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주거의미 및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Choice Factors of Housing by University Student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5, 2014년, pp.957 - 968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housing and choice factors of housing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snowbal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4th to 14, 2013, and the sample consisted of 122 university students and 40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주거계획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새로운 주거소비자인 대학생들의 주거의미 및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거의미와 주거선택시 고려요인 파악하는 연구로, 기존 세대들과 사회, 문화, 경제, 정치적으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의 주거의미와 이들이 향후 경제적 독립 후 주거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거의미와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을 파악하고 부모세대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생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는 2013년 4월 4일부터 4월 14일까지 실시하였다.
  • 또한 부모세대와 대학생간의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에 차이는 주택시장의 새로운 소비자인 대학생을 위해 주거계획 및 주거정책방향에 중요한 열쇠가 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Jo & Shin, 2004)는 아직 부족한 실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의 파악과 더불어 부모세대와 대학생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란? 주택은 하나의 물리적 객체이지만, 주거는 인간의 삶을 담아내는 그릇의 역할을 함으로 그 안에 살고 있는 인간과 생활이 중요하다. 주거는 인간생활과 활동의 거점인 동시에 인간의 생활과 가족의 삶을 담는 그릇이어야 하며, 과거세대와 미래세대의 경험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각 세대의 삶이 녹아있는 독특한 공간적 의미를 가져야 한다(Nam & Hwang, 2009). 주거는 여러 세대가 함께 공존하고 그들의 욕구를 반영해야 하지만, 주거는 물리적 객체인 주택의 개념을 중심으로 주택의 양적확보를 위한 공급활성화 정책으로 인해 다양성이 상실되었다.
거주자가 가지고 있는 주거의미가 잘 반영된 주거선택이란? 거주자가 가지고 있는 주거의미가 잘 반영된 주거선택은 거주자에게 주거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거주자의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을 파악하고, 고려요인의 중요도를 통해 거주자의 주거욕구를 파악할 수 있어,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주거생활의 새로운 계층인 대학생들의 특성은? 주거생활의 새로운 계층인 대학생들은 글로벌 마인드, 디지털 기기와 SNS 서비스 등에 익숙하게 자라왔으며, 다른 사람을 의식하기보다, 자신만의 특성과 개성, 개인적 행복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Doosan, 2013), 그들의 소통방식과 생활방식에 있어 기존 세대들인 자신의 부모세대들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n, O. H., & Jung, M. R., & Kim, S. K. (1999). A Study on the view of Hous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31. 67-78 

  2. Chai, S. I. (2001). Research Methods. Hakhyunsa. Korea. Paju. 

  3. Chun, H. S. (2002). A study on the living culture on apar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4. Doosan. (2013).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Seoul. Doosan. 

  5. Ha, J. S. (2006). A Study on the Apartment Purchasing Behavior Characteristic by the Segmentation of Housing Value. Journal of Korea Planner Association. 41(6). 135-148. 

  6. Jang, Y. O. (1999). Housewives' Housing Values and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3(2). 105-123 

  7. Jo, I. S. (2004). A Study on the New Generation's Life-Style and their Housing Pre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Seoul. 

  8. Jo, I. S. and Shin, H .K. (2004). Life-styles and Factors Considered for Housing Choices for Two Co-residential Gen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6). 155-164. 

  9. Kang, C. H., & Park, C. S. (2009). Effects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has on the housing decision of baby boomer. The Journal of Cadastre Information, 11(2). 99-116. 

  10. Kim, Y, S. (2009). Determinants of Housing Value and Housing Needs for External Facilities. Consumption Culture Studies, 12(2). 99-119. 

  11. Nam, S. J., & Hwang, H. S. (2009). The Meaning of Housing Space for Housewives: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Studies of Consumer. 20(3). 215-241 

  12. Park, J, H. (2006). Korean society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rends. Cheil. Korea. Seoul. 

  13. Park, Y. G., Kim, P. J., & Hwang, T. S. (2006). The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Choice Criteria,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Housing. Housing Studies, 14(2). 145-173. 

  14. Shin, H. K. (2004). A study on the Housing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Sangmyung University, 12. 1-10. 

  15. Shin, S. H. (2006). Study on The Effects of Difference between Priority of Residential Choice and Perceptive Valu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Apartment Residents ; Analysis of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Jeju City New Residence Comple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3), 237-245. 

  16.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0). Housing Theory.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Seoul. 

  17. Yim, H. R., Kim, J. J., and Kim, K. H. (2012). An Analysis of the Housing Values by Family Life-Cyc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11). 167-175. 

  18. Yoon, J. S. (1997). Housing. Kyumunsa. Korea. Seoul. 

  19. Yoon, J. S., & Lee, K. H., & Hong, H. O, (1998). Theory of housing. KNOU. Korea,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