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비소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의 영향
The Effect of Phosphate Addition in Flotation to Remove As in Tailings from Sangdong Mine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3 no.5, 2014년, pp.55 - 61  

황민수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소연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  강헌찬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의 평균함량이 285 mg/kg인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As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3인산나트륨(이하 T.S.P)을 분산제로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하였다. 먼저 분산제 없이 부유선별을 진행한 결과, As제거율은 88.7%, 부상물의 무게비는 2.52%였고 추가적으로 T.S.P를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한 결과 각각 92.74%, 2.26%로 As제거율은 증가하고 부상물의 무게비는 감소하였다. 두 실험의 부상물을 대상으로 입도분석을 진행한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부상물은 평균입도가 19.34 um, 10 um이하의 양이 전체의 40.2%인 반면 T.S.P를 첨가할 경우, 각각 176.8 um, 6.5%였으며 이를 통해 미립입자의 부유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X.R.F 분석을 통해 두 실험 부상물의 실리카($SiO_2$)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42.74%, 첨가한 부상물의 경우 29.56%로 실리카계열의 친수성입자가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부유가 억제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th flot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effect of phosphate addition in the experiment to remove As from tailing of Sang-dong Mine. The experiment without Trisodium phosphate (T.S.P) showed that the removal rate of As was 88.7% and weight-ratio of floating material was 2.52%. By contrast, the 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실험들 중에 As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했던 T.S.P의 첨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 상동광산 광물찌꺼기 부유선별의 경우 잘은 입도의 친수성 맥석광물이 함께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이 응집되지 못하도록 분산상태에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분산제 첨가를 통한 맥석 미립자의 분산효과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광물찌꺼기의 As제거 부유선별에서 유제품의 분산제로 사용되는 인산염인 Trisodium Phosphate(이하 T.S.P)의 첨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방식에 비교해서 부유선별법은 어떤 효과가 큰가? 따라서 상동광산 광물찌꺼기 내 중금속 및 특히 As의 근본적인 처리를 통한 무해화 공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무해화 기술은 흡착 또는 침전에 의한 오염매질로부터의 분리 또는 고정화에 의한 매질로부터의 용출 억제 등에 주력하고 있지만5) 원천적인 중금속제거 기술로는 부유선별법이 타 방법에 비해 중금속 제거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6). 하지만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경우 중석광석 원광을 습식분쇄하여 부유선별을 거쳐 WO3를 70%까지 농축하는 과정과 화학처리를 실시하였으므로 발생한 슬러리는 미분말로써, Median경(D50)이 10~30um로 매우 미립의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7).
상동광산은 어떤 광산이었는가? 상동광산은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에 위치하는 중석광산으로 1916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약 80년간 가행되었으며 우리나라 중석 총생산량의 80%이상, 세계 중석 생산량의 약 10%이상을 차지하는 단일광산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광산이었다1). 1994년에 폐광되었으며 선광 처리 후 발생한 광물찌꺼기의 양은 약 1200만톤으로, 차단형 매립방식 형태로 구폐재댐과 신폐재 댐에 나뉘어 적치되어 있다2).
광물찌꺼기를 차단형 매립방식 형태로 구폐재댐과 신폐재 댐에 나뉘어 적치한 문제점은? 1994년에 폐광되었으며 선광 처리 후 발생한 광물찌꺼기의 양은 약 1200만톤으로, 차단형 매립방식 형태로 구폐재댐과 신폐재 댐에 나뉘어 적치되어 있다2). 그러나 이러한 차단형 매립방식의 적치장은 시공이 용이하나 시설의 노후화, 적치장 관리의 불안전, 기후 등의 영향으로 토사 붕괴의 위험은 물론 이들의 유실로 인한 주변 지역으로의 오염물질 확산 등 광해 재발의 가능성이 농후하다3). 실제로 환경부에서 실시한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조사에 따르면 상동광산 광물찌꺼기 적치장 주변과 선광장 토양에서 독성 중금속인 As함량이 농경지 기준 우려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1) 이는 상동광산 광물찌꺼기 적치장으로부터 중금속을 함유한 광물찌꺼기가 비산, 태풍, 우수 등에 의해 유실되어서 주변 토양에 분산 및 퇴적됨으로써 토양은 물론, 농경지 및 수계 등생태계에 위협요소가 되고 있음을 말해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ong-Su Choi et al, 2003: Survey of contamination of soil in abandoned mine, Ministry of Environment. 

  2. Man Hee Kang, 2004: A study on vertical variation of elements and possibility of recycling for tailings from the sangdong W mine, Korea, A master's thesis in semyung university. 

  3. Mine Reclamation Corp, 2010: Result report of Project on Harmlessness of Tailing of SongCheon Mine, pp. 1-3, Korea. 

  4. Am Jang, Yong su Choi, Kyoung woog Kim, In s. Kim, 1999: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Tailing Wastes from Closed Metal Mine Area,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1(1), pp. 41-52. 

  5. Jung woo Kang, Tae bum Choi, Yong ho Seon, Yoon young Chang, 2003: Stabilization of Contaminated Soils by Heavy Metals using Ca-Phosphates,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5(5), pp. 554-559. 

  6. Jong mun Cha, Jay hyun Park, Heon Chan Kang, 2012: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Gum-poong Mine Tailings,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1(6), pp. 51-57. 

  7. Moon young Jung, Yun wang Choi, Myung chae Jung, 2006: Properties of the Tailings from the Sangdong Mine and Its Recycling, J.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ces Engineers, 43(5), pp. 486-497. 

  8. Kang moon Lee, 1995: Chapter3. Chemicophysical sorting processing, Mineral Processing Engineering, pp. 277-279, Bando Publishing, Korea. 

  9. Min sik Kim, Sang ho Lee, Mi jeong Park, Hong il Choe, In jae Yang, Heon chan Kang, 2013: Study on the Removal As from Tailing of Sangdong Mine using Froth Flotation,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2(5), pp. 43-49. 

  10. Jong deuk Kim, 2000: Chapter6. Non-equilibrium dispersing, Theory of interface phenomenon, pp. 293-516, Arche Publishing,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