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탐지를 위한 UAV기반의 식생지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UAV-based Vegetable Index Comparison for Detection of Pine Wilt Disease Trees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0 no.1, 2020년, pp.201 - 214  

정윤영 (원광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조경전공) ,  김상욱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UAV 영상의 식생지수를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조기 탐지를 그 목적으로 하며, NDVI를 비롯한 대표적인 식생지수들을 선정하고 각각의 분류 정확도 비교분석을 통해 최적의 식생지수를 분석해보았다. 현장답사를 통하여 193개체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위치데이터를 구축하고 동시에 다중분광 UAV 영상을 이용하여 4가지 식생지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무감독분류(K-Means)를 통하여 피해목을 분류하였고, 오차행렬(Confusion Matrix)를 이용하여 식생지수별 분류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의 전체정확도는 NDVI (88.04%, Kappa계수 0.76) > GNDVI (86.01%, Kappa계수 0.72) > NDRE (77.35%, Kappa계수 0.55) > SAVI (76.84%, Kappa계수 0.54)순으로 분석되어 NDVI가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GNDVI가 거의 비슷한 수준의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둘째, NDVI 및 GNDVI 식생지수를 이용한 K-Means 무감독 분류방법으로 피해목의 판별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위 기법은 연산이 집약적이고 사용자의 개입이 적고 분석과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피해목의 조기 탐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시계열영상의 활용 또는 딥러닝기법의 추가 응용으로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arly detect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the vegetation indices of UAV images. The location data of 193 pine wilt disease trees were constructed through field surveys and vegetation index analyses of NDVI, GNDVI, NDRE and SAVI were performed using multi-spectral UAV ...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UAV 영상의 식생지수를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조기 탐지를 그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식생지수들에 대한 정확도 비교분석을 통해 최적의 식생지수를 선정해보았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 전체정확도는 NDVI(Kappa계수 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조기 탐지를 위해 UAV 영상의 식생지수를 선정하고 각각의 분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식생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첫째,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에 대한 피해목 위치데이터를 수집하고 동시에 UAV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4가지 식생지수 영상을 구축하였다.
  • 영상의 분류는 크게 감독분류와 무감독분류로 구분되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감독분류방법에 비해 무감독분류방법을 통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탐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점과 훈련지역의 패턴 파악을 위한 현장답사 및 분류 시의 분석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감독분류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무감독 분류는 통계적으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자하는 전체 화소 데이터를 다른 클래스로 클러스터링 하는 방식으로 K-Means와 ISODATA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있다.
  • (1983)에 의하여 고안된 적외선지수(Normalized Difference Infrared Index, NDII)는 NDVI보다 식물의 생체량과 수분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식생지수는 약 50여종으로 다양하지만(나상일 외 2016), 본 연구에서는 범용성, UAV 다중분광 센서에의 적합성 및 최근 다양한 식생관련 연구에서의 활용성을 그 기준으로 하여 다음의 4가지 식생지수를 선정하여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지수란 무엇인가? 식생지수는 원격탐사의 파장별 반사특성을 이용한 식생의 생육상태를 지수로 표현한 것으로, 1960년대 이후 식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식생지수는 NDVI로 알려진 정규화식생지수이며, 이후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변환식생지수(Transformed Vegetation Index, TVI)(Deering et al.
NDVI의 단점은 무엇인가? (1974)이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하지만 울폐도가 높은 경우 수관밀도에 따른 포화현상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진다(Lee et al. 2006).
무감독 분류란 무엇이며 어떤 알고리즘이 있는가? 영상의 분류는 크게 감독분류와 무감독분류로 구분되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감독분류방법에 비해 무감독분류방법을 통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탐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점과 훈련지역의 패턴 파악을 위한 현장답사 및 분류 시의 분석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감독분류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무감독 분류는 통계적으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자하는 전체 화소 데이터를 다른 클래스로 클러스터링 하는 방식으로 K-Means와 ISODATA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있다. K-Means 기법은 초기에 k개의 평균을 사용하여 n개의 특징 벡터를 최소거리로 사용하여 k개의 클러스터로 분배한 후에, 각각의 클러스터에 분배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균을 재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DI, Song YS, Kim Gh, Kim CW.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Korean Land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1):29-38. 

  2. Kim MJ, Bang HS, Lee JW. 2017.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orecasting Pine Wood Nematode in Boundary Area: A Case Study of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1):100-109. 

  3. Kim SR, Kim ES, Nam YW, Choi WI, Kim CM. 2015.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ine Wilt Disease Using Time Series Hyperspectral Aerial Imagery.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31(5):385-394. 

  4. Na SI, Park CW, Cheong YK, Kang CS, Choi IB, Lee KD. 2016. Selection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for Estimation of Barley & Wheat Growth based on Remote Sensing - An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5):483-497. 

  5. Lee SK, Park SJ, Baek GM, Kim HB, Lee CW. 2019. Detection of Damaged Pine Tree by the Pine Wilt Disease Using UAV Imag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3):359-373. 

  6. Lee SW, Oh HJ, An DU, Jeong SJ. 2004. An Impleme ntation of K-Means Algorithm Improving Clus ter Centroids Decision Methodologies. The KIP S Transactions : Part B. 11(7):867-874. 

  7. Lee JB, Kim ES, Lee SH. 2014. An Analysis of Spect ral Pattern for Detecting Pine Wilt Disease Usi ng Ground-Based Hyperspectral Camera. Kore 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665-675. 

  8. Lee CM, Lim TH, Lee SM, Mun IS, Han SS, Lee DW. 2015. Nematicidal and Reproduction Supression Activity of Actinomyces Isolates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9(2): 141-150. 

  9. Lee HJ, Kwak JH, Lee SY. 1999. Development of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Technology for diversified Satellite Information Applications. National Radio Research Institute. 12-13. 

  10. Lim ET. 2020. Pine Wilt Disease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Thesis]. Hanbat University. p. 1-51. 

  11. Jo MH, Kim JB, Oh JS, Lee KJ. 2001. Extraction Method of Damaged Area by Pinetree Pe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using High Resolution IKONOS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4):72-78. 

  12. Hong KY. 2017. A Extraction and Accuracy Assessment of Dead Tree Using UAV Image [Thesis]. University of Seoul. p. 1-71. 

  13. Automotive Industry Action Group(AIAG). 2010. Measurement Systems Analysis Reference Manual, 4th Edition. Chrysler, Ford, General Motors Supplier Quality Requirements Task Force. 

  14. Congalton RG. 1991. A Review of Assessing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s of Remotely Sensed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7:35-46. 

  15. Deering DW, Rouse JW, Haas RH, Schell JΑ. 1975. Measuring Forage Production of Grazing Units from Landsat MSS Data. 10th Internat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1169-1178. 

  16. Flynn KF, Chapra SC. 2014. Remote Sensing of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in a Shallow Non-Turbid River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Sens. 6(12):12815-12836. 

  17. Gitelson A, Kaufman YJ, Merzlyak MN. 1996. Use of a Green Channel in Remote Sensing of Global Vegetation from EOS-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8(3):289-298. 

  18. Hardisky MA, Klemas V, Smart RM. 1983. The influence of Soil Salinity, Growth form, and Leaf Moisture on the Spectral Radiance of Spartina alterniflora Canopi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49: 77-83. 

  19. Herrmann I, Pimstein A, Karnieli A, Cohen Y, Alchanatis V, Bonfil D. 2011. LAI Assessment of Wheat and Potato Crops by VEN ${\mu}$ S and Sentinel-2 Band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8):2141-2151. 

  20. Huete AR. 1988. A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SAVI).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5(3):259-309. 

  21. Huete AR, Liu HQ. 1994. An Error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Atmospheric and Soilcorrecting Variants of the NDVI for the MODIS-EO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2(4):897-905. 

  22. Kim DS, Lee SM, Chung YJ, Choi KS, Moon YS, Park CG. 2003.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2(4):307-313. 

  23. Korhonen L, Packalen P, Rautiainen M. 2017. Comparison of Sentinel-2 and Landsat 8 in the Estimation of Boreal Forest Canopy Cover and Leaf Area Index.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5(2017):259-274. 

  24. Lee KS, Kim SH, Park JH, Kim TG, Park YI, Woo CS. 2006. Estimation of Forest LAI in Close Canopy Situation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2(5):305-311. 

  25. Rouse JW, Haas RH, Schell JA, Deering DW.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 Great Plains with ERTS. Washington D.C.: NASA p. 309-317. 

  26. Story M, Congalton RG. 1986. Accuracy Assessment: A User’s Perspective.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2(3): 397-399. 

  27. Tomas JR, Gausman HW. 1977. Leaf Reflectance vs. Leaf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centrations for Eight Crops. Agronomy Journal. 69(5):799-8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