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4, 2014년, pp.314 - 321  

손해경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이혜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미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13년 11월 18일부터 29일까지, S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84명(남자 186명, 여자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개인 배경 변인,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스트레스 인지(t=5.12, p < .001)와 평상시 건강상태(t=-4.08, p <.001), 배경적 변인으로 학업성적(t=5.46, p <.001), 진로 관련 변인에서 진로장벽(t=10.57, p <.001)이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으로 개인 배경 변인과 함께 진로장벽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로결정은 발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진로를 선택하는 청소년 후기에 이를 고려한 예방적,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개발과 학교보건 및 실무에의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lens of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38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A self-administrative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로와 관련하여 확인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 이론에 근거하여 진로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 ∙ 배경 변인과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을 조사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Figure 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입시위주의 교육환경 속에서 학업과 진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고등학생의 진로 관련 변인을 사회인지진로 이론에 근거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으로써 진로 관련 변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 이론(Lent et al., 1994)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스트레스 인지와 평상시 건강상태, 학업성적, 진로 장벽이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셋째,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로와 관련하여 확인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 이론에 근거하여 진로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 ∙ 배경 변인과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을 조사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후기의 고등학생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할 경우 경험하는 것은? 또한 다른 나라에 비해 진로를 선택하지 못하는 청소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Eom, Park, & Joo, 2011; National Youth Commission, 2003;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특히 청소년 후기의 고등학생은 진로에 대한 준비와 결정을 하는 중요한 시기에 처해 있고(Seon & Kim, 2008), 이 시기에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불안,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나 집단 따돌림, 폭력, 가출 등의 문제행동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eong, 2003; Kim, Lee, Kweon, Oh, & Kim, 2009; Lee, 2000; Park, Cho, & Park, 2003; Tomas, James, Alison, Sean, & Ori, 2001).
Bandura (1986)의 사회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사회인지진로 이론에서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 1994; Lent, Brown, & Hackett, 2000). 이 이론에서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 배경 변인과 함께 맥락적 변인으로 진로장벽, 학습 경험, 자기효능감, 그리고 결과기대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진로에 대한 관심과 목표 선정, 진로를 결정하는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Lent, Brown과 Hackett (1994)의 사회인지진로 이론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특히 Lent, Brown과 Hackett (1994)의 사회인지진로 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은 개인의 복합적인 진로선택 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Eom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D. H. (2006).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 and auxiliary textbook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1. 

  3.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http://dx.doi.org/10.1177/106907279600400405 

  4. Eom, T. Y., Park, E. W., & Joo, E. S.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respect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among low-income adolesc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barri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3), 197-222. 

  5.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ttp://dx.doi.org/10.1016/0001-8791(81)90019-1 

  6. Jeong, K. T. (2003).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influence to adolescent aggressivenes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2(2), 151-162. 

  7. Kim, M. S., & Seo, Y. S. (2010).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status and contextual variables on adolescents' career indecision. Studies on Korean Youth, 21(2), 67-96. 

  8. Kim, S. J., Lee, C. S., Kweon, Y. R., Oh, M. R., & Kim, B. Y. (2009).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dolescent mental problem questionnaire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5), 700-708.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700 

  9. Kim, Y. A. (200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stress levels,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s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7(2), 203-212. 

  10. Kim, Y. H., Kim, W. J., Park, K. O., Lee, H. S., & Kim, C. G. (2000). Primary study of developing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deviant behaviors in low 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6), 149-169. 

  11. Lee, B. J. (2011).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mental health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s Welfare, 13(3), 23-42. 

  12. Lee, E. K.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upon the career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H. J. (2000).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eer - undecided undergraduates and their mental healt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4(1), 113-140. 

  14. Lee, S. J., & Yu, J. H. (2009). A causal model among self-determination, career stress,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Asian Woman, 48(2), 35-63. 

  15. Lent, R. W., Brown, S. T., & Hackett, G. (1994). Monograph: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http://dx.doi.org/10.1006/jvbe.1994.1027 

  16. Lent, R. W., Brown, S. T.,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36-49. http://dx.doi.org/10.1037/0022-0167.47. 1.36 

  17. Moon, B. O., & Shin, D. J. (2008). General strain and delinquency among college preparatory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19(1), 33-60. 

  18. National Youth Commission. (2003). Usual cognition of stress (12-19 yrs). A Youth Protective White Paper. Seoul: National Youth Commission. 

  19.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December). Youth Career Path Preparation Survey (Issue Brief No. 12-R07).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 Park, S. G., Cho, J. R., & Park, Y. H. (2003). The effects of peer pressure to misbehavior, physical maturation, and stress on cigarette smoking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3), 473-486. 

  21. Pelkonen, M., Marttunen, M., & Aro, H. (2003). Risk for depression: a 6-year follow up of Finnish adolesc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7(1), 41-51. http://dx.doi.org/10.1016/S0165-327(02)00098-8 

  22. Russell, J. E., & Rush, M. C. (1987). A comparative study of age-related variation in women's view of career in manage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3), 280-294. http://dx.doi.org/10.1016/0001-8791(87)90006-6 

  23. Seon, H. Y., & Kim, G. H. (2008). The difference of the parents' involvement style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parents and children in adolescent career decision making.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9(2), 161-179. 

  24.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Pearson/Allyn & Bacon. 

  25. Tokar, D. M., Withrow, J. R., Hall, R. J., & Moradi, B. (2003). Psychological separation, attachment security,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and career indecision: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1), 3-23. 

  26. Tomas, A. E., James, M. S., Alison, M. Y., Sean, D. C., & Ori, S. (2001). Coping dimensions, life stress,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A latent growth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2), 309-323. http://dx.doi.org/10.1037/0021843X.110.2.309 

  27. Whang, M. H., Lee, A. R., & Park, E. H.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 Career Barriers Scale for Male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6(2), 125-159. 

  28. Whang, M. H., Lee, E. S., & Yoo, S. K.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areer Barriers Scale for Female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6(4), 1205-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