표고를 계산하였을 때 약 3cm 수준의 편의가 있다고 평가된 이유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 모두 단순히 타원체고와 지오이드고를 감하여 GNSS 기반 표고를 계산하였기 때문이다. 즉, 지오이드모델의 기준면과 지역적인 수직기준면 간에 편의가 보정되지 않아 GNSS 기반 표고에 반영되기 때문에 편의가 있는 표고가 결정되는 것이므로 실제 우리나라 수직기준체계와 부합되 는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인 보정을 수행하는 부분이 추가되어야 한다.
표고란? 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하는 표고는 국토개발 및 관리를 위한 기반자료인 만큼 각 국가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수준점을 설치하여 표고 성과를 제공하고 있다. 한 지점의 표고를 산출하기 위해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높이측량에는 직접수준측량이 있으며, 수준점에서부터 레벨기를 통해 표척의 눈금을 읽고, 고저차를 계산하여 측점의 표고를 결정한다.
직접수준측량의 단점은? 한 지점의 표고를 산출하기 위해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높이측량에는 직접수준측량이 있으며, 수준점에서부터 레벨기를 통해 표척의 눈금을 읽고, 고저차를 계산하여 측점의 표고를 결정한다. 그러나 직접수준측량의 경우 기준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누적된 측정 오차로 인하여 결정된 표고의 정확도는 저하되며, 동시에 측량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등 다양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위성의 개발 및 운영, 측위 기술의 발달로 타원체고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면서 GNSS 측량과 합성 지오이드 모델을 이용하여 표고를 결정하는 GNSS 높이측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SI (2014), Guidelines for Establishing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s, GSI Publication A1-No.368,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Tsukuba, Japan, pp. 5-22. (in Japanese) 

  2. Henning, W.E., Carlson, E.E., and Zilkoski, D.B. (1998), Baltimore County, Maryland, NAVD 88 GPS-derived orthometric height project, Surveying and Land Information Systems, Vol. 58, No. 2, pp. 97-113. 

  3. IGS (2009), GPS satellite ephemerides / satellite & station clocks, IGS Central Bureau, Pasadena, USA, http://igscb.jpl.nasa.gov/components/prods.html (last date accessed: 11 October 2014). 

  4. Kwon, C.O., Jeong, W.S., and Lee, Y.J. (2008), Accuracy of orthometric heights of public BM by using GPS/levelling,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 6, No. 1, pp. 257-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J.S., Kwon, J.H., Baek, K.M., and Moon, J.Y. (2012), Development of Korean geoid model and verification of its prec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5, pp. 493-5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J.S., Kwon, J.H., Keum, Y.M., and Moon, J.Y. (2011), The update of Korean geoid model based on newly obtained gravity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9, No. 1, pp.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S.B. (2013), Accuracy evaluation of the height determined by Network-RTK VRS posi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4, pp.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NGS (1998), National Height Modernization Study, Report to Congress, U.S. Dep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ational Ocean Service, Rockville, MD, USA, pp. 123-140. 

  9. NGII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Precision Geoid Model in Korea, Repor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pp. 30-32. (in Korean) 

  10. NGII (2013), Construction of Precision Geoid Model in Korea, Repor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pp. 20-28. (in Korean) 

  11. Park, J.K. and Jung, K.Y. (2014), Accuracy evaluation of orthometric heights from GNSS measured heights Using KNGeo13 model, 2014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KOGSIS, 15-16 May, Jeju, Korea, pp. 87-88. (in Korean) 

  12. Zilkoski, D.B. (1993), NGS/Caltrans San Diego GPS-Derived Orthometric Heights Cooperative Project, NGS Project Report, Silver Spring, MD, USA, pp. 80-116. 

  13. Zilkoski, D.B., Carlson, E.E., and Smith, C.L. (2008), Guidelines for Establishing GPS-Derived Orthometric Heights,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 NGS-59 Version 1.5, National Geodetic Survey, Silver Spring, MD, USA, pp. 1-19. 

  14. Zilkoski, D.B. and D'Onofrio, J.D. (1996), Geodetic phase of NOS' San Francisco Bay demonstration project, GIS/Lis '96 Annual Conference and Exposition Proceedings, ASPRS, 19-21 November, Denver, CO, USA, pp. 116-127. 

  15. Zilkoski, D.B., D'Onofrio, J.D., and Frakes, S.J. (1997), Guidelines for Establishing GPS-Derived Ellipsoidal Heights (Standards: 2 and 5cm),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 NGS-58 Version 4.3, National Geodetic Survey, Silver Spring, MD, USA, pp.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