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시기별 피해목 탐지를 위한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의 활용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ine Wilt Disease Using Time Series Hyperspectral Aerial Image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1 no.5, 2015년, pp.385 - 394  

김소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남영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최원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김철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유럽 지역의 소나무림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는 임분 내에서 다발적으로 발현되고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현장조사 방법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피해목 탐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월, 9월, 10월에 1 m 공간해상도의 초분광 항공사진을 취득하였다. 9월 영상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와 Vegetation Index green(VIgreen)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을 잎이 있는 고사목과 잎이 없는 고사목으로 구분하였으며, 6월, 9월, 10월 영상의 분광반사값을 비교하여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의 시계열 분포를 토대로 공간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초분광 항공사진 촬영지역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총 2,262본이 추출되었으며, 피해시기에 따라 잎 있는 고사목(작년 피해목)은 604본,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은 각각 300본, 101본으로 분류되었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한 공간 분포형 분석 결과, 작년 피해목과 당년 피해목 모두 집중분포 형태로 나타났으며, 최근거리 분석 결과, 당해년도 고사목의 약 80%는 전년도 고사목 주변 60 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wilt disease has greatly damaged pine forests not only in East Asia including South Korea and China, but also in European region. The damage caused by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expressed in bundles within stands and rapidly spreading, however, present field survey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의 정확한 확인과 확산 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동일지역의 시계열 변화 탐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의 식생지수를 기반으로 피해시기 별 소나무재선병 피해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피해목의 시계열 분포를 토대로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소나무재선충 피해목 탐지 및 확산특성 연구에 있어서 초분광 항공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재선충병이란 무엇인가?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학명 추가)이 목질 내의 세포 속에서 서식하여 뿌리로부터 올라오는 수분과 양분 이동을 방해하여 나무를 말라죽게 하는 병으로 현재 일본을 비롯해 우리나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과 유럽의 소나무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Mota et al., 1999; Ichihara et al.
식생 분석에 초분광 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기존 식생분석에 많이 사용되어진 다중분광 자료는 4~8개 밴드의 비연속적인 분광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미세한 변화를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초분광 자료는 수백 개의 좁고 연속적인 분광 정보를 가지고 있어 미세한 분광반사 특성의 변화를 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국내외에서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의 탐지 및 식생수분 스트레스 관계 연구(Uto et al.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 발생 초기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 2008). 또한 피해발생초기에는 고사목 단목의 점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신속한 피해지 파악과 정확한 확산예측에 어려움이 있다(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lark, P.J. and F.C. Evans, 1954. Distance to nearest neighbo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4): 445-453. 

  2. Gitelson, A.A., Y. Zur, O.B. Chivkunova, and M.N. Merzlyak, 2002. Assessing Carotenoid Content in Plant Leaves with Reflectance Spectroscopy,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75: 272-281. 

  3. Ichihara, Y., K. Fukuda, and K. Suzuki, 2000. Early symptom development and histological change associated with migra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seeding tissues of Pinus thunbergii. Plant Disease, 84(6): 675-680. 

  4. Jo, M.H., J.B. Kim, J.S. Oh, and K.J. Lee, 2001. Extraction method of damaged area by pinetree pe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using high resolution IKONOS imag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4): 7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elly, N.M., 2002. Monitoring sudden oak death in California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USDA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SW-GTR-184: 799-810. 

  6. KFRI, 2004. Pine wilt disease, Forest science news 04-0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7. KFS, 2014. 2014 Forest pest forecasting and control plan, Korea Forest Service, Seoul, Korea. 

  8. Kim, E.N. and D.Y. Kim, 2008. An investigation of pine wilt damage by using ground remote sensing technique,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4(1): 84-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J.B., D.Y. Kim, and N.C. Park, 2010. Development of an aerial precision forecasting techniques for the pine wilt disease damaged area based on GIS and GP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4): 499-5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M.I, W.K. Lee, T.H. Kwon, D.A. Kwak, Y.S. Kim, and S.H. Lee, 2011. Early detecting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DI(detection index) from portaable near i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374-3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S.R., W.K. Lee, K. Nam, Y. Song, H. Yu, M.I. Kim, J.Y. Lee, and S.H. Lee, 2013. Investigation into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4): 499-5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Y.S., S.E. Jung, W.K. Lee, J.B. Kim, and T.H. Kwon, 2008. Analyzing vegetation index change of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6): 561-5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B., E.S. Kim, and S.H. Lee, 2014. An analysis of spectral pattern for detecting pine wilt disease using ground-based hyperspectral camer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 665-6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ota, M.M., H. Braasch, M.A. Bravo, A.C. Penas, W. Burgermeister, K. Metge, and E. Sousa, 1999. First repor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ogy, 1(7-8): 727-734. 

  15. Pu, R., M. Kelly, G.L. Anderson, and P. Gong, 2008. Using CASI hyperspectral imagery to detect mortality and vegetation stress associated with a new hardwood forest disease,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4(1): 65-75. 

  16. Rouse, J.W., R.H. Haas, J.A. Schell, and D.W. Deering,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 of 3rd Earth Resource Technology Sstellite(ERTS) Symposium, vol 1: pp. 48-62. 

  17. Son, M.H., W.K. Lee, S.H. Lee, H.K. Cho, and J.H. Lee, 2006. Natural spread pattern of damaged area by pine wilt disease using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95(3): 240-2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Takasu, F., N. Yamamoto, and K. Kawasaki, 2000. Modeling the expansion of an introduced tree disease. Biological invasions, 2: 141-140. 

  19. Uto, K., Y. Takabayashi, Y. Kosugi, and T. Ogata, 2008. Hyperspectral analysis of Japanese Oak wilt to determine normalized wilt index, Proc. of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2008. IGARSS 2008. IEEE International, 7-11 July 2008, 2: II-295-298. 

  20. Zhao, B.G., K. Futai, J.R. Sutherland, and Y. Takeuchi, 2008. Pine wilt disease, Springer, Kato Bunmeisha,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