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PN 및 H-NS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PCR assay를 병용한 장염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의 정량
Qua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Using a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Targeting the H-NS gen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7 no.5, 2014년, pp.556 - 561  

김태옥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권삼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pplied a combination of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s using a PCR procedure targeting the H-NS (VP1133) gene to detect Vibrio parahaemolyticus presence and density in seawater as well as within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tissues collected from G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해수 또는 수산물에 존재하는 장염비브리오의 정량을 위하여 most probable number (MPN)와 H-NS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PCR assay 방법을 병행하여 해수 및 바지락 중의 장염비브리오 농도를 정량하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염비브리오에 의한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신속 검출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 2003). 장염비브리오는 최적의 조건에서 균의 세대시간이 8-12분 정도로 어느 세균보다도 빨라 단시간 (3-4시간)에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균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장염비브리오에 의한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신속 검출이 매우 중요하다(Makino et al., 2003).
장염비브리오는 어떤 세균인가? 장염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는 저도 호염성 해양 세균으로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 또는 불충분하게 가열 처리된 수산물을 생식함으로써 설사, 복통, 구토, 오한 및 미열 등을 동반하는 급성위장염 증상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식중독 세균이다(Sakazaki et al., 1968; Blake et al.
수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에는 해수및 수산물에 높은 농도로 장염비브리오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염비브리오 유래 식중독 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예방대책이 요구되는 이유는? DePaola et al. (1990)는 동일 장소에서 채취한 굴 중의 장염비브리오 농도가 해수보다 100배 높았다는 보고가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와는 매우 다른 결과이다. 따라서 수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에는 해수및 수산물에 높은 농도로 장염비브리오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염비브리오 유래 식중독 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7. 

  2. Bej AK, Patterson DP, Brasher CW, Vickery MC, Jones DD and Kaysner CA. 1999. Detection of total and hemolysin-producing Vibrio parahaemolyticus in shellfish using multiplex PCR amplification of tl, tdh and trh. J Microbiol Meth 36, 215-225. 

  3. Blake PA, Weaver RE and Hollis DG. 1980. Diseases of humans (other than cholera) caused by vibrios. Annu Rev Microbiol 34, 341-367. 

  4. Cantet F, Hervio-Heath D, Caro A, Le Mennec C, Monteil C, Quemere C, Jolivet-Gougeon A, Colwell RR and Monfort P. 2013. Qua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cholerae in French Mediterranean coastal lagoons. Res Microbiol 164, 867-874. http://dx.doi.org/10.1016/j.resmic.2013.06.005. 

  5. Chen M, Guo D, Wong HC, Zhang X, Liu F, Chen H, Chen M, Liu B, Wang L, Wu F and Feng L. 2012. Development of Oserogroup specific PCR assay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t J Food Microbiol 159, 122-129. http://dx.doi.org/10.1016/j.ijfoodmicro.2012.08.012. 

  6. Copin S, Robert-Pillot A, Malle P, Quilici ML and Gay M. 2012. Evaluation of most-probable-number-PCR method with internal amplification control for the counting of total and pathogenic Vibrio parahaemolyticus in frozen shrimps. J Food Prot 75, 150-153. http://dx.doi.org/10.4315/0362-028X.JFP-11-165. 

  7. DePaola A, Hopkins LH, Peeler JT, Wentz B and McPhearson RM. 1990. Incid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U.S. coastal waters and oysters. Appl Environ Microbiol 56, 2299-2302. 

  8. Fang FC and Rimsky S. 2008. New insights into 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H-NS. Curr Opin Microbiol 11, 113-120. http://dx.doi.org/10.1016/j.mib.2008.02.011. 

  9. Honda T and Iida T. 1993. The pathogenic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the role of the thermostable direct haemolysin and related haemolysins. Rev Med Microbiol 4, 106-113. 

  10. Hossain MT, Kim EY, Kim YR, Kim DG and Kong IS. 2011. Application of groEL gene for the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PCR. Lett Appl Microbiol 54, 67-72. http://dx.doi.org/10.1111/j.1472-765X.2011.03174.x. 

  11. Kaneko T and Colwell RR. 1975. Adsorp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onto chitin and copepods. Appl Microbiol 29, 269-274. 

  12. Kim YB, Okuda J, Matsumoto C, Takahashi N, Hashimoto S and Nishibuchi M. 1999. Ide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at the species level by PCR targeted to the toxR gene. J Clin Microbiol 37, 1173-1177. 

  13. Makino K, Oshima K, Kurokawa K, et al., 2003. Genome sequ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 pathogenic mechanism distinct from that of V. cholerae. Lancet 361, 743-749.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4. Korea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www.mfds.go.kr/e-stat/index.do?nMenuCode20 on September 15. 

  15. No AR, Okada K, Kogure K and Park KS. 2011. Rapid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PCR targeted to the histone-like nucleoid structure (H-NS) gene and its genetic characterization. Lett Appl Microbiol 53, 127-133. http://dx.doi.org/10.1111/j.1472-765X.2011.03072.x. 

  16. Park KS, Arita M, Iida T and Honda T. 2005. vpaH, a gene encoding a novel Histone-like nucleoid structure-like protein that was possibly horizontally acquired, regulates the biogenesis of lateral flagella in trh-positive Vibrio parahaemolyticus TH3996. Infect Immun 73, 5754-5761. 

  17. Sakazaki R, Tamura K, Kato T, Obara Y and Yamai S. 1968. Studies on the enteropathogenic, facultatively halophilic bacterium, Vibrio parahaemolyticus. 3. Enteropathogenicity. Jpn J Med Sci Biol 21, 325-331. 

  18. Shirai H, Ito H, Hirayama T, Nakamoto Y, Nakabayashi N, Kumagai K, Takeda Y and Nishibuchi M. 1990. Molecular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association of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and TDH-related hemolysin of Vibrio parahaemolyticus with gastroenteritis. Infect Immun 58, 3568-3573. 

  19. Su YC, Duan J and Wu WH. 2005. Selectivity and specificity of a chromogenic medium for detecting Vibrio parahaemolyticus. J Food Prot 68, 1454-1456. 

  20. Venkateswaran K, Dohmoto N and Harayama S. 1998.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gyrB ge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its application in detection of this pathogen in shrimp. Appl Environ Microbiol 64, 681-687. 

  21. Wang R, Huang J, Zhang W, Lin G, Lian J, Jiang L, Lin H, Wang S and Wang S. 2011.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multiplex PCR and DNA-DNA hybridization on a microarray. J Genet Genomics 38, 129-135. http://dx.doi.org/10.1016/j.jgg.2011.02.002. 

  22. Wei S, Zhao H, Xian Y, Hussain MA and Wu X. 2014. Multiplex PCR assays for the detection of Vibrio alginolyticus,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cholerae with an internal amplification control. Diagn Microbiol Infect Dis 79, 115-118. http://dx.doi.org/10.1016/j.diagmicrobio.2014.03.012. 

  23. Yu S, Chen W, Wang D, He X, Zhu X and Shi X. 2010. Speciesspecific PCR detection of the food-borne pathogen Vibrio parahaemolyticus using the irgB gene identified by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FEMS Microbiol Lett 307, 65-71. http://dx.doi.org/10.1111/j.1574-6968.2010.01952.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