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상용 초분광 카메라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분광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Spectral Pattern for Detecting Pine Wilt Disease Using Ground-Based Hyperspectral Camer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5, 2014년, pp.665 - 675  

이정빈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이승호 (산림교육원 재해방지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어 있는 거제도를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특성분석을 위하여 지상용 초분광 카메라를 활용하여 2012년과 2013년에 걸쳐 대상 임목을 촬영하였다. 영상 촬영은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는 시기인 6~9월 기간에 개체목 단위와 임분 단위로 구분하여, 개체목은 인위적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을 주입한 공시목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임분은 소나무재선충병이 자연적으로 발생한 임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백개의 파장대역 정보를 담고 있는 지상용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단계에서부터 고사단계에 이르기까지 파장대역 변화와 특성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파장대역 중 적색영역(550~700 nm)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688 nm 전후의 파장대역에서 고사목과 정상목간의 가장 많은 변화폭이 관측되었다. 향후 초분광 항공사진을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탐지 활용가능성 판단을 위하여 개체목 단위 촬영영상보다 대면적의 임분단위 촬영영상을 활용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낸 688 nm 구간의 식생지수 활용을 위하여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Red Edg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reNDVI), Photochemical Reflectance Index(PRI), Anthocyanin Reflectance Index 2(ARI2) 식생지수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염목 탐지에 효율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수는 NDVI와 reNDVI으로 나타났으며 688 nm를 NDVI와 reNDVI식 적색영역에 적용한 결과 688 nm를 포함하여 적용한 지수값에서 감염진행에 따른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내어 감염목 탐지에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spectral patterns of pine wilt disease at different development stage were analyzed in Geoje-do where the disease has already spread. Ground-based hyperspectral imaging containing hundreds of wavelength band is feasible with continuous screening and moni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분광 영상의 장점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의 시계열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감염목 및 감염단계 판정을 위한 최적 파장대역과 식생지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재선충병은 언제 처음 발생했는가?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1905년 일본에서 처음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솔수염 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성충이 소나무의 새순을 갉아 먹을 때 몸 속에 있던 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이 나무 내부로 침입하여 소나무 내에서 급속히 증식, 통도작용을 저해하여 소나무를 말라 죽게 하는 병이다.
지상용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단계에서부터 고사단계에 이르기까지 파장대역 변화와 특성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어떻게 됬는가? 수백개의 파장대역 정보를 담고 있는 지상용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단계에서부터 고사단계에 이르기까지 파장대역 변화와 특성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파장대역 중 적색영역(550~700 nm)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688 nm 전후의 파장대역에서 고사목과 정상목간의 가장 많은 변화폭이 관측되었다. 향후 초분광 항공사진을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탐지 활용가능성 판단을 위하여 개체목 단위 촬영영상보다 대면적의 임분단위 촬영영상을 활용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어떤 병인가?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1905년 일본에서 처음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솔수염 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성충이 소나무의 새순을 갉아 먹을 때 몸 속에 있던 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이 나무 내부로 침입하여 소나무 내에서 급속히 증식, 통도작용을 저해하여 소나무를 말라 죽게 하는 병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의 급속한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는 2005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시행하여 감염목 발병 추세가 다소 진정되었으나, 2011년부터 다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amon, J.A., J. Penuelas, and C.B. Field, 1992. A Narrow-Waveband Spectral Index That Tracks Diurnal Changes in Photosynthetic Efficienc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1: 35-44. 

  2. Gitelson, A.A. and M.N. Merzlyak, 1994. Spectral Reflectance Changes Associated with Autumn Senescence of Aesculus Hippocastanum L. and Acer Platanoides L. Leaves. Spectral Features and Relation to Chlorophyll Estimatio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43: 286-292. 

  3. Gitelson, A.A., Y. Zur, O.B. Chivkunova, and M.N. Merzlyak, 2002. Assessing Carotenoid Content in Plant Leaves with Reflectance Spectroscopy.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75: 272-281. 

  4. Kim, J.B., D.Y. Kim, and N.C. Park, 2010. Development of an aerial precision forecasting techniques for the pine wilt disease damaged area based on GIS and GP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28-34. 

  5. Kim, J.B., M.H. Jo, I.H. Kim, and Y.K. Kim, 2003.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damaged area by pine wood nematode using high resolution IKONOS satellite images and GP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4): 362-366. 

  6. Kim, S.R., W.K. Lee, K. Nam, Y. Song, H. Yu, M.I. Kim, J.Y. Lee, and S.H. Lee, 2013. Investigation into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4): 499-505. 

  7. Kim, Y., D.M. Glenn, J. Park, H.K. Ngugi, and B.L. Lehman, 2011.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for water stress detection of apple trees,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77: 155-160. 

  8. Kim, Y.S., S.E. Jung, W.K. Lee, J.B. Kim, and T.H. Kwon, 2008. Analyzing vegetation index change of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6): 561-564. 

  9. Korea Forest Service, 2014. 2014 Plan for forecasting and control of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10. Lee, S.H., H.K. Cho, and W.K. Lee, 2007. Detection of the pin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and airborne optical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5): 409-420 

  11. Penuelas, J., I. Filella, and L. Sweeano, 1996. Cell wall elastivity and water index (R970 nm/R900 nm) in wheat under different nitrogen avail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7: 373-382. 

  12. Penuelas, J., I. Filella, C. Biel, L. Sweeano, and R. Save, 1993. The reflectance at the 950-970 nm region as an indicator of plant water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 1887-1905. 

  13. Pu, R., L. Foschi, and P. Gong, 2004. Spectral feature analysis for assessment of water status and health level of coast live oak (Quercus agrifolia) leav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5(20): 4267-4286. 

  14. Pu, R., S. Ge, N.M. Kelly, and P. Gong, 2003. Spectral absorption features as indicators of water status in Quercus agrifolia leav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4(9): 1799-1810. 

  15. Rouse, J.W., R.H. Haa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3rd Earth Resource Technology Sstellite(ERTS) Symposium, vol 1: pp. 48-62. 

  16. Suarez, L., P.J. Zarco-Tejada, G. Sepulcre-Canto, O. Perez-Priego, J.R. Miller, J.C. Jimenez-Munoz, and J. Sobrino, 2008. Assessing canopy PRI for water stress detection with diurnal airborne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 560-575. 

  17. Wu, C., Z. Niu, Q. Tang, and W. Huang, 2008. Estimating chlorophyll content from hyperspectral vegetation indices: Modeling and validati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8: 1230-1241. 

  18. Zarco-Tejada, P.J., V. Gonzalez-Dugo, and J.A.J. Berni, 2012. Fluorescence, temperature and narrowband indices acquired from a UAV platform for water stress detection using a micro-hyperspectral imager and a thermal camer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7: 322-337.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