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과거 모유섭취경험 및 이유식 식습관에 따른 비만도 및 식습관 비교
Comparison of Obesity Level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Intake Experience of Mother's Milk and Eating Habits of Baby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5, 2014년, pp.380 - 389  

윤형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기효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제혁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experience of mother's milk intake/baby food intake, present eating habits, and atopy sympto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More frequent intake of mother's milk was associated with less atopy symptom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일부지역의 초등 2, 3학년을 대상으로 영아기 모유수유 여부, 이유식 식습관과 현재 어린이의 식습관 및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비만, 저체중, 알러지 등의 위험요인을 낮추고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지도를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일부지역의 초등 2, 3학년을 대상으로 영아기 모유수유 여부, 이유식 식습관과 현재 어린이의 식습관 및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비만, 저체중, 알러지 등의 위험요인을 낮추고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지도를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학부모의 편식여부에 따른 어린이의 편식정도를 조사하였으며, 학부모의 신체건강지표 정도가 어린이에게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로 영아의 수유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또한,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는 출산율 저하 및 영아의 수유방법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어머니의 모유수유로 영양분을 공급받던 영아는 인공영양이나 시판 이유식으로 양육되어지거나 혼합수유로 인하여 이유식 시기가 앞당겨지게 되었다(Cho 2010).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모유수유를 받은 아동이 인공수유를 받은 아동에 비하여 호흡기 질환이나 소화기계 질환, 변비, 습진 및 알러지의 이환율이 낮으며 성격이 원만하여 안정적 정서를 갖는다고 보고한 바 있다(Lee 등 2007; Lee 2013).
성장기의 영양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람의 생애주기에 있어서 성장기의 영양은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일생 동안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장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학동기 아동에 대한 영양관리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Lee 등 2003). 1970-1980년대 이후 식생활의 서구화 및 생활의 간편화에 따라 영양의 과잉섭취와 식품에 대한 기호도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더불어 소아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Kim 등 2001).
소아 비만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람의 생애주기에 있어서 성장기의 영양은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일생 동안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장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학동기 아동에 대한 영양관리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Lee 등 2003). 1970-1980년대 이후 식생활의 서구화 및 생활의 간편화에 따라 영양의 과잉섭취와 식품에 대한 기호도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더불어 소아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Kim 등 2001). 특히 아동기의 비만은 성인 비만에 비해 지방 세포수가 급격하게 늘어나 고도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고, 아동기 비만의 70-80% 정도가성인비만으로 이행되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Kim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SY. 2010. Effect of breast feeding on the eating habits, obesity and atopic dermatitis of children in Iksan area. Master's degree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 1-36 

  2. Cho MY. 2010. Consumer recognition of baby food specialty store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12-13 

  3. Choi EH, Jung SH, Jun YH, Lee YJ, Park JY, You JS, Chang KJ, Kim SK. 2010. Iron deficiency anemia and vitamin D deficiency in breastfed infants. Korea J. Pediar. Gastroenterol. Nutr., 13(2):164-171 

  4. Chuang CH, Hsieh WS, Chen YC, Chang PJ, Hurng BS, Lin SJ, Chen PC. 2011.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physician diagnosed atopic dermatiti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Taiwan. Pediatr. Allergy Immunol., 22(1):43-49 

  5. Doh HS. 1985. Further study about effects of maternal feeding method and contact on object attachmen.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pp 90-96 

  6. Friedman NJ, Zeiger RS. 2005. The role of breast-feeding in the development of allergies and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115(6):1238-1248 

  7. Hurley WL, Theil PK. 2011. Perspectives on immunoglobulins in colostrum and milk. Nutrients, 3(4):442-474 

  8. Ju MR. 1994.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breast milk, market milk, and powdered milk.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pp 1-70 

  9. Kim GY. 2012. Associations of feeding practice and age at introduction of weaning with growth and atopic dermatitis in young children.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4-20 

  10. Kim MK, Kim HJ, KIM YO, Lee JH, Lee WC. 2001. Overweight among preschool children in Seou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Korean J. Commun. Nutr., 6(2):121-129 

  11. Kim SU, Kim GH, Lee CM, Choi TH, Jung YG. 2007. Growth Development. Daehan Media, Seoul, pp 202 

  12. Kleinman R. 1994. Learning about dietary variety. the first steps. Ped. Basics, 68:2-11 

  13. Kull I, Melen E, Alm J, Hallberg J, Svartengren M, van Hage M, Pershagen G, Wickman M, Bergstrom A. 2010. Breastfeeding in relation to asthma, lung function, and sensitization in young schoolchildren. J. Allergy Clin. Immunol., 125(5):1013-1019 

  14. Lee GJ, Kim MS, Lee KH, Lee JY, Byun YS. 2007. Family health care. Iwha Woman University Press. Seoul. pp 91 

  15. Lee JM, Park HJ, Park SM. 2003.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ure, 18(2):151-159 

  16. Lee MY. 2013. The effect of breastfeeding duration related to the frequency of using medical institutions. Master's degree thesis, Korea University, pp 1-2 

  17. Lee SY. 2007. An Effect of weaning practices on eating habits for preschool children.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2-3 

  18. McCrory C, Layte R. 2012. Breastfeeding and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at nine-years of age. Soc. Sci. Med., 75(2):323-330 

  19. Reeder SJ, Martin L, Koniak G. 1997. Maternity Nursing. J.B Lippincott Co., Philadelpia, pp 761-802 

  20. Sausenthaler S, Heinrich J, Koletzko S. 2011. Early diet and the risk of allergy: what can we learn from the prospective birth cohort studies GINIplus and LISAplus. Am. J. Clin. Nutr., 94(6 suppl):2012-2017 

  21. Schack-Nielsen L, Sorensen TIA, Mortensen EL, Michaelsen KF. 2010. Lat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rather than duration of breast feeding, may protect against adult overweight. Am. J. Clin. Nutr., 91(3):619-627 

  22. Schoetzau A, Filipiak-Pittroff B, Franke K, Koletzko S, Von Berg A, Gruebl A, Bauer CP, Berdel D, Reinhardt D, Wichmann HE. 2002. Effect of exclusive breast-feeding and early solid food avoidance on the incidence of atopic dermatitis in high-risk infants at 1 year of age. Pediatr. Allergy Immunol., 13(4):234-242 

  23. Snijders BE, Thijs C, Kummeling I, Penders J, van den Brandt PA. 2007. Breast feeding and infant eczema in the first year of life in the KOALA birth cohort study: a risk period-specific analysis. Pediatrics, 119(1):137-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